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비잔틴 제국 - 비잔틴 제국의 흥망

비잔틴 제국의 정치사

1. 비잔틴 제국의 발전

비잔틴 제국은 동로마 제국을 말합니다. 비잔틴 제국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을 보면, 먼저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콘스탄티노플로 수도를 이전하여 동, 서 로마의 중심지를 분리한 것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이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4국통치기부터 동로마에 황제가 존재하면서 동쪽 로마가 서로마 못지않게 중심지 역할을 했었지요. 테오도스우스 황제 이후 동로마는 완전히 서로마에서 분리된 독립국가 형세를 갖추게 됩니다. 단, 분리 후에도 하나의 로마민족이라는 유대감이 있었으므로, 동서로마는 항상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한 공동체 의식을 견고하게 해 준 것은 크리스트교였습니다. 그러나, 성상숭배금지령 이후 로마 교회와 비잔틴 황제가 각각 카톨릭, 그리스 정교라는 종교로 갈라서면서 이러한 유대관계는 끊어집니다. 십자군 전쟁기 원래 목적은 성지탈환이라는 공통의 목적이 있었지만, 십자군 원정기에 이미 동서로마의 유대가 끊어졌기에, 후기 십자군은 정치적, 상업적 목적에 의해 서유럽이 동로마를 공격하는 형세를 보이기도 합니다.

비잔틴 제국은 동서 문화의 요충지에 있어서 상당한 외세침략 속에서 버텨온 제국입니다. 보통 비잔틴 제국을 서유럽의 방파제라고까지 부릅니다. 끊임없이 이슬람의 침입에 맞서 서유럽을 본의 아니게 지켜온 것이지요. 반면, 이러한 지리적 측면의 이점도 있습니다. 상공업과 무역이 크게 발달한 동서 무역의 요충지로서 비잔틴 제국이 힘이 있었던 시기에는 거대한 <재화>를 축척할 수 있었던 것이지요.

비잔틴 제국의 정치제도나 사회 체제를 보면 서로마 말기의 체제를 그대로 계승한 면이 보입니다. 강력한 황제를 중심으로 세밀한 관료제가 형성되어 있었고, 체계적인 교회가 존재했습니다. 서유럽이 게르만 사회로 변형된 것과는 좀 다르지요. 서유럽을 보통 로마-게르만 문화의 융합이라고 한다면, 비잔틴 제국은 그리스-동방문화의 성격이 상당히 진합니다. 예로, 서유럽의 공용어가 라틴어인데 반해 동로마 제국은 라틴어에서 차츰 그리스어로 변용한 공용어를 사용합니다.

2. 6c 전성기 : 유스티니아누스의 활약

비잔틴 제국은 동서로마의 분열 직후 5-6c 유럽의 주도권을 잡았습니다. 그 이유는 로마의 관료제도를 고스란히 계승하여 로마제국을 재건하고 그 전통을 유지하기 위한 필사의 노력을 했기 때문이죠. 비잔틴 제국은 스스로 로마의 후계자를 자처했습니다.

특히 6c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시기에는 예전 로마의 영토를 거의 회복하며, 로마의 전성시기를 다시 이어갑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로마시대 이래의 모든 법을 종합하고, 현실에 맞게 수정한 후 <로마법 대전>을 편찬하였습니다. 우리가 로마시대 하면 흔히 떠오르는 <자연법> 사상이 바로 이 법에 종합되어 있으며, 유럽국가 대부분의 법의 모태가 바로 이 법입니다. 자연법이란, 모든 공간 속에서 시민은 평등하다는 만민법 단계를 뛰어넘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절대적 진리의 법을 표방하는 법입니다. 이것은 시민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기본권리를 인정하는 법입니다.

유스티니아누스가 이런 법을 제정할 수 있었던 근거는 과거 로마제국의 영토였던 지중해 연안을 회복하는 등 보편적인 로마 황제권을 회복했기 때문입니다. 그는 북아프리카의 반달왕국을 공격하여 게르만족을 몰아내었으며, 이탈리아 반도에서 세력을 유지하던 동고트족도 몰아내었습니다. 그는 유럽의 공용어인 라틴어를 사용한 동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입니다.

그가 비잔틴 양식의 대표물로 건축한 성 소피아 성당은 비잔틴 제국의 걸작으로 남아 있습니다.

3. 7c 이후 비잔틴 제국의 쇠퇴기

강력할 것만 같던 비잔틴 제국이 쇠퇴한 것은 바로 <지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유스티니아누스라는 강력한 황제가 있던 시기와는 다르게, 7c 이후 비잔틴은 수많은 이민족의 침입 속에서 근근히 버텨나갑니다.

북에서는 아바르족, 슬라브족이 내려오고, 동에서는 파르티아를 이은 사산조 페르시아의 침입이 시작되었습니다. 남쪽과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이슬람 제국의 침입이 시작되었죠. 특히, 당시 가장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하여 유럽을 위협한 비잔틴 세력은 전성기 비잔틴 제국의 영토를 모두 빼앗아 갑니다. 이슬람의 침입 이후 비잔틴의 영토는 소아시아와 콘스탄티노플을 잇는 동지중해 연안으로 영토가 축소되었습니다.

7c 이러한 위험 속에서 비잔틴제국은 군관구제, 둔전병제를 실시합니다. 군관구제는 행정구역을 군사지역과 일치하여 구성함으로서 전쟁의 위협에 항상 대비하기 위한 체제입니다. 이 체제는 군역에 대한 보상이 지급되어야 했으므로, 군복무의 댓가로 일정한 토지를 수여하게 됩니다. 이러한 토지를 둔전이라고 하며, 이것이 바로 둔전병제입니다. (그리스, 로마시대의 클레로스랑 비교해도 재미있고, 중국 삼국시대 조조의 둔전과 비교해도 재미있습니다.)

둔전병제의 가장 큰 특징은 둔전의 <상속>입니다. 국가가 둔전으로 준 토지는 아들이 군역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상속이 가능하죠.

이 둔전병제의 실시로 비잔틴 제국의 사회체제가 크게 변화됩니다. 즉, 로마 말기 <라티푼티움>으로 대표되는 대토지 소유제도와 예속농민은 줄어들고, <둔전>을 가진 소토지 소유자가 늘어나게 된 것이죠. 이것은 사회의 기본 유지 단위가 자영농민과 자유촌락으로 변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이러한 자유촌락은 국가가 임명한 군관구의 행정시장(행정 외에 군사업무도 담당)의 통솔하에 7c 비잔틴 제국의 위기를 효율적으로 극복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그러나, 행정관에게 행정권과 군사권을 동시에 부여하는 군관구제도는 행정관의 권한이 너무 커서 반란이나 제위 위협의 원인이 됩니다.

8c 말기 - 9c 에 이르면 7개였던 군관구를 3여개로 분할하여 군관구를 담당하는 사령관이 큰 힘을 갖지 못하도록 제도적으로 경계하기 시작합니다.

4. 8c -10c 동로마의 재전성기

군관구제와 둔전병 제도로 로마식 국가체제를 완비한 비잔틴 제국은 다시 이슬람과의 싸움을 시작합니다. 8c 레오 3세는 이슬람을 격파하였습니다. 10c 후반에는 아르매니아를 병합하면서 중앙아시아까지 진출하게 되는데, 이것 때문에 중앙아시아에서 당시 패권을 잡고 있던 <투르크> 민족과 직접 대립하게 됩니다. 그러나 팽창하는 비잔틴은 10c에 이르면 투르크와 싸워 이길 힘을 잃게 됩니다.

그 이유를 살펴볼까요? 비잔틴 제국은 9c 중엽 이후 사회가 안정되자, 군관구제도가 다시 문란해지고, 로마 말기에 발생했던 <라티푼티움> 형식의 대토지 소유자가 등장하면서 향락적인 사회 분위기로 돌아섭니다. 봉건제가 발생하면서 자영농민은 몰락하였습니다. 소아시아에서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습니다. 대토지 소유는 곧 <둔전>을 지급받은 병사들의 보유지를 잠식하는 것이였고, 땅을 잃은 병사들 대신 <용병제도>가 도입되기 시작합니다.

또, 거대한 토지와 사병을 거느린 지방 군관구 행정관이나, 대토지 소유 호족들은 황제권에 도전하였습니다. 이 때부터 중앙의 관료계급과 호족들 간에 내분과 투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결국 중앙의 지배층은 호족들에게 밀리기 시작하였고, 지방 유력 대토지 소유자였던 호족 출신 <알렉시우스 1세>가 황제가 되면서 동로마는 약해진채로 십자군 시대를 맞이하게 됩니다. 실제 12-13c 동로마는 십자군을 이끈 서유럽과, 오스만 투르크라는 양쪽 세력 어느 하나도 견제하지 못한 채, 오스만 투르크에게 멸망하는 비운의 역사를 맞이하게 됩니다.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글을 퍼가실 땐 댓글을 남겨주시는 것...인터넷 문화의 기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