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해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연호란 황제만이 쓸 수 있다. 중국 학자들이 주장하듯이 발해가 당 왕조가 관할한 소수민족 지방정권이라면 어떻게 연호를 쓸 수 있는가? 이것은 통일신라, 고려, 조선이 연호를 사용하지 못한 사실을 비추어 보면 쉽게 그 위상이 떠오를 것이다. |
발해의 연호 (신당서에 따라 작성함) |
대수 |
왕의 시호와 이름 |
재위년간 |
연호(신당서) |
1 |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 |
698∼719 |
|
2 |
무왕(武王) 대무예(大武藝) |
719∼737 |
仁安 |
3 |
문왕(文王) 대흠무(大欽茂) |
737∼793 |
大興 寶曆 |
4 |
?왕(? 王) 대원의(大元義) |
793. 3∼793. ? |
|
5 |
성왕(成王) 대화여(大華璵) |
793∼794 |
中興 |
6 |
강왕(康王) 대숭인(大嵩 ) |
794∼809 |
正歷 |
7 |
정왕(定王) 대원유(大元瑜) |
809∼812 |
永德 |
8 |
희왕(僖王) 대언의(大言義) |
812∼817? |
朱雀 |
9 |
왕(簡王) 대명충(大明忠) |
817?∼818 |
太始 |
10 |
선왕(宣王) 대인수(大仁秀) |
818∼830 |
建興 |
11 |
?왕(? 王) 대이진(大 震) |
831∼857 |
咸和 |
12 |
?왕(? 王) 대건황(大虔晃) |
857∼871 |
|
13 |
?왕(? 王) 대현석(大玄錫) |
871∼894? |
|
14 |
?왕(? 王) 대위해(大瑋 ) |
894?∼9106? |
|
15 |
?왕(? 王) 대인선(大 ) |
906?∼926 |
|
|
2. 발해인이 직접 세운 비문
- 황제만이 쓰는 황상(皇上), 성법대왕이란 칭호를 쓰고 있다. |
정효공주묘에 보면 [황상께서는 조회를 파하고 매우 슬퍼하셨으며, 취침을 피하고 가무도 중지하셨다. 장례의식은 관에 명하여 준비하도록 하였다(皇上 罷朝興慟 避寢馳懸 喪事之儀 命官備矣)]는 글귀가 있다. 여기서 황상(皇上)이란 자기나라의 황제를 일컫는 말이기 때문에 일반 제후국가에서는 쓸 수 없는 단어이다. 한편 비문에 [공주는 우리 대흥보력효감 금륜성법대왕의 넷째 따님이시 다(公主者 我大興寶曆孝感金輪聖法大王之第四女也)]고 하여 문왕의 연호인 대흥 보력과 함 께 '성법대왕'이라는 최고의 존칭을 사용하고 있다. 정혜공주묘에도 [公主者 我大興寶曆孝感 □□□法大王之第二女也]라는 똑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 |
이 글에 대한 참고사항
1. 이 글은 인터넷에 게재되어 오픈된 학술자료들을 출처를 밝히고 인용한 것입니다.
2. 이 글이 인용된 원문 : http://www.koguryo.org/(사단법인 고구려 연구회 사이트)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