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역사 사료와 데이터

알려지지 않은 삼한에 대한 중국측의 기록 3한에 대한 중국기록 한은 대방의 남쪽에 있는데 동쪽과 서쪽은 바다로 한계를 삼고 남쪽은 왜와 접하니, 사방 한 변이 가히 4천리 쯤 된다. 한에는 세 종족이 있으니 하나는 마한, 둘째는 진한, 셋째는 변한인데 진한은 옛 진국(중국)이다. 진왕이 월지국을 다스린다. 신지에게는 간혹 우대하는 호칭인 신운견지보안사축지분, 신이아불예구사진지렴이라는 칭호를 더하기도 한다. 이들 관직에는 위솔선, 읍군, 귀의후, 중랑장, 도위, 백장이 있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한에는 세종족이 있으니, 첫째는 마한, 둘째는 진한, 셋째는 변진이다. 삼한 땅을 합하면 사방 한 변이 4천여리로 동쪽과 서쪽은 바다로 한계를 삼으니 모두 옛 진국이라. 마한이 가장 강대하여 함께 그 종족을 추대하여 진왕으로 삼는데, 목지국에 도읍.. 더보기
연의 침략과 위만의 배신 고조선의 변화 2 (연이 쳐들어 온 이후 뒤이어) 진이 천하를 아우름에 미쳐서는 몽염을 시켜 장성을 쌓아 요동에 이르렀다. 이 때 조선왕 비가 섰는데, 진이 자기 나라를 습격할까 두려와하여 책략으로 진에 복속했으나, 조회는 하지 않으려 하였다. 비가 돌아가고 아들 준이 왕이 된 지 20여년에 진항이 일어나 천하가 어지러워지자 연, 제, 조나라 백성들이 괴로워하다가 차츰 도망하여 준에게 갔다. 준은 이들을 서쩍 지방에 와서 살게 하였다. 한이 노관으로 연왕을 삼자 조선과 연은 추수로 경계를 이루었다. 노관이 한을 배반하고 흉노로 도망한 뒤 연나라 사람인 위만도 망명하여 오랑캐 복장을 하고 동쪽으로 패수를 건너 준왕에게 항복하였다. 위만이 서쪽 변방에 거주하도록 해주면 중국 망명자들을 거두어 조선의 번병이 .. 더보기
위만조선 열전 위만조선전 위만이 왕이 되어 왕검에 도읍하였을 때는 마침 효혜, 고후(한나라 혜제왕 대 여후 섭정기)의 때로서 천하가 처음으로 안정된 무렵이였다. 요동태수가 위만으로 외신(외번)을 삼아요새 밖의 만이를 막아서 변방에서 도둑질하지 못하게 하고, 만이의 군장들 가운데 천자께 들어가 뵙고자 하는 자는 이를 막지 말도록 하자고 아뢰니 천자가 이를 허락하였다. 이 때문에 위만이 군사의 위엄과 재물을 얻자 주변 소읍을 침략하여 항복시키니 진번과 임둔도 모두 와서 복속하여 땅이 수천리나 되었다. 위만이 왕위를 아들에게 전하고 다시 손자 우거에게 이르자 한나라에서 도망쳐 온 사람들을 자못 많이 유인하였다. 또 일찍이 들어와 천자를 뵙지도 않으면서 진번 곁의 진국(한반도 남방의 중국, 3한의 모태)이 글을 올려 천자를 .. 더보기
제왕운기의 3조선설 제왕운기의 3조선설 본기에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상제 환인은 서자가 있었으니 이름이 웅이였다고 한다. 이 웅에게 일러 말하기를 “내려가 삼위태백에 이르러 크게 인간을 이롭게 할 수 있을까”라고 하였다. 이리하여 웅이 천부인 3개를 받고 귀신 3천명을 거느려 태백산 마루에 있는 신단수 아래에 내려왔다. 이분을 단웅천왕이라 이론다고 한다. 손녀로 하여금 약을 먹여 사람이 되게 하여 단수신과 결혼시켜 아들을 낳게 하였다. 이름을 단군이라 하니 조선 땅을 차지하여 왕이 되었다. 이런 까닭에 시라, 고례, 남북옥저, 동북부여, 예와 맥은 모두 단군의 자손이다. 1038년을 다스리다가 이사달에 들어가니 신이 되어 죽지 않은 연고이다. - 제왕운기 전조선기 - 사료해석 : 제왕운기는 3조선설을 제시합니다. 단군은 .. 더보기
치우설화와 단군신화는 깊은 연관이 있다... 치우설화와 단군신화의 관계 1. 헌원전의 기록을 옮기다 헌원이 살던 때는 신농씨가 다스리는 세상이 쇠퇴하여 제후들이 서로 침략하고 베어 죽이며 백성에게 포학질을 일삼았으나 신농씨가 능히 이를정벌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헌원이 방패와 창 등 병장기 쓰는 법을 익혀서 조공을 하지 않는 제후를 정벌하니 제후들이 모두 와서 복종하였다. 그러나 치우는 가장 난폭하여 정벌할 수가 없었다. 염제가 제후들을 불의에 습격하여 능멸하고자 하였으나 제후들은 모두 헌원에게 복속하였다. 헌원은 이에 덕을 닦고 병력을 정돈하여 5기를 다시르고 5종을 심어 만민에게 어루만지며, 4방을 제도하고 곰, 말곰, 비휴, 추호를 길들여서는 명제와 판천이라는 들에게 결전하였는데, 세 번을 싸운 후에야 소원을 이룰 수 있었다. 치우가 난을 .. 더보기
조선상 역계경 조선상 역계경 일찍이 우거가 격파되기 전에, 조선상 역계경이 우거에게 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않자 동쪽 진국으로 갔다. 그 때 백성으로서 역계경을 따라가 그곳에 산 사람이 2천호나 되었으며 이들은 조선 공번과 서로 왕래하지 않았다. - 삼국지 위서 위략 - 사료해석 : 조선상 역계경이라는 이 칭호로 고조선 시대의 이라는 용어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즉, 왕이 있었지만 독자적인 세력을 가진 등이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계층은 곧 고조선이 연맹왕국 단계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경,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이 있었으나, 그들이 왕에게 완전히 귀속되지 않았다는 것이지요. 이것은 이들 지배계급이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었고, 읍락 내부는 이들에 의한 였다는 것을 반증합니다. 예로, 동예에서는 산천을 경계로 침입.. 더보기
신문왕 대 일통삼한의식의 형성 일통삼한의식의 형성 왕은 군신과 더불어 의논한 후에 당의 조칙에 답하였다. 생각건대 선왕 춘추는 자못 어진 덧이 있었고, 더욱이 생전에 어진 신하 김유신을 얻어 한마음으로 정치를 하여 일통삼한을 하였으니, 그 공적을 이룩한 것이 많지 않다고 할 수 없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신문왕 12년조- 사료해석 : 통일신라시기부터 진정한 민족의 형성이라고 보는 이유는 통일신라시대에 의식이 싹뜨기 때문입니다. 일통삼한이란, 이전 3국이 각각 분립된 역사의식과 민족의식을 가진 것과 대비되어지며 드디어 우리 민족이 역사적인 관점에서 하나라는 의식을 스스로 자각하게 되는 증거로 볼 수 있습니다. 더보기
골품제의 규약 골품제의 생활 규약 진골의 방은 길이와 폭이 24척을 넘을 수 없으며……6두품의 방은 길이와 폭이 21척을 넘을 수 없고……5두품의 방은 길이와 폭이 18척을 넘어서는 안 되며 4두품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는 방의 길이와 너비가 15척을 넘지 못한다. 느릅나무를 쓰지 못하고, 우물 천장을 만들지 못하며 당기와를 덮지 못하고, 담장은 6척을 넘지 못하고, 또 보를 가설하지 않으며, 석회를 칠하지 못한다. 대문과 사방문을 만들지 못하고, 마구간에는 말 2마리를 둘 수 있다. 외진촌주(外眞村主)는 5품(品)과 같으며, 차촌주(次村主)는 4품과 같다. - 삼국사기 33권, 잡지 2, 옥사- 4두품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는 금·은·놋쇠와 주리평문물(朱裏平文物)을 금하고, 또한 털을 댄 담요 모피나 호랑이 가죽, 중국.. 더보기
백제의 중국 정복 사료 백제의 중국 정복 백제국은 본래 고구려와 함께 요동의 동쪽 천여리에 있었다. 그 후 고구려가 요동을 차지하니 백제는 요서, 진평 2군을 차지하고 통치하였다. - 송서 권 97, 이만열전, 백제국 - 그 나라는 본래 고구려와 함께 요동의 동쪽에 있었다. 진대에 고구려가 이미 요동을 차지하니 백제 역시 요서, 진평 두 군의 땅을 차지하여 스스로 백제군을 두었다. - 양서 권54, 동이열전, 백제 ; 남사 권79, 이맥열전(하) 백제 - 올해에(백제 동성왕 12년에) 위나라(북위 : 효문제 태화 14년) 오랑캐가 또 기병 수십만을 동원하여 복재를 공격하였다. 국경(요서의 백제영토)을 넘어서 침략하니, 모대(동성왕)는 사법명, 찬수류, 해례곤, 목간나 등 장군을 (요동으로) 보내어 무리를 이끌고 오랑캐의 군대를.. 더보기
부여인의 생활 부여인의 생활 부여는 장성의 북쪽에 있다. 남쪽으로는 고구려와 접해있고, 서쪽으로는 선비족과 접해 있다. 북쪽은 약수가 있으며, 그 영토는 2천리에 이른다. 가옥은 8만이고, 그 백성은 토지를 가지고 있다. 궁실, 창고, 뇌옥이 있으며, 넓은 평야와 구릉이 많아 동이의 영토 중에서는 최고로 비옥하다. 토지는 오곡이 많이 나나 오과는 나지 않는다. 그 백성은 몸이 크고, 성품이 강인하고 용맹하고 근면하며 후덕하고, 노략질은 하지 않는다. 국가에는 군왕이 있으며, 모두 가축의 이름으로 관직을 지어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대사, 대사자, 사자 등이 있다. 읍락에는 호민이 있으며, 이른바 하호들은 모두 노복이다. 제가는 별도로 사출도가 있는데, 큰 것의 주인은 수천호와 작은 것의 주인은 수백호에 이른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