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

가야에서의 반란 - 포상 8국의 난 포상 8국의 난 "중계무역권이 붕괴되고 찾아온 가야의 위기.... 그들은 그것을 극복하지 못하고 역사의 장으로 나가지 못하였다. ." 삼국육사의 가락국기에 보면 서기 42년에 김수로왕이 금관가야를 건국하였다고 하면서, 또한 금관가야를 포함하여 6 가야가 건설되었다고 합니다. 6 가야는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하는 초기연맹체를 이루고 있었지만, 강력한 왕이 등장하지 못한 나라였습니다. 가야는 초기 변한지역에서 철기 문화와 농업생산력을 바탕으로 등장한 나라입니다. 2세기에 금관가야는 낙동강 유역 일대에 일종의 군장 연합체인 전기 가야 연맹의 맹주가 되었습니다. 금관가야가 발전한 이유는 철의 중계무역과 이를 통한 정치적 연대로 맹주의 자리를 차지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금관가야의 전성기는 4세기에 막을 .. 더보기
석기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석기시대인들의 생활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 구석기 시대는 석기를 다듬는 수법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합니다. 구석기 전기에는 주먹도끼, 찍개 등 큰 석기 1개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였습니다. 구석기 중기에는 격지들을 잔손질하여 작고 전문화된 석기들이 많이 출현하였습니다. 밀개, 긁개, 자르개, 찌르개 등등 석기가 다양해졌지요. 구석기 후기에는 더욱 다양해진 돌날격지 등이 사용되었습니다. 구석기 시대 실제 사용되었던 사냥 도구는 뼈도구와 뗀석기입니다. 사냥도구는 전기에는 주먹도끼, 찍개 등을 사용하다가 후기에는 슴베찌르개 등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조리도구로 사용된 것은 밀개, 긁개 등이었지요. 구석기의 대표적인 유적지로는 평남상원 검은모루동굴, 공주 석장리, 연천 전곡리 등이 대표적인 곳입니다. 구.. 더보기
한국사에서 시대구분은 어떻게 하고 있는가? 한국사에서의 시대구분논쟁(1) 한국사에서 시대를 나누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교과서를 보면 왕조를 기준으로 나누죠? 고대는 통일신라까지, 중세는 고려, 근대는 조선... 이런 식으로요. 하지만 교과서의 시대 구분은 절대적이지도 못할뿐더러 많은 비판마저 받고 있습니다. 도대체 통일신라같은 통일왕국이 왜 고대가 되야 하는지 생각해 보셨나요? 한국사에서 시대구분에 대한 논의를 처음으로 시도한 것은 마르크스 사회경제사학자인 "백남운"이었습니다. 백남운은 일제 식민지 시대인 1930년대 일본의 식민지 사관에 반대하여 우리 민족도 다른 민족과 같은 시대 발전이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려 했습니다. 그래서 시도된 것이 마르크스적인 시대 구분법이었죠.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시대 구분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 4.19 혁.. 더보기
중세 사회에서 시대를 구분하는 논쟁 중세사회의 시대구분 우리나라에서 중세는 언제부터일까요? 교과서에서는 고려시대 초기부터 중세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 증거는 신라의 골품제 사회의 원리(고대 노예제적 원리)가 사라졌다는 것입니다. 고대사회는 7세대가 하나의 친족단위였는데, 고려초부터는 5세대가 하나의 가족단위로 바뀌었고, 부족중심의 골품제가 사라져서 관료제 사회로 변하였다는 것이죠. 그 증거는 고려 성종 대 최승로의 시무 28조의 내용 때문입니다. 시무 28조에서 최승로는 유교적 통치이념을 통한 체제 정비를 주장하였고, 이것은 곧 중세적 사회편성원리를 반영하였다는 주장입니다. 조선시대부터 중세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것은 국가가 잉여생산물을 어떻게 수취하였는가에 따른 시대구분입니다. 즉 고려까지는 세금수취 방식이 이 기준인 인신적 개별지대.. 더보기
실증론적 역사해석과 역사철학적 역사해석 실증론적 역사 해석과 역사 철학적 역사 해석 역사에서 과거란 "기록으로서의 역사"를 말합니다. 즉 해석된 과거를 역사로 보는 것이지요.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은 단순히 지식을 무한 대로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역사 해석을 통해 사고력을 기르고 또한 현재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교훈성까지 획득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역사라는 학문은 기본적으로 과거라는 시간, 과거의 어느 곳이라는 공간 - 이 2가지 차원에서 학습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시간성과 인과성을 갖습니다. 따라서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은 시간, 공간이라는 2가지 차원에 대한 해석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통 역사 해석을 할 때는 현재를 기준으로 해석을 할 것이냐, 과거를 중심으로 해석할 것이냐라는 문제가 대두되는데, 전자를 역사철.. 더보기
역사의 2가지 의미와 역사에 대한 해석 역사의 2가지 의미와 역사 해석 교과서에서는 역사의 의미를 크게 사실로서의 역사와 기록으로서의 역사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사실로서의 역사는 객관적인 의미의 역사로서 "일어난 모든 사건"으로서의 역사를 말합니다. 기록으로서의 역사는 주관적 의미의 역사로서 "기록된 자료, 역사서"라는 측면에서 말하는 역사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역사를 말할 때는 기록으로서의 역사를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과거의 모든 사실을 알 수도 없고 또 안다고 해서 그것이 어떤 큰 의미를 갖는다고는 볼 수 없죠. 어떤 사람들은 "역사적 사실을 많이 알면 역사를 잘한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정말 비효율적인 것이죠. 법을 공부하는 사람한테 일반상식 시험을 보면서 조기는 어떻게 손질하느냐라는 문제를 내는 것처럼.. 더보기
고려 현종 왕계 및 가계도 더보기
고려 목종 왕계 및 가계도 더보기
고려 성종 왕계 및 가계도 더보기
고려 경종 왕계 및 가계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