티스토리의 키워드 기능은 백과사전 수준을 능가하네요.
키로그의 활용이 다움, 네이버의 검색수준을 능가하는 것이었다니... 진작 사용하지 않은 것이 후회됩니다. 키로그는 솔직히 태그와 별 차이가 없는 줄 알고 그동안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키로그야 말로 티스토리를 100% 활용할 수 있는 대단한 기능이었다는 것을 몰랐네요. 이 기능이 있음으로서 제 블로그는 거의 포탈사이트의 기능까지 겸비할 수 있게 되는군요. 키로그는 단순히 태그 기능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방문자가 들어왔을 때 내 글을 읽다가, 더 자세한 참조글을 읽고 싶을 때 응용키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다음 글을 제가 작성하였다고 합시다. ---------------------------------- 나는 중국사를 읽다가, 문득 중국이란 나라가 광개토대왕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고 싶어졌다. 만약 일본사 이야기를 읽어보면 그 부분이 어떻게 기록되어 있을까? 중국과 일본은 우리 역사상 최고의 정복군주를 어떤 관점에서 보고 있는지 알고 싶다. 또 일본사를 공부할 때 신라 진흥왕에 대한 업적도 알고 싶다. ------------------------------------ 위 글을 작성한 뒤 저는 이 글을 읽은 사람들이 광개토대왕, 일본사 이야기, 중국사, 진흥왕에 대한 내용을 더 자세히 알고 싶어 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 4개의 단어를 글쓰기에 들어가 <키워드>를 선택하여 작성합니다. 물론 <광개토대왕>, <진흥왕>, <중국사>, <일본사 이야기>를 각각 제목으로 만든 다음 <키워드>를 선택하여 글을 올려야겠죠. 글 4개를 작성하였습니다. 그러면 제 위 글에 자동으로 네모칸이 삽입되어 제 사이트내에 있는 관련 기사들을 검색할 수 있음을 보게 됩니다. 위 네모칸을 클릭해 보세요. 그곳에 나오는 기사들이 제 사이트내 관련 기사들입니다. 키로그의 활용은 무궁무진합니다. 사전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관련기사 글모음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심지어 태그를 대신하여 키로그 모음을 아예 상설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습니다. 한 번 사용해 보세요. 자신의 블로그가 전문적인 블로그가 된 느낌을 받게 될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한 참고사항
1. 이 사이트 내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사이트 내 글을 운영자 허락없이 불펌할 경우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CALL BACK>기능이 자동으로 삽입됩니다.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