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불교 전파사 - 2장. 연기설이 등장하다
두 번째 페이지에서는 석가가 불교를 전파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인도 사회의 도시국가체제 등장>을 통해 이야기하겠습니다. 1. 씨족공동체 사회의 해체 인도에 석가가 등장했던 5세기 무렵의 사회는 인도 사회의 변혁기였습니다. 이 시기는 역사 발전 단계로 보면 원시적인 씨족공동체 사회가 무너져 가고, 도시 국가들이 등장하는 시기입니다. 그리스로 말하자면 폴리스 성립기 정도이고, 중국으로 보자면 은왕조가 도시국가들을 모아서 왕조체제를 갖추는 수준이라고 하면 될까요? 문제는 씨족공동체 사회에서 가장 큰 정치적 기능을 담당했던 <제사> 기능이, 도시국가의 <정치기능>으로 넘어가는 변혁기라는 것에 있습니다. 즉, <하늘에 반항하면 벌이 내린다>는 고대적 관념으로 사회를 지배했던 브라만들에게, 이제 크샤트리아 계급이 <현실정치의 논리>도 <신성함>과 똑같은 정치기능을 내려야 한다고 도전하기 시작한 것이지요. 이 크샤트리아 계급은 도시국가의 왕족과 귀족이었고, 이들이 성장한 것은 씨족공동체적인 부락들을 통합하면서 정복전쟁을 활발히 하였기 때문입니다. 실제 영토를 넓힌 것은 크샤트리아 계급이었고, 이 크샤트리아 계급에게 물질적인 지원을 하였던 것은 바로 상공업 계급인 바이샤였습니다. 바이샤와 크샤트리아는 새로운 사회에 새로운 이념 수립을 원하였습니다. 따라서 기존 브라만 교는 변화를 맞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브라만 내부 개혁을 추진하는 우파니샤드 철학의 등장, 고행을 강조하는 자이나교의 등장, 평등과 자비를 강조하는 불교의 등장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계급은 바로 <크샤트리아 계급>입니다. 실제 자이나교는 나타족 왕자인 바르다마나, 불교는 카빌라 공화국 출신인 고타마싯다르타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모두가 크샤트리아 계급이지요.
석가모니가 살았던 시대 상황에서 그는 브라만교의 차별성을 반대하고, 크샤트리아와 바이샤의 신분 성장을 추진하였음을 알수 있습니다. 그는 상공업에 대하여 호의적인 입장이었고, 계급 차별을 부인하였으며, 공동체 생활에 대하여 긍정적인 입장이었습니다. 2. 석가는 공화주의자였다. 석가가 태어날 당시 기원전 5세기 정황을 볼까요? 서양은 로마( Rome)가 천하를 통일하려는 발판을 구축하던 시기였고, 그리스 도시국가들이 동방 페르시아와 맞먹을 정도로 소아시아 진출이 활발한 시기였습니다. 이란에서는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가 있었구요. 중국에서는 공자라는 이가 출현한 시기로 중국이 혼란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5세기 무렵 인도사회는 씨족공동체 사회가 점차 통합되어 <통합 국가>가 형성되는 단계에 있었습니다. 기원전 5세기 마가다국이 대표적인 통합국가(갠지스강 유역을 통합함)였지요. 문제는 당시 도시국가체제에 대한 논쟁이었는데, 인도의 도시국가는 왕국과 공화국 중 어느 체제가 더 어울리는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석가는 공화국가 체제를 지지합니다. 당시 인도는 아리아인이 내려와 바르나 제도를 성립시킨 이후, 수많은 부족들이 난립하는 씨족공동체 사회였는데, 이들 씨족 공동체 부족들은 갠지스강과 인더스강 사이에 쭈욱 나열되어 있었습니다. 특히 이들중 갠지스강 중류에는 코살라국과 마가다국이 대립하고 있었고, 갠지스강 남쪽에는 밧사국과 아반트 국이 있었습니다. 석가의 카빌라국은 이들 사이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강한 국가들 사이에서 자치세력을 형성한 공화국국가였습니다. 이것은 공화국이 필요해서라기 보다는 생존의 방법으로 택한 공화국 형태의 자치국가였죠. 석가는 이러한 강국들 사이에서 평등한 부족적인 전통을 계승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습니다. 석가모니의 불교 교단 조직인 <승가> 역시 만장일치제도의 공화국을 모델로 한 교단 조직이었습니다. 이 석가의 교단 조직 자체가 씨족적 혈연 대립 감정 보다는 동일한 불교도, 동일한 공화국인 이라는 공동체적 생활을 강조하는 것이었죠. 3. 개체는 전체속의 한 인자로서 활동한다. - <연기설> 석가의 핵심적인 교리 내용중의 하나인 연기설이 등장한 역사적 배경도 바로 이 초부족적인 부족통합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석가의 연기설은 <개체를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전체 속의 하나의 인자>로 파악하는 상대주의적 입장입니다. 즉, 개체란 홀로 존재하는 독립 존재가 아니므로 상호 연계된 수많은 생-멸 속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측면에서 보아야 합니다. 이것은 곧, 부족원들이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부족을 넘어 다른 부족과의 관계에서도 초부족적인 통합을 할 수 있는 근본적인 단서를 제공합니다. 연기설(緣起說)은 직역(直譯)하면 인연(因緣)으로 일어난다(起)는 뜻입니다. 그리고 인연이란 <원인>속에서 <자연스러움>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연기라는 말 자체도 원인과 결과에 따른 인과관계를 중시하는 것으로, 부처는 모든 생멸의 변화에는 홀로 이루어진 것이 없으며, 전체 속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강조한 것입니다. 이러한 연기설은 <윤회사상>을 다시 한번 크샤트리아식으로 재해석한 사상입니다. 모든 인연이 원인과 결과가 있다면, <윤회> 역시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여기에서의 윤회란 브라만교에서 말하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깨달음을 얻어 해탈하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윤회개념입니다. 그리고 그 깨달음을 위해 석가는 8가지 수행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것을 팔정도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석가의 연기설은 당시 크샤트리아로서 왕권을 강화하고 통일국가로 나아가는 <새로운 도시국가>들에게 이상적으로 보이는 이론이었습니다. 즉, 초부족적인 이념으로 부족을 통합하고, 그 통합원리로서 초부족적인 정신을 키울 수 있었으니까요. 따라서 기원전 5세기 북인도 갠지스강 유역을 통합한 마가다국은 인도 최초의 통일국가로서 불교를 보호하면서 지역을 통일하였습니다. |
이 글에 대한 참고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을 가져가실 때는 반드시 댓글을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3. 관련 글 모음 방 : http://historia.tistory.com/category/동양사이야기/중국사이야기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이야기 1-4장. 위진남북조에 불교가 유행하다 (4) | 2007.06.03 |
---|---|
불교이야기 1-3장. 세계법왕이 등장하다 (5) | 2007.06.03 |
불교이야기 1-1장. 인도에서 불교가 시작되다 (2) | 2007.06.03 |
중국 수나라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 수나라에 대한 분석 (0) | 2007.06.03 |
14-15세기 : 서유럽 도시와 길드체제에 대한 분석 (0) | 2007.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