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드라마 구미호 외전 플래시 플래시 파일의 용량이 너무 커서 로딩이 10초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상은 반드시 떠요... 기다리삼... 구미호 외전에 출연했던 한예슬 씨의 영상을 모았습니다. 16부작 중 1,2,3부의 모습입니다. 초반부만 해당하는 영상입니다. 이 때는 김태희씨한테 눌려 역할이 다소 애매모호했었죠... 더보기
루터의 종교개혁 - 독일 국민의 기독교 제후에게 고함 루터의 종교개혁 - 독일국민의 기독교 제후에게 고함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93-1546), 교회의 개혁에 관하여 독일국민의 기독교제후에게 告함 (1520) 1) ... 로마敎皇派(敎皇에 충성하는 전통적 카톨릭교도)는 영리하게도 그들의 주위에 삼중의 벽을 쌓았다. 지금까지 그들은 아무도 그들을 개혁하지 못하도록 이 벽으로 스스로를 보호해왔다. 그 결과 모든 기독교세계는 비정상적으로 타락하기에 이르렀다. 첫째로, 세속권력의 압력을 받게되면 그들은 敎令(decree)을 만들어 세속권력은 그들에 대한 지배권이 없으나, 반대로 교회의 권력은 세속권력 위에 있다고 선언하였다. 둘째로, 聖書에 근거하여 그들을 책망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기라도 하면, 그들은 이를 거부하며 오직 교황만이 聖書를 해석할.. 더보기
가르강튀아와 판타그레엘 중 수도원의 규율 가르강튀아와 판타그뤠엘 중 수도원의 규율 프랑스와 라블레 (Francois Rabelais, ca.1495 - ca.1553),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Gargantua et Pantagruel, 1534) 중의 일부: 뗄렘수도원의 규율 (The Rules according to which the Thélèmites lived) ... 그들의 삶은 모든 것이 법률이나 명령, 또는 규칙에 의해 규제되었던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유의지와 쾌락에 의한다. 그들은 원할 때 일어났고, 내키는 대로 먹고, 마시고, 일하고, 잠자리에 들었다. 누구도 그들을 깨우지 않았고, 먹고 마시는 것을 강제하지 않았으며, 그밖에 다른 무슨 일을 하도록 강요하지도 않았다. 바로 이 것은 가르강튀아가 확립한 것이었다. 그들의 규율.. 더보기
메디치 가문의 로렌초 메디치 메디치 가문의 로렌초 메디치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 (Francesco Guicciardini, 1483-1540), 피렌체의 역사 (1508-30) 일부: 로렌초 메디치(1449-1492)의 인품 그는 명예와 남보다 뛰어나는 것을 누구보다도 더 강렬히 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욕구를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일에까지 추구하였던 점에서는 그는 비판받을 수 있으리라. 詩作이나 여러 가지 餘興(놀이), 그리고 다른 종류의 시합에서도 누군가 그와 버금가거나 그를 모방하기라도 하면 몹시 화를 내었다. 이러한 욕구는 중요한 일에서도 역시 아주 강렬하였다. 그는 이태리의 모든 군주들과 모든 면에서 대등하거나 맞서려고 하였다. ... 전체적으로 보아 그러나 그의 야심은 상찬(賞讚)할 만한 것으로 그가 명성과 영예를 도처에서.. 더보기
프란시스코 페트라르카의 편지 르네상스시대 -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의 편지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Francesco Petrarca, 1304-1374) ... 오 수치스러운 시대여! 이 시대는 자신의 어머니이며, 자기가 누리는 모든 고귀한 점에서 덕을 보고있는 고전시대를 조소하는구나. 아니 심지어 이 시대는 자기를 저 영광스러운 과거와 동등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더 뛰어나다고까지 주장하는구나. 나는 이 천박한 무리, 인류의 떨거지들에게 아무런 할말이 없구려. 이들이 내뱉는 말이나 생각하는 것이란 그저 한바탕 웃음거리일뿐, 진지하게 생각할 만한 것이 전혀 없습니다... ... 그러나 교양있는 인간을 위해서라면 우선 古典에 무지해서는 아니되며, 그리되면 凡夫와 다를바 없는 무지와 환상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외에 달리 무슨 말을 해줄 수가 .. 더보기
중세 유럽의 도시 생활 중세 유럽의 도시 생활 1. 윌리엄 피츠 스티븐(William fitz Stephen), 런던의 번영과 관습에 대한 묘사, 1180년경 각각의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 즉 장사꾼, 날품팔이등등 이들 모두는 매일 아침 그들의 일에 따라 여러 구역으로 흩어진다. 그리고 런던에는 배와 주점이 모여있어 포도주를 살 수 있는 강변에 대중음식점도 있다. 여기에서 사람들은 날마다 계절에 맞는 여러 가지 식료품이나 음식을 발견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요리, 즉 구은 것, 삶은 것, 찐 것, 크고 작은 생선, 貧者를 위한 질긴 고기, 富者를 위해서는 上品의 야생동물, 크고 작은 갖가지의 새등등. 여행으로 지친 친구가 예고없이 방문을 하여 음식이 준비될 때까지 배고프게 기다리지 않으려고 한다면, 바로 템즈강변으로 달려간다.. 더보기
중세유럽의 농민과 장원제도 중세 유럽의 농민과 장원제도 1. 로머스하임(Rommersheim)에 소재하는 프륌수도원(Abtei Pruem)의 領地와 예속농민의 의무: 프륌수도원의 토지대장에서, 893세기말경 로머스하임에 소재하는 領地의 기록이 시작한다. 로머스하임에는 30 개의 완전한 예속농민의 보유지(mansus servillus)와 7 개의 영주지(terra indominicata mansa)가 있다. 비드라트(Widrad)는 완전한 보유지(mansus integratus)를 가지고 있는데, 그는 20 데나리우스(denarius; Pfennig)의 가치가 있는 수퇘지와 1 파운드의 실(絲), 3 마리의 닭, 18 개의 계란을 稅(census)로 바친다. 그는 매년 포도주를 운반하는 일을 하는데, 5월과 10월에 각각 반 씩 운.. 더보기
중세유럽의 신분제도와 기사도 중세유럽의 봉건제도와 기사도 1. 브뤼지의 갈버트(Galbert of Bruges)가 목격한 託身과 忠誠의 서약(Commendation and the Oath of Fealty), 12세기 초: 1127년 3월 2일 샤를르佰(Count Charles)이 살해되자 플랑드르伯 기욤이 새 主君(Lord)으로 등장하여 새로이 분봉의식을 거행하였다. ... 샤를르伯으로부터 예전에 봉토(封土)를 수여받았던 사람들은 이전에 획득한 것이 아무리 정당하고 합법적이었든지 간에 이를 새 主君 기욤佰으로 부터 새로이 봉토와 작위로 하사받고 그에게 封臣으로서의 맹세 - homage - 를 하였다. 4월 7일 목요일, 기욤佰에 대한 봉신의 서약은 다시금 행해졌고, 이는 종일동안 다음과 같은 순서로 거행되었다. 우선 그들은 이렇게.. 더보기
중세유럽의 신분제 교설 중세 유럽의 신분제 교설 1. 보름스主敎 부르카르트(Burchard, Bishop of Worms): 신분제에 관한 설교, 1008-1012 ... 최초의 인간이 범한 죄로 인하여 인류에는 신의 뜻으로 隸屬의 罰이 과해졌다. 그리하여 신이 보시기에 자유를 누릴 자격이 없는 자들은 자비를 베풀어 타인에 예속하도록 하였다. 세례의 은혜로서 모든 신자들에게서 原罪가 벗겨졌지만, 정의로운 神께서는 인간의 삶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그리하여 어떤 사람은 隸屬人(servus: 奴)으로 다른 사람은 主人(dominus)으로 만들었는데, 이로써 奴는 그 주인의 힘(postestas)으로 나쁜 짓을 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었다. 2. 캉브레의 主敎 게르하르트(Gerhard, Bischop of Cambrais): 신.. 더보기
교황이 황제에게 보낸 편지 서한 교황 겔라시우스 1세 (Gelasius I)가 황제 아나스타시우스(Anastasius)에게 보내는 편지(494년경) ...황제시여, 이 세상을 다스리는데는 두 개의 주요한 원리가 있사오니, 司祭의 신성한 權威(auctoritas; sacred authority)와 황제의 권력(potestas; power)이 그것입니다.이 둘 중에서 사제의 책임이 더욱 막중한 것이니, 그것은 이들 사제들이 신의 심판에 임하여 인간의 왕을 위하여 답변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자비로우신 아들이시여. 아시는 바와 같이 당신은 위엄에 있어서 모든 인간을 압도함에도 불구하고, 신성한 업무를 감당하고 이로부터 당신을 구원하는 수단을 추구하는 사제들에게 경건히 머리숙이는 법이 없습니다. 종교의 질서 안에서는, 즉 천상의 聖事를 받고 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