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중세사회의 봉건제도 - 기원
1. 봉건제도를 파악하기 위한 2가지의 제도 유럽의 봉건제도는 충성과 의무를 수행한다는 계약적 주종관계라는 주종관계의 측면과, 농노제에 입각한 장원을 구성하였다는 장원제도라는 측면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주종관계와 장원제도는 따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 2가지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봉건제도라고 하면 국왕 - 제후 - 기사 등으로 이어지는 피라미드 형 주종관계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주종관계를 존재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것은 장원에서 농노들의 자립적 생활 경제 기반이 바탕이 되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봉건제도를 해석할 때, 이것을 그 사회 전반에 확장적으로 사용하면 사회 전반에 걸친 생활 양식을 가르키는 말이 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흔히 어떤 사회를 가르켜 <봉건적이다>라고 한다면, 그것은 그 사회가 주종관계와 장원양식을 기반으로 한다는 뜻도 되지만, 그 사회가 <중세적이다>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봉건적인 것은 무엇인지, 중세적인 것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도록 하죠. 2. 봉건제도 중 주종관계의 역사적 성립 배경 봉건제도가 생긴 이유는 2가지 정도로 압축될 수 있습니다. 중세사회는 4-5c 무렵 게르만족들이 서로마 영내에 각각 나라를 세우고 약해진 서로마를 괴롭히기 시작했습니다. 5c 이후 서로마는 멸망하고 각 게르만 국가들이 서유럽 전반을 지배하기 시작하는데, 남부 유럽의 게르만 국가들은 동로마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및 이슬람 제국이라는 강력한 세력을 만나 대부분 소멸되고 맙니다. 그러나 갈리아 지방에 정착하면서 원거리 이동을 피하고 북부 지방에 안주하였던 프랑크 왕국은 게르만 국가 중 가장 광대한 영역을 보유하며 국가체제를 유지하였습니다. 그리고 카롤루스 대제 때에는 이슬람과 이베리아 반도를 경계로, 또 고트족이나 롬바르드족과는 이탈리아를 경계로 하여 북부를 통치하는 광대한 제국을 건설하였습니다. 하지만, 카롤루스 사후 이후 게르만 특유의 재산분할제와 내분으로 카롤루스의 아들 3명이 베르됭 조약, 메르센 조약 등으로 영토를 3분하였습니다. 이것이 오늘날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의 기원입니다. 이렇게 프랑크 왕국의 분열로 게르만 사회가 분열되었을 때, 북에서는 노르만족(즉,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바이킹 세력)이 남하합니다. 프랑크 왕국 및 라틴, 게르만 사회는 이 노르만족의 침입으로 엄청난 혼란에 빠집니다. 프랑크 왕국은 이미 노르만을 막을 힘이 없었고, 이 노르만족은 과거 게르만족이 로마 영내 곳곳에 왕국을 건설했듯이 프랑크 왕국 및 기타 유럽 전역에 왕국을 건설합니다. 그리고 상호 항쟁을 시작합니다. 또 노르만의 침입으로 유럽사회가 혼란한 틈을 이용하여 아시아계통의 마자르족과 훈족, 그리고 이슬람 제국의 세력도 유럽 중앙부에 재침투를 시도합니다. 당시 서유럽사회는 아시아 및 기타 문명권에 비해 너무나 후진적이었습니다. 이러한 침입을 막을 방도가 없었지요. 그러한 상황에서 국가 공권은 무력했습니다. 이제 상호 항쟁은 작은 영역단위에서 방어해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보호 - 피보호 관계를 계약으로 설정한 주종관계인 것입니다. 유력자는 토지를 분봉하여 하위 기사들에게 충성을 강요하였고, 기사들은 유력자에게 의탁함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보호받았으며, 피지배층은 스스로 유력 영주에게 의탁하여 몸을 보호받는(농노가 되더라도 말입니다) 새로운 체제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것을 <쌍무적 계약관게>, <주종관계>라고 부르며 봉건적 주종관계를 설정한 것이죠. 3. 봉건제도 중 봉토(장원)개념의 기원 봉건제도에서 토지를 매개로한 봉토 개념은 로마, 게르만의 옛 역사에서부터 비롯됩니다. 로마사 이야기 편에서, 클리엔테지(Clientage) 개념을 자세히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클리엔테이지는 로마 초기에 자유가 없었던 평민들이 자신을 지켜줄 유력한 귀족 계급에서 자신을 의탁하고, 그 대가로 공물을 바치는 것을 말합니다. 귀족들은 자유가 없는 평민들을 대신해 재판이나 법률상담, 인신적 구속에 대한 방어 등을 책임져 주었습니다. 이 경우 평민들은 로마 귀족 계급을 위하여 소작농의 형태로 토지 경영을 담당하기도 했는데, 그것이 전통이 되어 내려온 것이 precarium이라는 소작적 개념의 용익권입니다. 용익권이란 자신의 토지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의로서 자신을 지켜주는 유력자를 위해 헌신한다는 개념으로 토지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토지를 스스로 팔지 못하고 토지에 구속당하며, 유력자에게 공납을 바치는 소작개념으로 토지를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제정 로마 후기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개혁 등으로 자유민들이 엄청난 토지세와 신분적 구속, 직업 상속의 병폐를 경험한 후 아예 유력자의 토지에 스스로 결박되어 소작농이 되어 버리기도 합니다. 이것을 colonus제도라고 하는데, 이 콜로누스 제도 하에서 반자유민으로 농사짓는 콜로나투스 농민들이 바로 긴 역사를 통해 형성된 중세 농노의 기원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로마 말기로 갈수록 콜로누스제는 중세적 성격을 강화합니다. 콜로누스의 특수 영지는 면세권을 가져서 세금에 대한 자율권을 획득하였고, 국가권력으로부터 불입권을 획득하여 자신의 토지에 대한 총체적인 운영권을 획득하게 됩니다. 게르만의 옛 사회에서도 봉건제도의 개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초기 게르만 사회를 묘사한 게르마니아를 보면 1세기 중후반의 게르만족들은 자유로운 시민사회로서 스스로의 일들을 결정할 수 있는 민회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들도 전쟁에 나갈 때에는 족장들의 명령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행동하였다고 합니다. 그들은 스스로 영토를 지키기 위하여 족장(추장) 세력에게 공납의 의무를 하였고, 족장 세력은 자신의 영역에 있는 민들을 지켜줄 것을 약속합니다. 또 유력 기사계급은 힘없는 자들을 보호해주면서 족장과 같은 권리를 행사합니다. 이것을 게르만에서는 종사제도(comnitatus)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 종사제도 역시 토지를 매개로 하는 제도입니다. 게르만에서의 종사란, 토지 생산물을 통한 공납 부여를 말합니다. 실제 게르만 족이 이동한 하나의 원인은 훈족의 압박도 있었지만, 인구 증가로 인하여 공납과 전쟁 의무를 수행할 토지가 절대 부족해진 점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즉, 그들은 유목민족인 흉노나 아시아계 민족보다 토지에 대한 집착이 강했다는 것이지요. 게르만 국가로서 번성했던 프랑크 왕국의 카롤루스 마르텔은 왕국의 가장 큰 문제점을 이슬람 세력(사라센)을 격퇴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실제 그가 이슬람을 물리쳤던 투르, 푸아티에 전투는 사실 여부를 떠나 서유럽 세계를 지키는 아주 큰 역할을 했으니까요. 문제는 마르텔이 사라센을 격퇴하기 위해서는 기병이 필요했는데, 기병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기병으로 근무하는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보상을 주어여 하며, 또 말과 창을 마련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당시 프랑크 왕국에서는 게르만 군대가 원하는 만큼을 줄 수 있는 토지가 절대 부족하였습니다. 그래서 마르텔은 교회의 토지를 군대에게 주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교회의 토지는 교회의 재산이므로 그 토지를 영구히 군대에게 줄 수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교회 등을 토지를 받은 군인들은 국가에 대한 의무의 수행, 토지세의 납무, 교회에 대한 카톨릭적 존경심 등등 여러 의무를 부과하여 토지를 부여하였고,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 아니라 토지에 대한 용익권을 하사하였습니다. 즉, 국가에 대한 복무와 충성을 대가로 일정 의무를 부과한 토지를 내려준 것이지요. 이것을 마르텔 시대에는 은대지 제도(benificium)이라고 불렀습니다. 즉 봉건제도에서의 주종제도와 은대지제도는 서로 상호 연관된 관계인 것이지요. 그러나 후대에는 은대지 대신 봉토(feudum)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렇게 성립된 봉건제도는 농촌적 자연경계를 기반으로 한다고 하네요. 그런데, 유럽사에서는 농촌적 봉건제가 탄생한 원인을 이슬람의 팽창으로 인하여 지중해를 상실하자 상업, 공업, 화폐제도, 상업도시 등이 소멸하여 생긴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말에는 약간 이상한 부분이 있습니다. 저는 유럽사는 전공하지 않았지만, 이 말대로 하자면 원래 고대 유럽은 상업적 도시 사회였다가 농촌사회로 전환된 것이고 중세가 유럽의 암흑기라는 것인데, 유럽사회가 상당한 수준의 도시사회라는 증거가 뭔지 의문이 드는군요. 그리스, 로마가 중국의 춘추시대보다, 한국의 철기문화보다 발달한 도시 사회라는 건 당시 유럽의 후진적 문명 수준에서 좀 의아합니다. 그리스의 폴리스도 일부 아크로폴리스 외에는 다 농업을 기반으로 했던 사회였습니다. 유럽사를 공부하시는 분들은 약간 유럽이 세계의 중심이며, 고대부터 찬란한 문명으로 시작했다는 유럽의 주장을 좀 맹신하시는 것 같네요. 암튼, 이게 중요한 것이 아니니 봉건제도를 계속 설명을 계속해보죠. 다음 파트에서는 봉건제도의 계급관계와 계층구조를 한번 다뤄보도록 할께요. ㄱㄱ! |
이 글에 대한 참조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을 운영자 허락없이 불펌할 경우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원저작자 로고>가 펌글에 자동 삽입됩니다.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중세사 9 - 유럽 중세사회의 봉건제도 - 장원제도 편 (8) | 2007.03.09 |
---|---|
중세유럽사8 - 유럽 중세사회의 봉건제도 - 주종관계와 기사 편 (4) | 2007.03.09 |
연지곤지는 생리중이라는 표시이다? (1) | 2007.03.09 |
중국 현지 기념품에 나타난 고구려사 왜곡 (0) | 2007.03.08 |
북한 덕흥리 벽화 무덤 (0) | 2007.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