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멸망에 관한 사료
3월에 당 고종(高宗)이 좌무위대장군(左武衛大將軍) 소정방(蘇定方)으로 신구도행군대총관(神丘道行軍大摠管)을 삼고 김인문(金仁問)으로 부대총관(副大摠管)을 삼아, 좌요위장군(左饒衛將軍) 유백영(劉伯英) 등 수군과 육군 30만명을 거느리고 가서 백제를 치게하고, 왕(무열왕)으로 우이도행군총관(?夷道行軍摠管)을 삼아 군사를 거느리고 이를 응원하게 하였다. 5월 26일에 왕이 유신, 진주, 천존 등과 함께 군사를 거느리고 서울을 출발하여 6월 18일에 남천장에 다다랐다. 소정방은 내주에서 출발하니 전함이 천리에 뻗쳤는데 동쪽을 향하여 순류를 타고 내려왔다. 21일에 왕이 태자 법민(法敏)으로 병선 백척을 이끌고 덕물도(德物島)에서 정방을 맞게 했다. 정방이 법민에게 말하였다. [나는 7월 10일에 백제 남쪽에 이르러 대왕의 군대와 만나 의자의 도성을 깨뜨리고자 한다] 법민이 말하였다. [대왕은 지금 대군이 오기를 기다리십니다. 대장군께서 왔다는 것을 들으면 반드시 이부자리에서 새벽 진지를 잡숫고 서둘러 오실 것입니다.] 정방이 기뻐하여 법민을 돌려보내 신라의 병마를 징발하게 하였다. 법민이 돌아와 정방의 군대 형세가 성대하다고 말하니, 왕이 기쁨을 이기지 못하였다. 또 태자와 대장군 유신, 장군 품일과 흠춘 등에게 명하여 정예군사 5만명을 거느리고 부응하도록 하고, 왕은 금돌성에 가서 머물렀다. 가을 7월 9일 유신 등이 황산벌판으로 진군하니, 백제 장군 계백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먼저 험한 곳을 차지하여 진영을 세 군데 설치하고 기다렸다. 유신 등은 군사를 세길로 나누어 네 번 싸웠으나 전세가 불리하고 시종들은 힘이 다 빠졌다. 장군 흠순이 아들 반굴에게 말하였다. [신하된자로서는 충성만한 것이 없고, 자식으로서는 효도만한 것이 없다. 이런 위급함을 보고 목숨을 바치면 충과 효를 모두 갖추게 될 것이다.] 반굴이 [삼가 분부를 받들겠습니다]라고 말하고는 곧 적진에 뛰어들어 힘써 싸우다 죽었다. 좌장군 품일이 아들 관창(관장)을 불러 말 앞에 세우고 여러 장수들을 가르키며 말하였다. [내 아들은 나이 겨우 열여섯이나 의지와 기백이 용감하니, 오늘 싸움에서 삼군의 모범이 되리라!] 관칭은 [알았습니다]라고 말하고는 곧바로 말에 올라 창을 비껴들고 적진에 곧바로 진격하였다. 망을 달리면서 몇 사람을 죽였으나 상대편 수가 많고 이쪽은 군사가 적으므로 볼모가 되었다. 산 채로 백제 원수 계백 앞에 끌려갔다. 계백은 관창의 투구를 벗기고는 아이가 어리고 용감한 것을 아깝게 여겨 차마 죽이지 못하고 감탄하여 말하였다. [신라에는 뛰어난 병사가 많구나. 소년이 이러하거늘 하물며 장년 병사들이라!] 하고는 살려서 돌려보냈다. 관창이 돌아와서 말하였다. [아까 내가 적지 가운데 들어가서 장수의 목을베지 못하고 깃발을 꺾지 못한 것이 매우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다시 들어가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말을 마치자, 손으로 우물물을 움켜 마시고는 다시 적진에 돌진하여 민첩하게 싸우니 계백이 잡아서 머리를 베어 말안장에 매어 보냈다. 품일이 그 머리를 손으로 붙들고 소매로 피를 닦으며 말하기를, [우리 아이의 얼굴과 눈이 살아있는 것 같다. 왕실의 일을 위해 죽었으니 후회가 없다]고 말하였다. 삼군이 이를 보고 분개하여 모두 죽을 마음을 먹고 북치고 고함지르며 진격하니, 백제의 무리가 크게 패하였다. 계백은 죽고 좌평 춤상과 상영 등 20여명은 사로 잡혔다. 이날 정방은 부총관 김인문 등과 함께 기벌포에 이르러 백제 군사를 맞아 크게 깨뜨렸다. 유신 등이 당나라 군 진영에 이르자, 정방은 유신 등이 약속 기일보다 늦었다고 하여 신라의 독군 김문영을 군문에서 목 베려 하였다. 유신이 무리에게 말하였다. [대장군이 황산에서 벌어진 싸움을 보지도 않고 약속 날짜에 늦은 것만을 가지고 죄로 삼으려 하니, 나는 죄 없이 모욕을 받을 수 없다. 반드시 당나라 군사와 결전을 한 뒤에 백제를 깨뜨리겠다] 이에 큰 도끼를 잡고 군문에 서니, 유신의 성난 머리털이 곧추서고 허리에 찬 보검이 저절로 칼집에서 튀어나왔다. 정방의 우장 동보량이 정방의 발을 밟으며 말하기를 [신라 군사가 장차 변란을 일으킬 듯 합니다]하니, 정방이 곧 문영의 죄를 풀어주었다. 삼국사기 권 5, 신라본기 5, 태종무열왕 7년 ------------------------------------------------------------------------------------- 사료해석 : 신라로 인한 백제 멸망과정을 보여주는 핵심 사료입니다. |
이 글에 대한 참조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을 운영자 허락없이 불펌할 경우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원저작자 로고>가 펌글에 자동 삽입됩니다.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역사 사료와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춘추의 정치적 위기와 성급한 외교 (1) | 2007.03.07 |
---|---|
고구려의 멸망과 남생, 남건, 남산의 내분 (4) | 2007.03.07 |
계백 장군과 화랑 관창의 이야기 (1) | 2007.03.06 |
계백 장군과 황산벌 전투 (1) | 2007.03.06 |
선덕여왕의 축출 (1) | 200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