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슬람에서의 하나님의 의미란 무엇인가? 이슬람에서의 하나님의 의미란 무엇인가? 코란에 대한 다음 원문과 원문 해설은 한국에 이슬람교에 대한 진실을 알리기 위한 다음 사이트에서 제작된 문서들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는 없고, 링크를 참조해서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이슬람에 대한 한국판 사이트 주소 : http://www.quran.or.kr/korean/indexk.html 이슬람에서의 하나님의 의미 발췌 모든 언어에는 신을 지칭하는 하나 혹은 여러 단어가 있다. 그러나 알라라는 단어는 다른 어떤 단어와 비교될 수 없는 특수함을 갖고 있다. 알라는 진실로 유일신의 이름이다. 영어의 God(신)가 복수형(Gods), 여성형(Goddess)을 갖는 반면에 알라(Allah)는 복수도 성(性)도 갖지 않는다. 알라라는 단어 자체가 하.. 더보기 이슬람의 다섯 가지 믿음 이슬람의 다섯 가지 믿음 코란에 대한 다음 원문과 원문 해설은 한국에 이슬람교에 대한 진실을 알리기 위한 다음 사이트에서 제작된 문서들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는 없고, 링크를 참조해서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이슬람에 대한 한국판 사이트 주소 : http://www.quran.or.kr/korean/indexk.html 이슬람의 다섯가지 믿음 이슬람에서 행동으로 실천해야 할 다섯가지 기본 기둥(믿음)이 있다. 이 기본 믿음에 따라 바르고 성실하게 행동하면 무슬림의 영혼은 창조주의 곁으로 올려질수 있다. 무슬림은 기본 믿음을 성실하게 실행하며 사회의 정의와 평등을 위해 노력하고 부정의와 거짓, 사악함에 대항하여 적극 투쟁해야 한다. 1. SHAHADAH(샤하다)는 다섯 가지 기본 기둥 중.. 더보기 이슬람의 예배문 이슬람의 예배문 코란에 대한 다음 원문과 원문 해설은 한국에 이슬람교에 대한 진실을 알리기 위한 다음 사이트에서 제작된 문서들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는 없고, 링크를 참조해서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이슬람에 대한 한국판 사이트 주소 : http://www.quran.or.kr/korean/indexk.html 1. 이슬람의 기본 예배 오직 한 분의 하나님만이 존재하신다. 한 분의 하나님이란 다음을 의미한다: 그 분께서는 자식이 없으시다. 부모도 갖지 않으시다. 하나님은 인간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과 그 외 모든 것을 창조하신 분이시다. 아무도 하나님과 같을 수 없다. 하나님께서는 한 명 안의 셋이 아니고 세 명 중의 하나가 아니시다. 아무도 하나님과 함께 권력을 나눌 수 없다. 하나님.. 더보기 거침없이 하이킥 제 5회 모의고사용 소스파일 모음 더보기 한문강독 2회 - 기초한자 2회 한문강독 2회 - 기초한자 2회 공지에서 설명했던 한문강독편입니다. 이번 글자는 한자검정 6급에 해당되는 초급 한자 중 1번째입니다. 여기도 쉬운 한자라 그냥 빨리 하면 되겠네요. 쉬운 한자 32자입니다. 交 사귈 교 今 이제, 지금 금 作 지을 작 信 믿을 신 光 빛 광 共 함께 공 京 서울 경 代 대를 이을 대 대신할 대 使 하여금 사 시키다 사 例 법식 례 公 공공의 공 공평할 공 分 나누다 분 利 이롭다 리 功 공로, 공세우다 공 勝 이기다 승 半 반절 반 古 옛 고 各 각각 각 別 다르다, 별도 별 勇 용감할 용 區 구분하다, 구역 구 反 되돌리다, 돌이키다 반 合 합하다 합 向 향하다 향 和 화목하다 화 園 동산, 정원 원 堂 집 당 향당, 학교 당 夜 밤 야 失 잃을 실 孫 자손, 손자 손 .. 더보기 중국사이야기 22 - 춘추전국시대의 사상 1. 유가사상 춘추전국시대의 사상 1 - 유가사상 1. 유가 사상의 특징 유가 사상은 춘추시대의 공자로부터 출발하여 그 제자들인 맹자, 순자로 계승된 사상입니다. 이 사상의 가장 핵심은 인간을 정치, 사회, 역사의 주체로 놓고 인간이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 가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통해 삶의 원리를 발견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 사상은 인간이 살면서 지켜야 할 윤리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윤리란 자연적인 것이 아닌 인간이 만들어가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이 사상은 자연속에서 진리를 찾는 도가적인 관찰자 역할을 무책임하다고 말합니다. 그렇다고 법가적인 강압주의는 인간의 윤리를 근본적으로 깨닫는 이치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유가사상가들은 자연과 강압의 가운데에서 을 통해 윤리를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그들은 .. 더보기 통일신라 이후 고려까지 존속한 <부>라는 체제 외위가 페지되고 국왕 근친들은 라는 것을 갖게 되었다. 1. 외위의 폐지 외위는 앞 장에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히 정리합니다. 에 대한 글을 읽으시려면 필수적으로 경위와 외위에 관련된 앞 포스트를 읽으셔야 이해가 가능합니다. 신라가 통일되면서 신라의 국왕들은 진골들이 자신의 가신들에게 독자적으로 주던 라는 것을 없애 버렸습니다. 그 이유는 삼국통일 후 왕권을 강화해야하는데, 지방의 외위제라는 독자적 관등제도가 왕에게는 불필요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외위를 없애면서도 왕의 종친에 해당되는 근친 진골들의 특권까지 제한하기에는 무리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통일 후 신라에서는 근친 진골들의 지방 지배을 인정해야 했고, 근친 진골들에게 국가유공자 성격의 을 토지로서 하사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식읍.. 더보기 신라시대 경위와 외위를 통해서 본 신라의 지배체제 신라시대 경위와 외위를 통해서 본 신라의 지배체제 1. 신라의 지배층은 간층이었다. 초기 신라의 지배층은 6부를 구성한 층이었습니다. 신라는 화백회의 등을 통해 6부가 합의로 국사를 이끌어가는 연합적인 국가였는데, 6부가 연합하여 추대한 왕을 이라고 합니다. 거서간은 간들의 우두머리라는 뜻이지요. 이후, 김씨가 왕위를 독점하면서 다른 6부의 간들보다 우월함을 과시하기 시작하는 데 이 때 등장한 용어가 바로 이라는 용어입니다. 마립간은 간 중의 최고 간이라는 뜻으로 군장들을 포괄하는 대군장을 말합니다. 즉, 신라가 이렇게 6부 체제로 출발하였기 때문에 신라 초기에는 6부의 간들은 각각 자신의 영역을 가지고 자신들만의 사적 관료 체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국가의 중대사는 6부가 공동하교를 내려서 결정하였고,.. 더보기 9주 5소경의 성립과 신라 지방 제도 구성 9주 5소경의 성립과 신라 지방 제도에 대한 분석 1. 신라 지방제도에 관련된 사료들 마침내 9주를 두었다. 본국(本國) 경계 내에 3주를 두었는데, 왕성(王城) 동북의 당은포(唐恩浦)로 향하는 길목에 있는 곳을 상주(尙州)라 하고, 왕성의 남쪽을 양주(良州)라 하고, 서쪽을 강주(康州)라 하였다. 옛 백제국의 경계에 3주를 두었는데, 백제의 옛성 북쪽의 웅진(熊津) 어귀를 웅주(熊州)라 하고 서남쪽을 전주(全州)라 하고 다음에 남쪽을 무주(武州)라 하였다. 옛 고구려의 남쪽 경계에 3주를 두었는데, 서쪽으로부터 첫번째가 한주(漢州)이고 그 다음 동쪽이 삭주(朔州)이고 또 그 다음 동쪽이 명주(溟州)이다. (《三國史記》34 雜志3 地理1) 완산주를 다시 설치하고 용원을 총관으로 삼고, 거열주를 파하고 청.. 더보기 한문강독 기초편 1회 - 기초한자 1회 한문강독 1회 - 기초한자 1회 공지에서 설명했던 한문강독편입니다. 한자검정능력시험 8-7급 수준의 기초한자입니다. 이건 안하셔도 되는 분들이 많죠? 여기에서 모르는 글자가 많으시다면 한문공부하기에 난감합니다. 빨랑 익히세요. 2회부터는 매일 20자 정도의 6급한자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寸 마디 촌 萬 일만 만 東 동쪽 동 南 남쪽 남 西 서쪽 서 北 북쪽 북 兄 형 형 學 배울 학 敎 가르칠 교 弟 아우 제 年 해 년 校 학교 교 室 집 실 韓 한나라 한 軍 군사 군 先 먼저 선 外 바깥 외 靑 푸를 청 白 흰 백 前 앞 전 左 왼쪽 좌 春 봄 춘 秋 가을 추 後 뒤 후 右 오른 우 夏 여름 하 冬 겨울 동 地 땅 지 然 그러하다 연 主 주인 주 住 살 주 姓 성씨 성 百 일백 백 千 일천 천 海 바다.. 더보기 이전 1 ··· 263 264 265 266 267 268 269 ··· 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