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 39 - 후한의 건국과 멸망에 대한 이야기
이번 장에서는 후한시대의 건국의 의미와 멸망까지의 역사를 한번 다루어보겠습니다. 후한은 기원 후 25년에서 220년까지의 왕조입니다. 1. 호족연합정권의 성립 왕망의 신이 지나친 국가통제적 정책을 실시하면서, 사회 전반의 모든 세력들이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호족들은 토지에 대한 규제 정책이 싫었고, 대상인들은 상공업 규제정책에 불만을 가졌으며, 농민들은 새로운 제도가 오히려 사회 불안을 부추기는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왕망이 죽을 무렵 시작된 전국 각지에서의 농민 봉기는 수습이 안될 지경이었습니다. 특히 반왕복한(왕망을 죽이고 한을 부활하자)는 구호를 위친 적미의 난(붉은 눈썹의 난)은 중국 각지에 번지고 있었습니다. 이전까지 계속 이야기 했지만, 중국의 농민반란이나 왕조 교체는 음양오행설에 입각하여 황의 왕조 다음에는 적의 왕조, 이후 청의 왕조 이런 식으로 오행의 순환을 반란 이론으로 대입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여기에 도가사상과 맹자사상의 혁명론이 가미된 것이 중국 전통의 농민반란 성격이었죠. 적미의 난과 함께 녹림의 난도 사회 혼란을 가중시켰습니다. 이러한 적미의 난에 호족과 지주들은 적극 가세하여 <신>의 멸망을 지원하였습니다. 특히 남양과 하북지방의 호족 세력을은 한의 유씨 혈통인 유수를 중심으로 뭉쳐 새로운 왕조를 개창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후한>왕조입니다. 후한 왕조는 그 탄생부터 <호족>들의 지원으로 탄생한 호족연합정권이었습니다. 그들은 전한의 유방이 천민적 성격의 유협집단과 함께 호족적 성격인 항우를 물리치고 집권한 것과는 정반대의 집단입니다. 후한은 건국주체 자체가 대토지 사유화에 적극 찬성하는 세력으로 경제적 기반이 탄탄한 호족이 주체가 된 정권입니다. 이것은 전한과 후한을 나누는 큰 기준이 됩니다. 전한이 한무제로 대표되는 개별인신적 황제지배체제의 국가라면, 후한은 호족들이 주체가 되어 이끌어나가는 호족연합적 전제지배체제의 사회입니다. 2. 광무제의 중앙에서의 중앙 집권 정책 후한을 창시한 유수(광무제)는 천도하자마자 수도를 장안에서 낙양으로 옮기고, 낙양을 중심으로 한 하북정권을 성립합니다. 이것은 광무제와 그 건국주체가 하북의 기반을 이러받은 대토지 소유자라는 것을 반증하고 있습니다. 광무제는 즉위 후 고민한 것이 호족연합으로 탄생한 정권인만큼, 호족들과 떨어져서 독자적으로 왕권을 행사할 수 있는가였습니다. 그래서 그는 지방에서 호족의 권한을 충분히 인정하면서도, 중앙에서 만큼은 독자적인 세력을 확보하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실시한 정책이 중앙의 외조인 3공의 권한을 약화시켜 버린 것입니다. 후한 대의 상공은 거의 명예직이었고, 실제 정무는 황제가 상서를 통해 하는 한무제기의 상서 정치에 가깝게 실시하였습니다. 즉, 상서대를 만들어 그 하부조직으로 상서령(장관), 상서복야(차관), 6조(행정실무)의 부서를 두었는데, 이로서 상서대 등 대각(내각 : 내조)가 완전히 실권을 장악하게 됩니다. 또 황제를 보필할 수 있는 측근 세력으로 <환관부>를 설치하여 환관들을 황제 측근으로 활용하였는데, 이것은 후한 대 환관이 발호하는 계기가 되어 후한 멸망을 가져오게 됩니다. 3. 광무제의 지방에서의 호족 연합 정책 광무제는 중앙에서는 왕권을 강화했지만, 지방에서는 호족들의 기득권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후한의 성립 근거 자체가 호족 연합적 정권으로서 <국가통제>를 실시하는 신을 멸망시켰기 때문입니다. 광무제는 국가가 나서서 통제할 수 있는 <국가통제체제>의 명문이 없었습니다. 그는 단지 지방 통제를 위해 전한기에 실시했던 13주 자사제를 계승하여 지방을 감찰하는 정도로 지방을 통제하였습니다. 또 사례교위를 신설하여 수도 및 가까운 지방의 정무를 순찰하려고 했지만, 이것도 황제의 녹을 먹는 중앙 신하들의 감찰 정도에 머물렀습니다. 실제 지방에서의 정책은 <호족적인 성향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갑니다. 광무제는 대토지 소유자에 대하여 전혀 손을 쓰지도 못하였고, 노비 해방령을 내리긴 했지만, 노비매매와 같은 민감한 문제는 손도 대지 못합니다. 후한에서의 지방관리나 태수는 호족의 자제로 선발하였습니다. 이 때 관리 선발은 군내 인재를 유교적 교양에 의거하여 중앙에 추천하면, <여론>에 의하여 관리를 선발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유교적 교양은 명분뿐이었고 실제 선발은 유력한 호족의 자제가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또 유력한 호족 가문에서 태수를 하고 있는 관계로, 지방의 실제 운영은 <호족>세력에 의한 것이었고, 관리를 선발하는 것은, 기존 호족이 새로운 호족을 천거하는 의미를 갖게되는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호족 성향의 지방 관료가 새로운 호족 관료를 선발함으로서 호족간의 유대는 깊어지고, 태수는 봉건영주와 같은 권세를 누리게 됩니다. 태수 아래의 하급관료들은 태수를 위하여 충성하는 <군신관계>적인 성향을 보였고, 후한의 지방 세력은 곧, 유력한 호족과 그 하위 호족들의 상하관계에 의한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호족들이 중앙정계에 많이 진출함으로서 후한의 호족은 단순한 토지 소유 호족이 아니라, 문무를 겸비한 관료적 호족이 많았고, 이러한 호족들이 낙양을 중심으로 호족적 문화를 이끌어 갔던 것입니다. 4. 유학은 계속 퍼져나가다. 후한시대에도 유교는 계속 되었습니다. 광무제 역시 전한의 이념을 본받아 태학, 오경박사 등을 설치하여 운영하였고, 한무제 이래 유교 관학화의 이념을 계승하려 노력하였습니다. 적극적인 숭유정책으로 백성들을 교화하였고, 덕치주의 이념에 따른 정치를 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특히 명제, 장제의 전성기 시대에는 공평한 조세 부과와 무리한 징병제도의 폐지, 사학의 융성 등을 통해서 유교적 애민정치의 토대를 닦았고, 미신적이던 전한 시대 동중서의 참위론을 몰아내고 <공자>의 참뜻을 읽기 위한 고문 연구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합니다. 5. 중앙 세력은 부패하고 호족세력은 중앙에 도전하다. 후한시대가 호족연합정권인 만큼,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호족세력들이 대토지를 사유화하고 빈부격차를 심화시켜 나갔습니다. 호족들은 지방을 근거지로 중앙과 지방 정계에 진출하고, 독자적인 봉건영주처럼 군림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호족들은 중앙 관직에 올라가면, 외척이나 환관 세력과 결탁하여 중앙 정치의 파벌 싸움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습니다. 특히 후한기에도 어린 황제의 즉위가 많았던 관계로, 외척의 발호, 환관의 외척견제, 호족의 중앙진출이라는 세 가지 맥락이 후한의 정치질서를 이끌어 갔습니다. 중앙에서의 혼란은 곧 지방에 큰 파급을 미치게 됩니다. 태수를 임명할 때의 부정부패와 청탁 정치, 파벌 싸움은 곧 사회문제로까지 번집니다. 황제권이 약하면, 외척들이 황제를 가지고 놀려고 하고, 황제권이 강하면 황제가 환관을 이용하여 외척을 제거하려 했기 때문에 중앙 파벌싸움은 끝도 없었습니다. 이렇게 되자 유교적 소양을 가지고 충성과 명예, 도덕, 중용 등을 숭상하는 관료지식인들과 재야 호족들은 중앙의 더러운 파벌 세력을 비판하게 됩니다. 특히 이들이 비판한 세력은 황제를 등에 업고 설치는 <환관> 세력이었습니다. 이렇게 재야에서 태학 등을 중심으로 환관을 비판하는 깨끗한 세력을 <청류>라고 하며, 기존 환관에 기대에 정치를 하는 더러운 세력을 <탁류>라고 합니다. 청류가 탁류를 비판하면서 맑은 정치를 하자고 주장하는 운동을 <청의 운동>이라고 합니다. 당시 이응과 태학생들은 붕당을 결성하여 <환관>세력들의 부패함을 알리려 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환관파에 의해 주살당하고 맙니다. 이 사건을 제 1차 당고의 금이라고 하죠. 1차 당고의 금 이후, 호족 출신의 대장군 두무, 진번 등은 환관을 주살하고 청류파 세력이 정권을 잡으려 정변을 일으키려고 했지만, 이것도 사전에 정보가 누출되어 청의파들은 모두 주살당하였습니다. 이것을 제 2차 당고의 금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재야 세력들은 부패한 중앙세력에 끊임없이 도전했지만, 그 결과는 처참하였습니다. 그러나 환관파의 부패한 정치는 극을 달려나갔고, 이것에 반발하는 청의운동은 더 확산되었습니다. 실제, 한의 멸망 후 위진시대와 남북조 시대의 귀족들은 이 청의 운동을 주도했던 호족들이 귀족화 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 당시의 호족들은 아직 환관세력을 누를 정도로 중앙 정치에 깊숙히 개입되지 못한 지방세력들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탁류파의 승리로 후한은 이제 재기불능의 부패한 사회로 타락해갑니다. 이렇게 되자, 이젠 나라의 밑바탕인 농민들이 들고 일어납니다. 이번에는 황색의 신앙으로 무장한 황건군들이 농민봉기를 일으켰습니다. 이 농민봉기를 국가가 수습하지 못하고, 지방 호족 세력들에게 진압을 떠 넘김으로서 후한은 스스로의 힘을 유지하지 못하고 멸망하게 됩니다. |
이 글에 대한 참고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을 운영자 허락없이 불펌할 경우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CALL BACK>기능이 자동으로 삽입됩니다.
3. 네모칸이나 밑줄이 삽입된 단어를 클릭할 경우 사이트 내 연계된 포스트들이 자동 출력됩니다.
4. 관련 글 모음 방 : http://historia.tistory.com/category/동양사이야기/중국사이야기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사 이야기 41 - 한무제의 국가재정 장악 정책 (1) | 2007.03.18 |
---|---|
중국사 40 - 황건적의 난과 후한의 멸망 (0) | 2007.03.16 |
중국사 이야기 38 - 왕망의 신(AD. 8~23)도 역사적 의의가 큰 왕조였다. (2) | 2007.03.15 |
중국사 이야기 37 - 한나라 시대의 제도사 : 중국엔 자사? 조선엔 관찰사! (0) | 2007.03.15 |
중국사 이야기 35 - 한 무제 사후 내외조의 대립과 전한의 멸망 (1) | 2007.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