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네이버 등 각종 사이트 마우스 금지 스크립트를 깨고, 글을 긁어오는 소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왕건의 출생 관련 사료 왕건의 출생 관련 사료 호경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는 스스로 성골장군이라고 일컬으며 백두산으로부터 유람하여 부소산(송악) 골짜기에 이르러 자리를 잡았다. 그는 한때 죽을 고비를 맞았으나 호랑이의 도움을 받아 생명을 구하고 나중에 산신과 함께 살았다. 그러나 옛 부인을 못잊어 밤에 내려와서 아들을 낳았다. 그의 아들 강충은 예성강 영안촌의 부잣집 딸 구치의라는 처녀를 아내로 맞이하였는데 풍수장이로부터 "만약 군을 산의 남쪽으로 옮기고 소나무를 심어 바윗돌이 드러나지 않게 하면, 삼한을 통합할 인물이 나리라"는 말을 듣고 소나무를 온산에 두루 심고 그 이름을 송악군이라 고쳤다. 그는 이제건과 보육이라는 두 아들을 낳았고 보육은 형의 딸 덕주를 아내로 삼았다. 보육은 두 딸을 낳았는데 작은 딸 진의는 바다 .. 더보기
2007년 4월 2일. 한문강독 20회 - 중급한자 14회 2007년 4월 2일. 한문강독 20회 - 중급한자 14회 이번 글자는 한자검정 5급에 해당되는 한자입니다. 여기서부터는 쉬운 듯하면서도, 가끔 막히는 단어들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 하루 학습량은 20자로 정해보았습니다. 他 다르다 타 (타인, 타국 등) 卓 높다 탁 책상 탁 託 부탁하다, 청탁하다 탁 宅 집 택 댁 댁 敗 패하다 패 必 반드시 필 河 강, 물 하 打 치다, 때리다 타 炭 숯, 석탄 탄 板 널빤지, 목판 판 品 물건 품 筆 붓, 붓으로 쓰다 필 寒 차다 한 害 해치다, 해롭게하다 해 방해하다 해 湖 호수 호 患 근심 환 凶 흉하다, 재난 흉 許 허락하다 허 化 되다 화 (변화, 화학, 화석 등) 效 본받다 효 黑 검다 흑 街 거리 가 假 거짓 가 틈, 여가 가 覺 깨닫다 각 이 글에 대한.. 더보기
김용 소설의 시대적 배경 설명표 김용 소설의 시대적 배경 설명표 원문 출처 : http://kimyong.new21.org/ ----------------------------------------------------------------------------송(宋) - 천룡팔부(1091~1093) 960 조광윤(趙匡胤), 즉위하여 宋을 건국(太祖). 976 태조가 급사하고 동생 조광의가 太宗으로 즉위. 979 北漢, 송에 항복해 연운십육주만 남기고 대략 중국의 통일 완성. 요를 토벌했으나 고량하(高梁河)에서 패배. 1004 송과 요 사이에 화의가 성립. - 전연의 맹(전淵之盟) 1028 이원호(李元昊), 위구르를 깨뜨리고 감주(甘州)를 점령. 1038 이원호 즉위, 대하(大夏)라 칭함(西夏). 이후 송과의 항쟁 지속. 1043 범중.. 더보기
2007. 4. 1 역사 검색 로그표 : <춘추전국시대의 사상> 2007. 4. 1 역사 검색 로그표 : - 4월 1일(4월 1주) - 4월 1일 포탈사이트에서 유입된 가장 많이 검색한 역사단어는 였습니다. - 4월 1일 가장 많이 유입된 포탈사이트는 네이버였습니다. 더보기
사조영웅전에 대한 분석 사조영웅전에 대한 분석 원문 출처 : http://cafe.naver.com/noblood.cafe 놀랍다는 말밖에 안나오는 군요. 이렇게 까지 소설을 정확히 분석한다면, 정말 여러번 읽은 분 같습니다. 저도 사조영웅전 여러번 읽었지만, 못 따라 가겠네요. ------------------------------------------------ 이 발표되자, 김용의 '무림지존(武林至尊)'의 지위가 진정으로 확립되었으며, 모든 사람들이 '김대협(金大俠)'이 무협 소설계의 '진명천자(眞命天子)'임을 공인하게 되었다. 김용의 모든 작품 중에서 은 그 영향력이 가장 크고 독자들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 중의 하나이다. 이 소설이 이토록 거대하고 광활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까닭은 당연한 말이지만 행운에 힘.. 더보기
[학술]“金庸은 무협지로 중국을 일으키려 했다” [학술]“金庸은 무협지로 중국을 일으키려 했다” 유경철 씨 정통 문학이 아니어서 읽을거리로만 여겨지던 중국 무협소설을 학술적으로 연구한 한국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이 나왔다. 중문학자 유경철 씨(36)는 ‘사조영웅전’ ‘의천도룡기’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 무협소설을 펴낸 작가 진융(金庸·81)의 작품을 분석한 논문 ‘김용 무협소설의 중국 상상(想像) 연구’로 최근 서울대 중문학과에서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통과했다. 지도교수는 2003년 ‘무협소설의 문화적 의미’라는 책을 낸 같은 과의 전형준(필명 성민엽) 교수. 그동안 한국에서는 진융에 대한 석사학위 논문 2편만 있었을 뿐이다. 유 씨는 이 논문에서 중국 무협소설이 제국주의 열강에 침탈당하고 내전으로 인해 대륙과 대만, 홍콩 등으로 분리된 중국인들의 정신적.. 더보기
김용작품 - 천룡팔부 : 천룡팔부에 대한 김용의 서문 김용작품 - 천룡팔부 : 천룡팔부에 대한 김용의 서문 천룡팔부는 8편짜리 장편만화로 본적이 있는데, 군대에서 나중에 소설로 다시 읽었네요. 인물대립이나 묘사가 정말 뛰어난 작품이면서도 역사적인 관점도 탁월한 작품이었습니다. ------------------------------------- 천룡팔부(天龍八部)라는 말은 불경(佛經)에서 나온 용어이다. 많은 대승불교의 경전에는 부처님이 많은 보살과 비구니에게 설법을 하실 때에 언제나 천룡팔부가 함께 참석하여 설법을 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법화경(法華經)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천룡팔부는 사람이면서 사람이 아닌 중생(衆生: 감정이 있는 생명체)이다. 모든 사람들은 용녀(龍女)가 부처로 변하는 것을 보았다." 사람이면서 사람이 아니라고 함은 모습은 .. 더보기
남북조의 귀족 2 - 귀족사회로의 전환되다 남북조의 귀족 2 - 귀족사회로의 전환되다 1. 한대 호족은 를 원칙으로 하였다 원래 호족은 지방에서 대토지와 무력을 가진 세력을 뜻한다는 것을 지난 포스트에서 설명하였습니다. 이 호족들은 전한시대에는 속에서 대두되는 향촌 세력으로서 객, 문생, 고리, 부곡 등과 연결되었고, 노비를 통해 생산력을 확보한 계층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아직 중앙관계에 진출하기에는 부족했습니다. 전한 시대 외척과 환관의 싸움이 치열하였고, 이들은 지방에서 묵묵히 세력을 키우고 있었죠. 이들은 후한 광무제 정권 이후에 크게 대두합니다. 후한 정권 자체가 호족연합정권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이제 을 붕괴시키고, 향촌 사회의 지배자로 나서기 시작합니다. 이들은 향거리선제를 통하여 호족의 추천으로 지방 사회를 장악해 나갑니다. 보통.. 더보기
남북조의 귀족 1 - 호족의 성립과정과 호족의 개념 중국사에서 호족의 개념과 성립 배경 이번 장에서는 호족이란 무엇이며, 이들이 어떻게 등장하였고, 어떻게 발전해나가는지, 후한 말기부터의 역사적 상황을 배경으로 다뤄보겠습니다. 이라는 개념은 동아시아사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개념이나, 한국, 일본에서는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중국사에서 자세히 다루는 이유는 이 짧은 개념의 배경을 좀 더 상세히 알기 위함입니다. 1. 토지를 가진 자들이 사회세력화 하다 한 무제가 강력한 경제 통제책을 사용하여, 국가 재정과 황실 재정을 늘려나가자, 대상인들은 그들이 가진 부를 로 돌려 버리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가 곧 재산이라는 인식이 늘어나서, 대토지를 가진 자들이 사회전반에 확산되었습니다. 실제 한무제기에는 장건의 서방 실크로드 개통, 농업과 수공업의 발전, 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