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 소설의 시대적 배경 설명표 
원문 출처 : http://kimyong.new21.org/ 
---------------------------------------------------------------------------- 송(宋) - 천룡팔부(1091~1093)
                                    
  
                 960  조광윤(趙匡胤), 즉위하여 宋을 건국(太祖).   
 976  태조가 급사하고 동생 조광의가 太宗으로 즉위. 
 979  北漢, 송에 항복해 연운십육주만 남기고 대략 중국의 통일 완성.
      요를 토벌했으나 고량하(高梁河)에서 패배. 
1004  송과 요 사이에 화의가 성립. - 전연의 맹(전淵之盟)
1028  이원호(李元昊), 위구르를 깨뜨리고 감주(甘州)를 점령. 
1038  이원호 즉위, 대하(大夏)라 칭함(西夏). 이후 송과의 항쟁 지속.
1043  범중엄(范仲淹), 구양수(歐陽修) 등용, 경력(慶曆)의 개혁 시작.
1044  송과 서하 사이에 화의가 성립. 
1067  신종(神宗) 즉위, 왕안석(王安石)을 한림학사(翰林學士)에 임명.
1069  왕안석, 참지정사(參知政事)가 制置三司條例司를 두고 신법 입안.
      균수법(均輸法), 청묘법(靑苗法)을 실시. 
1076  왕안석, 사직하고 금릉(金陵:지금의 남경)에서 은거. 
1084  사마광(司馬光),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 신종에게 바침.
1085  신종 죽고 철종(哲宗) 즉위. 선인태후(宣仁太后)가 섭정이 되어. 
      사마광 등을 등용해 신법을 중지시키고 구법을 부활. 
1086  사마광, 재상이 모역법, 청묘법 등을 중지.
      왕안석(1021 - ), 사마광(1019 - ) 사망.
1093  선인태후 죽고, 철종(조후:趙煦)이 친정하면서 신법을 부활. 
1100  철종이 죽고 휘종(徽宗)이 즉위.  
                 
      남송(南宋) - 사조영웅전(1199~1227), 신조협려(1237~1260)
                 1115  여진의 완안아골타(完顔阿骨打) 즉위, 국호는 金(金太祖).
1118  마정(馬政)을 금에 보내, 요의 협격(挾擊)을 꾀함. 
1120  방랍(方臘)의 난 발생. 
1121  방랍의 난 진정되고, 양산박(梁山泊)의 송강(宋江) 항복. 
1122  동관(童貫)이 연경(燕京)을 공격하였으나 실패. 금이 연경을 함락.
1123  송이 연경을 수복. 금 태조 죽고 동생 오걸매(吳乞買) 즉위(太宗).
1125  금, 요의 천조제(天祚帝)를 사로잡고 요를 멸망. 
      송 휘종이 흠종(欽宗)에게 양위. 
1126  금군이 개봉성을 공격해 함락. 
1127  송의 휘종, 흠종이 체포되고 북송 멸망. - 정강(靖康)의 변. 
      금, 장방창(張邦昌)을 내세워 초국(楚國)을 건립. 
      고종(高宗)이 즉위하여 송을 부흥. - 南宋. 
      장방창, 고종에게 귀순. 
1130  금, 유예(劉豫)를 내세워 제국(齊國)을 건립. 
      진회(秦檜), 금에서 귀국. 
1132  야율대석(耶律大石), 카라키타이(서요:西遼)를 건국. 
1137  금, 유예의 제국을 폐지. 
1138  진회가 재상이 되어 금과의 화의를 추진. 
1140  금군이 남진. 
      악비(岳飛)가 하남 각지에서 금군을 격파하고 개봉(開封)에 당도.
1141  진회가 악비를 체포해 옥중에서 죽임. 
1142  송과 금의 제1차 화의 성립. 
1149  금의 해릉왕(海陵王), 희종을 살해하고 제위를 오름 
1153  해릉왕, 연경으로 천도하여 중도(中都)라 칭함. 
1161  금의 남벌군(南伐軍), 채석기에서 패배. 
      해릉왕 살해되고 세종(世宗)이 즉위. 
1165  금과 송의 제2차 화의 성립. 
1170  왕중양(王重陽) 사망(1113 - ). - 全眞敎 
1189  몽골의 테무진, 칸을 칭함(제1차 즉위). 
1194  영종(寧宗) 즉위하고, 한탁주(韓탁胄)가 전권을 휘두름. 
1195  한탁주, 程氏 학파 탄압, 주희(朱熹)는 면관 - 慶元理學의 禁. 
1206  테무진, 몽골을 통일하고 칭기즈칸이라 칭함(제2차 즉위). 
1208  송과 금의 제3차 화의 성립. 
1209  몽골군, 서하를 물리치고 위구르를 복속. 
1214  금이 몽골에 화의를 청해 화약이 성립. 금, 개봉으로 천도. 
1219  칭기즈칸의 서정(西征) 시작( - 1224). 
1227  칭기즈칸, 소허룰 멸망시킨 후 귀환 도중 병사. 
1229  오고타이칸이 즉위(太宗). 
1234  금, 몽골과 남송의 군대에 공격받아 멸망. 
1235  몽골과 남송의 교전 시작. 
1251  몽케칸 즉위(헌종:憲宗). 동생 쿠빌라이를 漠南漢地大總督 임명.
1257  원호문(元好問) 사망(1190 - ). 
1259  몽케칸, 남송을 친정하던 도중에 사망. 
1260  쿠빌라이와 아릭부카가 칸으로 즉위하여 몽골제국의 내분 시작. 
      쿠빌라이칸, 최초로 연호제정, 관제정비, 중통교초 발행. 
      가사도(賈似道), 몽골과의 전공으로 재상이 되고 전권을 휘두름.
1264  아릭부카의 난을 평정. 연경(大都)을 도읍을 정함. 
1266  하이두, 반란을 일으켜( - 1301), 몽골제국 분열로 접어듬. 
1271  국호를 원(元)으로 바꿈. 
1274  바얀, 대거 남송을 공략. 
1276  바얀, 남송의 무조건적인 항복을 받아들여 임안(臨安)을 접수.
      육수부(陸秀夫) 등이 단종(端宗)을 받들어 해상으로 도주. 
1279  애산(厓山)이 함락되어 남송이 완전히 멸망. 
                 
      원말 명초 - 의천도룡기(1260~1367)
                 1333  원, 순종(順宗)이 상도(上都)에서 즉위. 
1351  하남(河南)에서 홍건(紅巾)의 난이 발생. 이후 각지에 군웅이 할거. 
1352  곽자흥(郭子興) 등이 거병. 주원장(朱元璋)이 그 휘하에 들어감. 
1353  장사성(張士誠), 고우(高郵)를 거점으로 성왕(誠王)을 칭함. 
1356  주원장, 금릉(金陵)을 거점으로 오국공(吳國公)을 칭함. 
1359  진우량(陳友諒), 강릉(江陵)을 거점으로 한왕(漢王)을 칭함. 
1363  주원장, 진우량을 파양(파陽)에서 격파하고 멸망시킴. 
      장사성, 오왕(吳王)을 칭함. 
1364  주원장, 자립하여 오왕(吳王)을 칭함. 
1367  장사성, 주원장군에 체포되어 자살. 주원장, 북벌을 시작. 
1368  주원장(太祖)이 즉위하여 명을 건국, 홍무제(洪武帝). 
      원의 순제(順帝), 대도(大都)를 탈출하고, 원 멸망. 
                 
                  청(淸) - 벽혈검, 녹정기, 서검은구록, 비호외전, 설산비호
                 1616  누르하치, 후금(後金)을 건국. 
1619  사르후 전투에서 후금이 명군에 대승을 거두고 요동(遼東) 진출. 
1623  환관 위충현(魏忠賢), 실권 장악. 이후 동림당(東林黨)을 탄압. 
1626  누르하치 사망. 홍타이지 즉위. 
1627  위충현 살해. 각지에서 농민반란 발생. 
1629  이자성(李自成), 반란에 가담. 
1635  홍타이지, 몽골 차하르部를 평정. 
1636  후금, 국호를 淸으로 바꿈. 
1641  이자성, 낙양을 점령하고, 명의 복왕(福王) 살해. 
1643  홍타이지 사망. 순치제(順治帝) 즉위. 
1644  이자성, 서안(西安)을 수도로 국호를 대순(大順)으로 정함. 
      이자성, 북경을 점령하고 명을 멸망시킴. 
      청, 오삼계(吳三桂)와 힘을 합쳐 이자성군 격파, 북경 입성. 
      남경(南京)에 복왕(福王)정권 성립. 
1645  청, 남경 공략, 복왕정권 멸망.  
      복건(福建)에 당왕(唐王)정권 성립. 이자성 살해됨. 
1646  당왕정권 멸망. 계왕(桂王) 영력제(永曆帝) 옹립. 
1650  정성공(鄭成功) 아모이(하문:厦門)을 근거지로 함. 
1657  오삼계, 평서대장군(平西大將軍)으로서 운남(雲南)의 영력제 공격. 
1658  정성공, 강남에 진격하여 일시 남경을 포위. 
1661  순치제 사망. 강희제(康熙帝) 즉위. 영력제 체포, 南明정권 소멸. 
      정성공, 대만(臺灣) 웅거. 청, 천계령(遷界令) 공포. 
1662  정성공 사망(1624 - ). 
1673  오삼계, 운남에서 거병. 삼번(三藩)의 난 발생. 
1681  오삼계, 자살. 반란 평정. 
1682  고염무(顧炎武) 사망(1613 - ). 
1683  대만 평정, 정씨 세력 소멸. 
1688  하르카部, 준가르部 갈단의 침략을 받아 청에 구원 요청. 
1689  러시아와 네르친스크조약을 체결. 
1690  강희제, 갈단 친정. 
1695  황종희(黃宗羲) 사망(1620 - ). 
1696  강희제, 갈단을 다시 친정. 다음 해 청의 외몽골 지배 확정. 
1715  카스틸리오네, 북경에 도착. 
1720  청, 준가르부를 추격해 티베트를 지배. 
      광주(廣州)에 일시 공행(公行) 결성. 
1722  강희제 사망. 옹정제(雍正帝) 즉위. 
1735  옹정제 사망. 건륭제(乾隆帝) 즉위. 
1750  티베트의 난 평정. 
1755  준가르부 토벌. 
1755  대외무역을 광주(廣州) 하나의 항구로 한정. 
      준가르부 다시 출병하여 토벌. 
1759  회부(回部)를 평정하고 신강(新疆)을 설치. 
1781  감숙(甘肅)에서 회교도의 난 발생. 
1796  건륭제 퇴위. 가경제(嘉慶帝) 즉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