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 대사 관련 사료
법사 의상의 아버지는 한신이라 했으며, 성은 김씨다. 나이29세에 서울 경주 황복사에서 머리를 깎아 중이 되었다. 얼마 후 중국으로 가서 부처의 교화를 보려 하여 마침내 원효와 함께 요동으로 갔다가, 변방 순라군의 정탐자에게 잡혀 수 십일간 잡혀있다가 간신히 빠져나왔다. 영휘 초년에, 당나라의 귀국선을 얻어타고 중국으로 갔다. 처음에 양주에 머물는데, 주장 유지인이 의상을 청해다가 그 관아 안에 머무르게 하면서 접대를 후하게 해주었다. 후에 종남산 지상사를 찾아가서 지엄을 뵈었다. 지엄은 지난 밤 꿈에 큰나무가 조선에서 나서 잎이 널리 퍼져 중국으로 와서 덮는데, 그 위에 봉황새의 보금자리가 있었으므로 올라가 보니 한 개의 마니보주가 있었으며 광명이 멀리 비치는 것이었다. 꿈을 깬 후 놀랍고 이상스러워 깨끗이 소제하고 기다렸더니 의상이 왔던 것이다. 지엄은 특별한 예로 영접하고 조용히 말했다. “나의 어젯밤 꿈은 그대가 나에게 올 징조였구나." 그리하여 제자가 됨을 허락하니 의상은 화엄경의 미묘한 뜻을 은미한 부분까지 분석했다. 지엄은 학문을 서로 질의할 만한 사람을 반가이 맞아 새로운 이치를 발명해내었으니, 심오하고 은미한 이치를 찾아내 어서 남초와 천초가 그 본색을 잃은 것과 같다 하겠다. 이윽고 본국[신라]의 승상 김흠순, 낭도 등은 당에 와 갇혀 있었는데 고종이 장차 크게 군사를 일으켜 신라를 치려 하니 흠순 등이 몰래 의상을 권하여 먼저 돌아가도록 하므로 함형 원년 경오(670)에 본국으로 돌아왔다. 본국조정에 이 사실을 알리자 조정에서는 신인종의 고승 명랑에게 명하여 밀단을 가설하여 비법으로 기도하니, 국난을 벗어날 수 있었다 위봉 원년(676) 에 의상은 태백산으로 돌아가 조정의 명령을 받들어 부석사를 지어 대숭의 교법을 포교했더니 영감이 많이 나타났다. 지엄의 문인 현수는 수현소를 찬술하여 그 부본을 의상에게 보내고 아울러 서신을 보냈다. “서경 승복사 중 법장은 해동 신라 화엄법사의 시자에게 글을 올립니다. 한번 작별한 지 20여 년, 사모하는 정성이 어찌 염두에서 떠나겠습니까? 더욱이 연운만리에 바다와 육지가 첩첩이 쌓였으므로 이 몸이 다시 뵙지 못할 것을 한스럽게 여기오니 회포연연하여 어찌 말로써 다할 수 있겠습니까? 전생에 인연을 같이했고 금세에 학업을 같이했으므로, 이 과보를 얻어 대경에 함께 목욕했으며, 특히 선사께 이 심오한 경전의 가르침을 입었습니다. 우러러 듣건대 상인께서는 고향에 돌아가신 후, 화엄경을 개연해서 법계의 끝없는 녹기를 선양하여, 겹겹의 제망으로 불국을 새롭게 하와 이익을 줌이 크고 넓습니다. 이에 불타가 돌아가신 후에 불교를 빛내고 법륜을 다시 굴려 불법을 오래 머물게 할 이는 오직 법사뿐임을 압니다. 법장은 진취함에 이룸이 없고. 주전함에 도움이 적었으므로, 우러러 이 경전을 생각하니 선사께 부끄러워 분에 따라 공부하여 잠시도 놓지 않고 원하건대 이 업에 의빙하여 내세의 인연을 맺고자 하나이다. 다만 스님의 미묘한 말씀과 신묘한 뜻을 기록하여 의기를 만들었습니다. 근일에 승전법사가 베껴서 고향에 돌아가 그것을 그 땅에 전할 것이오니 상인은 그 잘못을 상세히 검토하셔서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삼가 바라옵건대 마땅히 올 내세에서는 몸을 버리고 다지 태어나 노사나불께 이와 같은 무진한 묘법을 청수하고 이와 같은 무량광대한 보현보살의 원행을 수행하기를 원하나이다. 혹 악업이 남아 일조에 지옥에 떨어지더라도 상인은 과거의 교분을 잊지 마시고 제취 중에서 정도를 가르쳐 주시기를 삼가 바라나이다. 인편이 있을 때마다 안부를 부탁하나이다 이만 불비하나이다.” <삼국유사 권4 의해5 의상전교> 의상은 나이 29 세에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다. 중국에 들어가 지엄을 만났다. 지엄은 지난 밤 꿈에 큰 나무 하나가 해동에서 났는데, 가지와 잎이 널리 퍼져 중국까지 덮었다. 그 위에 봉황새의 보금자리가 있어 올라가 보니 마니보주(여의주)가 있고, 그 것이 먼 곳까지 비치는 것이었다. 꿈을 깬 후 놀랍고 이상스러워 집을 깨끗이 치우고 기다렸더니 의상이 찾아 왔다. 지엄이 “어젯밤 꿈은 그대가 올 징조였구려.”하며 제자가 된는 것을 허락하였다. 의상이 화엄경의 깊은 뜻을 미묘한 부분까지 해석하니, 지엄은 학문을 논할 상대를 만난 것을 기뻐하며 함께 새로운 이치를 터득하였다. 의상은 ‘법계도’ 밖에는 저술한 것이 없지만, 한 솔의 고기 맛을 알기 위해 솥 안의 고기를 전부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 점의 고기 맛으로도 전체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삼국유사, 의상> 문무왕이 경주에 성곽을 쌓아 모습을 새롭게 하려하였다. 의상이“비록 초야모옥에 있더라도 바른 길만 행하면 복된 일이 오랠 것이나, 만일 그렇지 못하면 흘릉한 성을 쌓을지라도 아무 이익이 없을 것입니다.” 하자, 왕이 성 쌓는 일을 그만두었다. <삼국사기> 문무왕 하나가 곧 일체이며, 한 작은 티끌 속에 시방이 있는 것이요, 한 찰나가 곧 영원이다, 양에 있어서 셀 수 없이 많은 것이 있지만 그것은 실은 하나이며, 공간은 시방으로 너르게 되어있지만 그것이 한 작은 티끌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시간에 있어서 영원한 것도 한 찰나이다. <의상, 화엄일승법계도> |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역사 사료와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증 대사 비문 (1) | 2007.04.23 |
---|---|
나말 혼란과 호족의 봉기 (2) | 2007.04.23 |
원효 대사 (1) | 2007.04.23 |
불교 대중화 - 욱면비 염불서승 (2) | 2007.04.23 |
원광이 걸사표를 지은 목적 사료 (1) | 2007.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