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와 백제의 바림직하지 않은 대립
| 위덕왕 45년(598) 9월, 왕은 장사 왕변나로 하여금 수나라에 들어가 조공하게 하였다. 왕은 수나라가 요동에서 전쟁을 일으킨다는 것을 듣고 사신을 보내 표를 올려 군의 길잡이가 되기를 청하였다. 황제가 조서를 내려 말하였다. {왕년에 고구려가 공물을 바치지 않고 산하로서 예가 없어 장수에게 명하여 죄를 꾸짖게 한 것이다. 그러나 고원(영영왕)의 군신들이 두려워하고 복종하여 죄를 청하기에 짐이 이미 용서하였으니 정벌할 수가 없다} 수나라는 사신을 후히 대접하여 돌려보냈다. 고구려가 이 사실을 알고 군사로써 국경에 쳐들어와 약탈하였다. 삼국사기 권 27, 백제본기, 위덕왕 45년 ------------------------------------------------------------------------------------- 사료해석 : 이 사료는 6세기에서 7기로 넘어가는 역사적 변환기에 고구려와 백제가 서로 연합을 해서 신라, 당나라를 견제해도 모자라는 시기임에도 서로 다투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료입니다. 이것은 시대적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기 보다는 두 나라가 과거 얼머나 원한이 깊은 상태였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이 글에 대한 참조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을 운영자 허락없이 불펌할 경우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원저작자 로고>가 펌글에 자동 삽입됩니다.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역사 사료와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선덕여왕의 축출 (1) | 2007.03.06 | 
|---|---|
| 선덕여왕의 대당 구원 요청과 여왕의 축출 (1) | 2007.03.06 | 
| 간략하게 정리하는 삼국통일의 과정 (4) | 2007.03.06 | 
| 화랑도에도 파벌이 있었다. (2) | 2007.03.06 | 
| 동아시아의 격동기 - 삼국통일부터 고려건국까지의 동아시아의 변화 (1) | 200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