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역사 사료와 데이터

황룡사 9층목탑 이야기

 

황룡사 9층목탑

신라 제24대 진흥왕 즉위 14년 계유(癸酉; 553) 2월에 궁궐을 용궁 남쪽에 지으려 하는데 황룡이 그곳에 나타나므로 이에 고쳐서 절로 삼고 황룡사(黃龍寺)라 했다. 기축년(己丑年; 569)에 담을 쌓고 17년만에 겨우 완성했다. 얼마 안가서 바다 암쪽에 큰 배 한 척이 떠와서 하곡현(河谷縣) 사포(沙浦)에 닿았다. 이 배를 검사해 보니 공문(公文)이 있었다.

공문에 의하면, 서축(西竺)의 아육왕(阿育王)이 황철 57,000근과 황금 30,000푼을 모아서 장차 석가삼존불(釋迦三尊佛)을 주조하려다가 이루지 못하고 그것을 배에 실어 바다에 띄우면서 "인연있는 국토에 가서 장육존상(丈六尊像)을 이루어 지이다"하고 축원했다는 것이다. 불상 하나와 보살상 2개도 모형으로 만들어 함께 실어 보냈다. 하곡현의 관원이 문서로서 아뢰었다. 왕은 그 고을 성 동쪽의 높고 메마른 땅을 골라 동축사(東竺寺)를 세워 그 세 불상을 모시게 하고, 그 금과 철은 서울로 수송하여 대건(大建) 6년 갑오(甲午; 574) 3월에 장육존상을 주조하여 단번에 이루었다. (그것을) 황룡사에 모셨다.

- 삼국유사 3권 탑상4, 황룡사 -

신라 제27대 선덕왕 즉위 5년인 정관(貞觀) 10년 병신(丙申; 636)에 자장법사(慈藏法師)가 서쪽으로 유학하였다. 법사가 중국의 태화지(太和池) 가를 지나는데 문득 신인(神人)이 나와서 "어떻게 이곳에 왔소" 하고 물었다, 자장은 " 보리(菩提)를 구하러 왔습니다"라 대답하였다. 신인이 절하고 또 물었다. "그대의 나라에 어떠한 어려운 일이 있소?" "우리 나라는 북쪽으론 말갈(靺鞨)이 이어졌고 남쪽으론 왜국(倭國)에 인접하였고 고구려·백제의 두 나라가 번갈아 변경을 침략하여 이웃의 구적(寇賊)이 횡행하니, 이것이 백성들의 걱정입니다."

"지금 그대 나라는 여자를 임금으로 삼았으므로 덕은 있어도 위엄은 없소. 그 때문에 이웃 나라가 침략을 도모하니 그대는 빨리 본국으로 돌아가야 하오." 자장법사는 물었다. "고향에 돌아가서 장차 무슨 이익되는 일을 해야 합니까?" 신인이 말했다. "황룡사의 호법룡(護法龍)은 나의 맏아들이요. 범왕(梵王)의 명령을 받고 그 절에 와서 보호하고 있으니, 그대가 본국에 돌아가서 절 안에 구층탑(九層塔)을 이룩하면 이웃 나라는 항복해 오고 구한(九韓)은 조공하여 나라의 복이 길이 형통할 것이오. "

정관(貞觀) 17년 계묘(癸卯; 643) 16일에 자장법사는 당나라 황제가 준 불경·불상·가사·폐백 등을 가지고 본국으로 돌아와서 탑을 세울 일을 왕에게 아뢰었다.

- 삼국유사 3, 탑상4, 황룡사구층탑-

사료해석 :  초기 불교는 토테미즘과 샤머니즘, 애니미즘 등의 종교적 기능인 금기 기능을 수행하는 원시 종교와 섞여 발전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삼국초기에 샤먼(주술사)의 기능을 스님이 담당하여 승려가 주술을 읇고 향가를 부르는 구절이 있는가 하면, 여성 무당인 샤머니즘의 영향을 받은 여왕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또 보살이 산천신의 모습이나 산신령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본지수적사상도 있었고, 오악산신의 전통신을 받드는 팔관회가 불교 행사인 연등회와 같이 개최되기도 합니다.

이중 특이한 것중 하나가 신라 불국토설입니다. 이것은 신라가 불가의 원형으로 불국토의 정통을 가지고 있다는 설인데, 신라왕족은 이것을 당연한 이데올로기로 활용하였습니다. 예들 들면 전통적으로 신성한 땅에 사원을 건립하여 그 정기를 이어받는다던가, 옛날 신성한 소도 자리에 7개의 절로 만들어 도를 닦도록 하게 한다던가 하는 전통을 만들어 내는 것 등을 말합니다.

황룡사 9층탑은 그 신성한 소도 자리중 1자리를 차지한 탑입니다. 황룡이 국가를 수호한다는 논리 자체가 국가 불교적 성격을 띄었다는 것을 반증합니다.

신라의 불교는 불교 본래 목적이 아닌 정권을 위해 활용되었다는 증거는 너무 많지만,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진종설화 : 신라왕실은 부처의 일족인 크샤트리아라는 내용을 주장합니다.

2. 법흥왕은 아예 불교를 공인하면서 불교식 왕명을 사용합니다. 삼국유사는 이것을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합니다.

3. 부처에게 은혜를 입은 족속을 성골이라는 개념으로 확립시켰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4. 백좌강회를 자주 열어 불교가 왕권을 강화시킨다는 내용을 지속적으로 강조합니다.

5. 진흥왕은 신라불국토설을 믿어서 신라의 행정구역과 불교 교단 조직을 일치시킵니다.

6. 진흥왕 대 미륵하생신앙인 전륜성왕사상을 바탕으로 왕이 곧 부처라는 왕즉불 사상을 전파합니다.

7. 신성구역에 사찰을 건립하여 불교가 점차 토착신앙을 대신하도록 유도하면서 토착신앙과의 마찰을 완화합니다.

'퀴즈풀이 > 역사 사료와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가 보낸 숙위학생  (1) 2007.01.14
초기 신라인의 생활상  (1) 2007.01.14
신라 왕실의 7가람설  (1) 2007.01.14
원광 법사 이야기  (1) 2007.01.14
승려 혜량  (4) 2007.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