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 I S T O R I A > 한국사 사전
통리기무아문의 조직표
|
통리기무아문의 조직표 통리기무아문은 강화도 조약 이후 밀려오는 외국 문물을 효율적으로 받아들고, 국제적인 행정기구를 마련하기 위해 온건파 개화지식인들과 민씨 정권이 추진한 정부개편안입니다. 이것은 청나라의 총리기무아문을 모방한 관제였습니다. 1880년 설치된 이 기구는 기존의 의정부-6조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별도의 정 1품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한 것이죠. 이 기구는 군사권과 행정권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초행정부적 기관으로 엄청난 권한을 부여받았습니다. 그리고, 권한이 강대해지면서 군국기무를 담당하는 부서(통리군국사무아문), 외교통상기무를 담당하는 부서(통리교섭통상아문)으로 분리하였습니다. 통리기무아문은 12개의 속사로 구성되었는데, 이 속사들을 이끄는 최고부서가 통리기무아문입니다. 초기 12개 부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대사 ; 중국과의 외교 교린사 ; 일본 및 각국과의 외교 군무사 ; 경향의 군사 사무 변정사 ; 국경 사무, 인근 국가의 동정 및 정탐 통상사 ; 외국과의 통상 군물사 ; 병기 제조 기계사 ; 각종 기계 제조 함선사 ; 각종 선박 제조 기연사 ; 연안 포구 왕래 선박 검사 어학사 ;각국 언어, 문학의 번역 전선사 ; 관리 선발과 관용품 조달 이용사 ; 재정 사무 ---------------------------------------------------------------------- 인적 구성 총리대신 : 이최응(영의정) 당상관 : 김홍집, 이재긍, 신정희, 정범조, 김보현, 민겸호, 김병덕, 조영하, 민영익 ----------------------------------------------------------------------- 통리군국사무아문은 1884년 의정부에 통합되었으며,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은 1894년 갑오개혁 때까지 남아 있다가 사라졌습니다. |
'퀴즈풀이 > 역사 사료와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팟케스트 방송 - 히스토리 채널 2th, 3th (2) | 2008.06.29 |
|---|---|
| 한성조약과 부칙 (1) | 2008.04.28 |
| 아틀라스 중국사 + 강좌 중국사 + 중국사의 이해 + 한권 중국사 정리본 (0) | 2008.03.24 |
| 히스토리 채널 - 1회 방송 (13) | 2008.03.05 |
| 히스토리 채널 - 다음 주 부터 방송을 시작합니다. (2) | 2008.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