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교육기관
| 
 (가) 서경에 행차하여 처음으로 학교를 세웠다. 왕이 정악에게 서경에 머물러 서학박사(書學博士)가 되게 하고 따로 학원을 세워 서경 육부에서 생도를 모아 가르치게 하였다. 뒤에 성과가 좋다는 말을 듣고 비단을 내려 권장하고, 또 곡식 100석을 내려 學寶를 삼게 하였다. (나) 12목에 경전에 능통하고 책을 많이 읽은 선비들을 모아 경학박사(經學博士)와 의학박사를 각각 한 사람씩 보내 가르치게 하였다. (다) 무릇 과거에 나아가려는 자는 모두 9제(薺)에 적을 두니, 이를 문헌 공도라 불렀다. 또 유신(儒臣)으로 도(徒)를 세운자가 11명이 있으니, 문헌공 최충과 아울러 세칭 12도라 하였지만, 최충의 도가 가장 성하였다. (라) 안향은 학교가 날로 쇄함을 근심하여 “지금 養賢庫가 메말라 선비를 기를 수 없으니 6품 이상은 각각 은 한근을 내고 7품이하는 포를 차등있게 내도록 하여 이를 양현고에 돌려 본전에 두고 이식만을 취하여 섬학전으로 삼자”고하니 兩部가 이를 쫓아 아뢰고 왕도 內庫의 錢穀으로 도왔다. <국자감> 
 
 | 
이 글에 대한 참고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을 운영자 허락없이 가져갈 경우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CALL BACK>기능이 자동으로 삽입됩니다. 
   3. 네모칸이나 밑줄이 삽입된 단어를 클릭할 경우 사이트 내 연계된 포스트들이 자동 출력됩니다. 
   4. 관련 글 모음 방 : http://historia.tistory.com/category/한국사사료모음방/8.고려시대사료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역사 사료와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심관 제도와 기인제도 관련 사료 (3) | 2007.03.20 | 
|---|---|
| 고려시대의 화폐종류 (4) | 2007.03.20 | 
| 고려사에 나오는 무신집권기 신분해방운동 (1) | 2007.03.20 | 
| 최충헌의 봉사 10조 (1) | 2007.03.20 | 
| 고려 시대 전시과 관련 사료 모음 (3) | 2007.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