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인의 복식
|
그들은 공식 모임에서 모두 비단에 수를 놓은 의복을 입고 금과 은으로 장식한다. 대가와 주부는 머리에 책을 쓰는데 중국 책과 비슷하지만 뒤로 늘어뜨리는 부분이 없다. 소가 절풍을 쓰는데 모양이 고깔과 같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고구려 - 사람들은 모두 가죽으로 만든 관을 쓰는데, 사인은 새 깃을 꽂으며 귀인은 관을 붉은 비단으로 만들어 금은으로 장식한다. 옷은 소매가 큰 적삼과 통이 넓은 바지를 입으며, 흰 가족띠에 노란 가죽신을 신는다. 부인은 치마와 저고리에 선을 두른다. - 수서 동이열전, 고려 - 왕은 5채로 된 옷을 입고 흰색 나관을 쓰며, 가죽띠에는 모두 금테를 두른다. 대신은 푸른색 나관을 쓰고 다음은 진홍색 나관을 쓴다. 나관에는 새깃을 둘 꽂으며 금테와 은테를 섞어 두른다. 저고리는 통소매이고 바지는 통이 넓으며 휜 가족띠에 노란 가죽신을 신는다. 서인은 거친 털로 만든 털옷을 입고 고깔변을 쓰며, 여자는 머릿수건을 쓴다. - 신당서 동이열전, 고구려- 풍속은 깨끗한 것을 좋아하고 몸가짐을 소중히 여겨 (어른 앞에서는) 종종걸음을 해야 공경한다고 여긴다. 절을 할 때는 다리 하나를 펴서 끌었으며 서 있을 때는 대개 반공을 한다. 걸어다닐 때는 꼭 소매에 손을 넣고 다닌다. - 북사 열전, 고려 - |
사료해석 : 고구려인의 생활은 사료보다는 벽화를 보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역사사진방이나, 검색사이트에서 고구려 복색 사진을 더 보시면 확실하실 겁니다.
인물과 풍속을 그린 고분 벽화에서 고구려인의 생활상을 더 자세히 엿볼 수 있습니다. 고구려 벽화에는 특히 씨름, 사냥 전투 등의 그림이 많은데, 고구려인의 호전성과 진취성을 볼 수 있다고 교과서에 나와있죠. 또 귀족들은 주변에 다양한 종자를 두고 화려한 생활을 하였으며, 잘 꾸민 실내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퀴즈풀이 > 역사 사료와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구당서 (1) | 2007.01.13 |
|---|---|
|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해석 과정 (1) | 2007.01.13 |
| 고구려의 식읍 제도 (1) | 2007.01.13 |
| 고구려의 불교 수용과 불교 전파 (2) | 2007.01.13 |
| 4세기 고구려의 위기 - 모용씨의 침입, 근초고왕의 침입 (2) | 2007.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