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기 중세 유럽엔 봉건제도의 위기가 찾아오다.
1. 봉건경제 전반이 위축되기 시작하다. 이번 장에서 살펴볼 부분은 중세 봉건제도가 더 이상 시대적 사명을 하지 못하고, 새로운 조류에 밀려 사라지는 단계입니다. 중세사회는 5세기 게르만의 이동기부터 10세기 무렵까지 끊임없는 시련을 겪어야 했습니다. 그 이유는 게르만의 이동, 마자르의 침입, 노르만의 이동, 이슬람 세력의 확대 등 당시 정세가 서유럽의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없는 체제였기 때문입니다. 봉건제도는 이러한 혼란기에 국왕 - 성직자 - 기사계급- 평민으로 이어지는 신분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화된 사회 제도였습니다. 그리고 이 제도는 10세기 이후, 봉건사회가 외부침입으로부터 안정되기 시작하면서 절정에 이르기 시작합니다. 10-13세기는 봉건제도의 절정기로서 장원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도시가 부활하였으며, 대학이 성립하고, 교황권이 안정적으로 유럽사회를 지배해나간 시기입니다. 그러나 13세기 이후 십자군 원정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이러한 중세적 사회 체제가 동요하기 시작합니다. 일단 십자군의 실패로 인하여 교황권, 기사권이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약화되었고, 반대급부로 동방무역을 통한 도시 상인계급이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또 몽골제국의 유럽원정으로 아시아 황색쥐가 유럽에 유입되면서 <흑사병>이라는 전대미문의 병이 유럽에 돌기 시작합니다. 13세기 후반 이래 유럽인들은 기근과 흑사병, 아시아계통 민족들의 재침입 등으로 큰 혼란에 빠집니다. 하지만 폐쇄적인 장원사회와 도시의 길드체제는 이러한 새로운 변화와 혼란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혼란의 원인을 농노와 도시 빈민층에게 돌리기만 하였습니다. 13-15세기 도시의 하층민과 노동자들은 폭동과 반란을 끊임없이 일으켰으며, 농노들은 몰락하는 장원을 버리고 도시로 향하기 시작합니다. 반면, 동방무역을 통해 성장하고 있던 도시세력은 이러한 혼란 속에서 스스로의 자치도시를 지키기 위해 13세기 이전에는 적대적이었던 국왕권과 제휴하기 시작합니다. 즉, 도시 상인귀족들은 국왕에게 세금을 내었고, 국왕은 도시에게 받은 세금으로 관료제도와 상비군을 마련합니다. 이 상비군으로 도시를 지켜주면서 도시와 왕권이 상호 연합하게 되는 것이지요. 상비군이란, <항상 준비된 군대>의 약자입니다. 이전에는 봉건귀족들에게 토지를 주고 쌍무적 계약을 맺어야만 왕권에 충성할 수 있는 군대를 얻을 수 있었고, 이 계약은 종종 파기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국왕이 세금을 비롯한 자금으로 직접 구입한 상비군은 국왕을 배신할 일이 없는 충성스런 군대였습니다. 달타냥과 삼총사를 보면, 왕실 상비군들이 목숨걸고 충성하는 기사이야기들이 나옵니다. 이 당시의 기사는 토지를 가진 영주도 아닙이다. 국왕에게 충성하면서 봉록을 먹는 이들인 것이지요. 이러한 관료제, 상비군의 마련으로 국왕권은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강해지는 데, 이러한 현상으로 나타난 근대적 성격의 중세 군주들의 시대를 <절대주의 시대>라고 부릅니다. 절대주의라니깐, 엄청 국왕권이 강한 것 같죠? 사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차차 나중에 다뤄 보도록 하죠. 아무튼, 이렇게 국왕권이 강해지고, 상업적 기반의 도시가 성장하면서 반대 급부로, 교황권은 약해지고, 장원제도는 몰락하기 시작합니다. 그 기점이 바로 십자군 원정이 실패로 규정되면서 끝나간 13세기 후반부터이지요. 서유럽의 14-15세기는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는 태동기로서 새로운 경제질서와 새로운 사회질서, 정치질서가 확립되는 시기입니다. 이러한 변화를 보통 중세에서 근대로의 전환이라고 합니다. 자, 그럼 중세가 근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인 14-15세기를 몇 차례에 걸쳐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먼저, 다음 포스팅에서는 14세기 장원이 붕괴한 원인을 다뤄 보겠습니다. |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15세기 : 서유럽 도시와 길드체제에 대한 분석 (0) | 2007.06.03 |
---|---|
14-15세기 : 서유럽에서 장원이 몰락하다. (0) | 2007.06.02 |
의왕시에 있는 안자묘를 다녀오다... (7) | 2007.06.01 |
1876년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은 어떤 조약인가? (11) | 2007.05.24 |
개화기 기획 자료 : 흥선대원군의 정책과 역사적 평가 (17) | 2007.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