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역사 사료와 데이터

불국사 창건에 대한 이야기

 

불국사 창건

모량리(牟梁里)의 가난한 여인 경조(慶祖)에게 한 아이가 있었다. 머리가 크고 이마가 평평한 것이 꼭 성(城)과 같아 이름을 대성(大城)이라고 하였다. 집이 빈곤하여 살아갈 수가 없어 그는 부자인 복안(福安)의 집에 가서 품팔이를 하여 그 집에서 얻은 몇 이랑의 밭으로 끼니를 잇고 있었다. 어느날 점개(漸開)라는 스님이 육륜회(六輪會)라는 법회를 흥륜사(興輪寺)에서 열고자 하여 복안의 집에 와서 시주하기를 원하자 복안이 베 50필을 바쳤다. 그러자 점개가 축원해 주었다. "신도가 보시하기를 좋아하면 천신이 항상 보호하여 하나를 보시하면 만배를 얻게 되고 안락과 장수를 누리게 될 것입니다." 대성이 이 말을 듣고 뛰어 들어와 어머니께 말했다. "내가 문에서 스님의 말을 들으니 하나를 보시하면 만배를 얻는다고 합니다. 생각건대 우리가 전생에 닦은 선이 없어 이와 같이 가난하니 지금 보시하지 않으면 내세에는 더욱 곤란할 것입니다. 우리가 품팔이를 해서 얻은 밭을 법회에 보시하여 후일 과보(果報)를 도모함이 어떠하오리까?" 어머니가 좋다 하여 밭을 점개에게 시주하였다.

얼마 아니하여 대성은 죽었다. 이날 밤 국상(國相) 김문량(金文亮)의 집에 하늘에서 부르짖음이 있어 가로되, "모량리 대성이 이제 너의 집에 환생할 것이다"라 하였다. 사람들이 모두 놀라 모량리를 찾아보니 대성이 과연 죽었다. 그날 그 부르짖음과 동시에 임신하여 아이를 낳았는데 왼손을 꼭 쥐고 펴지 않다가 7일만에 폈다. 그 손 안에 대성(大城)이라는 두 글자를 새긴 금간자(金簡子)가 있어 이로 인해 대성이라 이름하였고, 그 어미를 모셔다가 아울러 봉양하였다.

장성하여 사냥을 좋아하여, 하루는 토함산에 올라가서 곰을 잡고 산밑 부락에 유숙하였다. 꿈에 곰이 귀신으로 변하여 시비하면서 말하기를 "네가 어째서 나를 죽였느냐. 내가 환생하여 너를 잡아 먹으리라"고 하였다. 대성이 두려워하며 용서를 청하였다. 귀신이 말하기를 "네가 능히 나를 위하여 불사(佛寺)를 세워주겠느냐" 하니, 대성이 맹서하여 좋다고 하였다. 꿈을 깨니 땀이 흘러 자리를 적시었다. 이후로 들에서 사냥하는 것을 금하고 곰을 위하여 그 죽인 자리에 장수사(長壽寺)를 세웠다. 이로 인하여 마음에 감동되는 바 있어 비원(悲願)이 더하였다. 이에 이승의 양친을 위하여 불국사(佛國寺)를 세우고 전생의 부모를 위하여 석불사(石佛寺)를 세우고 신림(神琳)과 표훈(表訓)의 두 성사(聖師)를 청하여 각각 거하게 하였다. …

장차 석불을 조각하려 하여 큰 돌 한 개를 다듬어 감개(龕蓋)를 만들다가 돌이 갑자기 세 조각으로 갈라졌다. (대성이) 분노했다가 그 자리에 잠들었더니 밤중에 천신이 내려와서 다 만들어 놓고 돌아갔다. 대성이 일어나 남쪽 고개에 급히 올라가서 향나무를 태워 천신을 공양했다. 이로써 그곳을 향령(香嶺)이라고 부른다. …

절안의 기록에는 이렇게 쓰여있다. "경덕왕(景德王) 때에 대상(大相) 대성이 천보(天寶) 10년 신묘(辛卯)에 불국사를 세우다가 혜공왕(惠恭王) 때를 지나 대력(大曆) 9년 갑인(甲寅) 12월 2일에 대성은 죽고 국가에서 이를 완성시켰다.

- 삼국유사 2권, 대성효 2세부모 신문대 -

법흥대왕의 어머니 영제부인(迎帝夫人)과 왕비 기윤부인(己尹夫人)은 머리를 깎고 비구니가 되었는데, 영제부인은 그 법명(法名)을 법류(法流)라 했고, 계율을 잘 지켰으므로 그가 창건한 화엄불국사(華嚴佛國寺)를 화엄법류사(華嚴法流寺)라고도 불렀다.

- 불국사 고금창기 -

참고글 : 불국사 창건에 대하여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그 중 하나는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로, 여기에 보면 528년(신라 법흥왕 15)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迎帝夫人)의 발원(發願)으로 불국사를 창건하여 574년 진흥왕(眞興王)의 어머니인 지소부인(只召夫人)이 절을 크게 중건하면서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과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주조하게 하여 봉안하였고, 670년(문무왕 10)에는 무설전(無說殿)을 새로 지어 《화엄경(華嚴經)》을 강설(講說)하였고, 그 후 751년(경덕왕 10)에 김대성(金大城)에 의하여 크게 개수되면서 탑과 석교 등도 만들었다고 하였다.

한편, 《불국사 사적(事蹟)》에서는 이보다 연대가 앞선 눌지왕(訥祗王) 때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하였고 경덕왕 때 재상(宰相) 김대성에 의하여 크게 3창()되었다고 하였다. 이상으로 미루어 처음에는 소규모로 창립되었던 불국사가 경덕왕 때의 재상 김대성에 의하여 대대적으로 확장된 것이 확실하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권5 <대성효 2세부모(大城孝二世父母)>조에는 경덕왕 10년 김대성이 전세(前世)의 부모를 위하여 석굴암을, 현세(現世)의 부모를 위하여 불국사를 창건하였다고 하였으며, 김대성이 이 공사를 착공하여 완공을 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국가에 의하여 완성을 보았으니 30여 년의 세월이 걸렸다고 한다. 당시의 건물들은 대웅전 25칸, 다보탑 ·석가탑 ·청운교(靑雲橋) ·백운교(白雲橋), 극락전 12칸, 무설전(無說殿) 32칸, 비로전(毘盧殿) 18칸 등을 비롯하여 무려 80여 종의 건물(약 2000칸)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불국사고금창기》에 있는 이 기록을 보면, 글씨도 일정하지 않고 크기도 달라 후대에 첨가된 것으로 추측되므로 여기에 나열된 건물들이 당시 한꺼번에 창건되었다고는 보기 힘들며 오히려 임진왜란 때까지 조금씩 건립된 것으로 추정함이 옳을 것 같다. 1593년 5월 임진왜란의 병화로 2,000여 칸의 대가람이 불에 타버리자 1604년(선조 37)경부터 복구와 중건이 시작되어 1805년(순조 5)까지 40여 차례에 걸쳐 국가적으로 또는 승려들에 의하여 부분적인 중수(重修)가 이루어졌으며 1805년 비로전 중수를 끝으로 그 이상의 기록은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조선 후기 국운(國運)의 쇠퇴와 더불어 사운(寺運)도 쇠퇴하여 많은 건물이 파손되고 도난당하는 비운을 겪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24년 대규모의 개수공사를 실시하여 다보탑의 해체보수, 법당의 중수 등을 실시하였는데 이때 다보탑 속에 있던 사리장치(舍利藏置)가 행방불명되었고 공사에 대한 기록도 남기지 않았다. 8 ·15광복 후인 1966년 석가탑의 해체복원 등 부분적 보수가 있었다가 1969년 불국사 복원위원회가 구성되고 1970년 2월 공사에 착수, 1973년 6월 대역사(大役事)를 끝마쳤다. 이 공사로 유지(遣址)만 남아 있던 무설전 ·관음전 ·비로전 ·경루(經樓) ·회랑(廻廊) 등이 복원되었고, 대웅전 ·극락전 ·범영루(泛影樓) ·자하문(紫霞門) 등이 새롭게 단장되었다.

불국사 경내에는 다보탑(多寶塔, 국보 20), 3층석탑(국보 21), 연화교 ·칠보교(蓮華橋 ·七寶橋, 국보 22), 청운교 ·백운교(靑雲橋 ·白雲橋, 국보 23), 금동비로자나불좌상(金銅毘盧遮那佛坐像, 국보 26), 금동아미타여래좌상(金銅阿彌陀如來坐像, 국보 27), 사리탑(舍利塔, 보물 61) 기타 많은 문화재가 잔존한다.

모든 사찰이 그러하듯이 여기에 다듬어진 돌들, 나무들, 그리고 적절히 꾸며진 공간(空間)들은 모두 사람의 정성이 깃든 곳이며, 그 정성은 우선 연약한 인간의 비원(悲願)에서 비롯된다. 자신의 구원(救援), 부모의 명복(冥福), 국가와 민족의 안녕, 부처의 가호(加護), 그 모든 것을 비는 절실한 염원(念願)이 이곳 돌 하나하나에 담겨 있다 하겠으며 이러한 정성으로 이룩된 불국사는 신라인이 그린 불국(佛國), 즉 이상적 피안(彼岸)의 세계 그 자체라 하겠다. 이 불국을 향한 염원은 대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니, 하나는 《법화경(法華經)》에 근거한 석가여래의 사바세계(娑婆世界) 불국이요, 다른 하나는 《무량수경》 또는 《아미타경》에 근거한 아마타불의 극락세계 불국이요, 또 하나는 《화엄경》에 근거한 비로자나불의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불국이다. 이 셋은 각각 대웅전을 중심으로 하는 일곽(一廓)과 극락전을 중심으로 하는 일곽, 비로전으로 종합되는 전체의 구성을 통하여 그 특징적인 표현을 이루어 놓았다.

이곳에 정성을 바친 승려와 선현(先賢)들을 일일이 열거할 수는 없으나 주요한 인물만을 열거하면 불국사를 창건하였다고 하는 영제부인(법명 法流), 절을 중건한 지소부인, 헌강왕비(憲康王妃) 권씨(법명 秀圓), 의상의 제자 표훈(表訓), 불국사의 개조로 불리는 김대성, 탑을 조성한 백제의 예술가 아사달(阿斯達), 그에 대한 애정을 자비(慈悲)로 승화시킨 아내 아사녀(阿斯女), 지금은 불타 없어졌지만 광학장강실(光學藏講室) 벽에 석가상을 수놓았던 경문왕(景文王)의 공주로서 비구니가 되었던 원해(圓海) 등은 모두 이 절에 염원을 건 사람들이다. 고려시대에는 지율(持律)이 엄하기로 이름난 유가학승(瑜伽學僧) 해원(海圓)이 이곳에 살았으며, 조선시대에는 효령(孝寧) ·안평(安平) ·영응(永膺) 등의 대군(大君)과 세종 ·노산군(魯山君), 왕실의 대비(大妃) ·상궁(尙宮) 등의 지성(至誠)이 끊임없이 불국사로 쏠렸다.  (참고글 글의 출처 : 네이버 지식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