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

1882년. 임오군란이 조선에 미친 영향에 대한 글 1882년. 임오군란이 조선에 미친 영향에 대한 글 1. 1882년이 나타내는 시대적 상징은 무엇인가? 이번 장에서는 임오군란에 대하여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임오군란 하면 보통 이라고 알고 있고, 또 교과서에서도 그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시시콜콜 다 아는 이야기, 교과서에 써 있는 이야기를 굳이 또 적을 필요가 있을까... 고민끝에 이번 포스트에서는 임오군란을 1882년이 가지는 상징성을 가지고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오군란이 과연 군란인가? 이런 주제로요. 일단 지난 장까지 설명했던 이라는 부분을 복습해 놓으세요. (그림 1) 임오군란 때의 격전지 모습 임오군란이 일어난 1882년의 조선은 국론이 분열되고, 국가 체제가 동요하는 시기였습니다. 그 이유는 1880년 조선 책략이 유입되.. 더보기
판타스티아 1 - 일본의 신화 : 아마테라스, 쯔쿠요미, 스나노, 이자나키, 이자나미 - 일본의 신화 편 신화는 역사 속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담당합니다. 신들의 이야기를 다룸으로서 공동체의 결속을 다질 수도 있고, 그들의 문화 양식을 대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신화가 설화와 다른 점은, 말 그대로 를 다룸으로서 그 이야기 자체를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이지요. 예로, 단군신화에서의 환인의 의미는 우리 민족과 문화의 기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입니다. 역사는 인간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는 그 공동체를 하는 수단이지 신화 자체로서 이해하지는 않으니까요. 곰과 호랑이가 쑥과 마늘을 먹었다는 이야기를 우리는 그대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푸코의 해석에 따르면 신화 속에는 그 사회상이 녹아있다고 합니다. 곰과 호랑이 이야기에는 곰부족과 호랑이 부족이라는 토템이 있고, 당시.. 더보기
일본 서기에 나오는 일본과 신라의 원한 관계 관련 기사 모음 (발췌문) 일본 서기에 나오는 일본과 신라의 원한 관계 관련 기사 1. 신라는 작고 추한 나라이다. 천황이 궁으로 나오셨다. (중략) 천황은 제신에게 묻기를, 라고 물었다. 신하가 간하기를, 라고 말하였다. - 흠왕 원년 9월 5일 - 백제가 달솔 등을 보내 말하기를, 라고 하였다. - 제왕 6년 9월 5일 - 천황이 지시하기를, 신은 금후 일본국에 계시는 신의 아들에게 내관가로서 끊이지 않고 조공하겠습니다>라고 하였다. 또, 일설에서 신라왕을 포로로 하고, 해변에 데려가서 무릎의 힘줄을 끊고서 돌 위에 포복시켰다. 조금 있다가 베어서 모래 속에 묻었다. 한 사람을 남겨 신라에 있는 일본의 사행으로 하고 돌아갔다. 그 후 신라왕의 처는 남편이 묻혀있는 곳을 모르고 혼자서 사행을 유혹할 생각을 하였다. 행.. 더보기
(근현대사 16장) 1894년 갑오개혁 - 1차 개혁의 내용 1894년 갑오개혁 - 1차 개혁의 내용 1. 갑오개혁은 여러 이권이 맞물려 시작되었다. 보통 갑오개혁을 이야기할 때, 자주적이었는가, 의세의존적이었는가를 많이 이야기 합니다. 1차 갑오개혁은 일본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비교적 조선 관리들에 의해 차분히 진행되었습니다. 1차 개혁으로 조선의 근대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것은 평가할 만 합니다. 1차 개혁에서 일본의 역할이 왜 축소되었는지는 지난 파트에서 설명하였습니다. 부연하지면, 동학농민운동이 전주화약으로 평화롭게 끝나가는 것을 일본이 방관하지 않았고, 일본은 조선의 개혁을 강요하였습니다. 그러나, 청과 조선이 그것을 적극 반대하였기 때문에 일본은 무력으로 개혁을 강요하였습니다. 조선의 경복궁을 점령하고 청에게 군사적인 협박을 시작한 것이죠. 그러나, .. 더보기
(근현대사 15장) 갑오개혁(1894)의 추진배경 갑오개혁(1894)의 추진배경 1. 1894년... 왜 개혁이 필요했는가? 오늘부터 전개할 이야기는 갑오개혁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갑오개혁은 1894년에 1, 2차 개혁을 하였고, 그 다음해인 을미년에 3차로 을미개혁을 하였습니다. 이 개혁으로 조선은 서구식 근대화를 이루게 되었지만, 부작용도 많았습니다. 그럼 이 개혁이 이루어진 배경을 한번 볼까요? 갑오개혁은 우리 정부가 주체적으로 추진했다는 과 일본에 의해 강제로 추진했다는 의 시각이 있습니다. 이번 나중에 다루고 이번 장에서는 이 2가지를 적절히 다루어 보도록 하죠. 갑오개혁은 조선인 스스로 개혁을 해야 한다는 의 개혁의지가 1894년 반영되었다는 점이 일단 중요합니다. 그동안 조선은 개혁을 추진하려는 세력과 그것을 막으려는 보수세력이 혼재해 있었.. 더보기
(근현대사14장) 동학농민운동 4 - 동학농민운동의 논점들과 폐정개혁안의 취지 동학농민운동 4 - 동학농민운동의 논점들 1. 동학농민운동의 명칭은? 1894년의 동학교도와 농민들의 운동을 동학농민운동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동학농민운동이란 말은 교과서에서 쓰는 말입니다. 개론서와 각 단체의 입장은 다릅니다. 먼저, 동학농민운동이 동학 교도들의 종교운동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사건을 이라고 합니다. 동학 교단과 비교적 보수주의적인 역사학자들의 입장입니다. 당시 운동은 최시형 등을 중심으로 한 동학이 주도하였고, 동학의 포접제, 집강소 등이 사건의 중심을 이루는 기구였기 때문에 동학운동이 맞다는 논리이지요. 그러나, 사회경제사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과 진보적인 역사학자들은 이 사건은 으로 부릅니다. 그 이유는 사건이 일어난 이유 자체가 사회모순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전국적으로 농민들이.. 더보기
근현대사 12장) 동학농민운동 2부 - 1894년 1차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동학농민운동 2 - 1894년의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1.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오늘 적을 내용은 동학에 대한 2번째 이야기로 1894년,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894년 어떤 일이 있었는지 그럼 한번 출발해 볼까요? 지난 시간에 이야기했듯이 동학은 1850년대 후반부터 그 세력을 키워왔습니다. 최제우가 혹세무민이라는 성리학적 명분에 의해 죽고난 이후 교조신원운동을 전개하면서 동학은 그 힘을 키워가고 있었습니다. 이필제의 난 등을 겪으면서 동학은 점차 사회, 정치 운동까지 가담하게 되었습니다. 1870년대의 동학은 흥선대원군 대신 친일적인 성향의 민씨 정권이 들어서면서 반봉건 운동을 일으킬 명분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동학은 1862년 임술농민봉기 등 정부에 의해 크게 진압당해본 경험을 알고 있.. 더보기
(근현대사 10장) 청과 일본이 조선의 경제권을 놓고 다양한 조약을 맺다. 청과 일본이 조선의 경제권을 놓고 다양한 조약을 맺다. 1. 정치적 침략 못지 않게 경제적인 침략이 중요하였다. 1880년대 조선에서는 청과 일본이 조선의 주도권을 놓고 정치적으로 대립하던 시기였습니다. 초기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까지만 해도 청이 조선에서 전통적인 주도권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지요. 하지만, 그 대립은 1894년 동학운동 당시 청일전쟁 기점으로 일본에게 정치적 주도권이 넘어갑니다. 청과의 정치적 대립에서 승리한 일본은 이후 조선이 러시아를 통해 일본을 견재하려고 하자 을미사변 등을 일으켜 조선의 주도권을 유지하였고, 1904년 러일 전쟁을 계기로 조선에서 일본의 주도권을 확실하게 인정받습니다. 러일전쟁 직후, 을사조약이 체결되었고, 1910년 한일합방이 이루어진 것이지요. 이렇게 일본은 조.. 더보기
일본의 성씨 연원과 성씨의 분포 일본의 성씨들 이 자료는 운영자가 작성한 글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출처를 가지고 있는 글입니다. 번역/내용추가 · 편집 : JinGoon™(진기범),2006 원문사이트 : 일본성씨연구가 모리오카 히로시(森岡 浩)님의 사이트에서 발췌. (http://home.r01.itscom.net/morioka/myoji/shurui.html) 참고 : 묘지야[苗字屋] (http://www14.jp-net.ne.jp/03/0003/myoujiya.html) 본 문 일본어나 문화등에 대해서 관심이 있으시다거나, 혹은 역사에 관해서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현재 일본에 존재하고 있는 약 17만여개의 성씨 중 대부분은 메이지이신(明治維新:1868)때 새 호적정리로 인해 만들어졌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 더보기
개화기 기획 자료 : 흥선대원군의 정책과 역사적 평가 흥선대원군 시대, 격동의 한국사 속에서 어떻게 봐야할까?이번장에서는 흥선대원군이 실시한 정책에 대하여 논의해보려고 합니다. 흥선대원군은 1863년부터 1873년까지 약 10년간 정치를 이끌며 한국 근현대사의 주된 흐름을 이끌어간 사람입니다. 1. 개화와 척사가 난립하고 있었다. 흥선대원군이 집권하기 직전의 한국사회는 개화, 척사라는 두 흐름이 정치 전반에 긴장감을 주던 시기였습니다. 1860년대, 서양에서는 이양선을 보내 아시아 각국에 통상을 요구하고 있었습니다. 또 중국은 서양에 의해 베이징을 점령당했고, 일본은 메이지 유신으로 서양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습니다. 러시아는 연해주를 차지하여 우리와 두만강을 경계로 국경을 마주하게 되었죠.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세계사적 흐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