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서임권 투쟁 4 - 서임권 문제 총정리 서임권 투쟁 4장 - 서임권 문제 총정리 지난 장에서 서임권 문제의 배경은 수도원 개혁운동으로, 서임권 문제의 핵심 사안은 토스카나 가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마지막 장에서는 서임권 문제를 학문적 입장에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임권 문제의 배경 서임권 문제의 배경은 성직자 임명권이 에게 넘어간 것에서 시작됩니다. 그리고, 세속 제후가 서임권을 가진 것은 중세 전체의 사회적 변화에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즉, 노르만 등의 이민족 침입으로 혼란해진 서유럽은 라는 유럽 중세 특유의 제도를 성립시켰고, 봉건제도에서는 등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영지 지배체제(지방분권체제)가 일반적이었습니다. 따라서 각급 하부단위 교회는 봉건제도의 장원안에 설립된 관계로, 영주의 지배체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 더보기
서임권 투쟁 3 - 서임권 투쟁의 배경 : 중세 수도원과 수도원의 개혁운동 중세 수도원과 수도원의 개혁운동 이번 장에서는 중세 수도원과 수도원이 실시한 교회 개혁운동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클뤼니 수도원을 중심으로 한 간단한 글이 되겠네요. 1. 중세의 수도원 수도원은 기원후 4세기 로마에서 등장한다고 합니다. 4세기 서로마가 멸망할 무렵에 혼잡하고, 타락한 교회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수도원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고, 수도원의 계율은 정절, 복종, 청빈, 검약 등이었다고 하네요. 이 수도원은 로마의 변방이나, 동로마 쪽에서 새로운 개념의 교회를 세우면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3세기 성 안토니오, 4세기 성 바질 등의 성인들이 이끌었다고 합니다. 6세기에 본격적인 수도원이 등장하는데, 성 베네딕트 수도원이라고도 불리는 입니다. 베네딕트가 세운 이 수도원은 청빈, 복종, 정결 등을 .. 더보기
서임권 투쟁 2 - 그레고리우스 7세의 승리, 하인리히 4세의 복수, 마틸다의 재복수 하인리히 4세와 철의 여인 마틸다 - 그들의 복수와 재복수 1. 하인리히 4세의 복수 하인리히 4세는 카노사의 굴욕을 새로운 기회로 생각했습니다. 카노사의 굴욕은 육체적 치욕일 뿐, 히인리히가 황제권을 잃은 것도 아니였습니다. 그리고 한번 머리숙여 빌어서 교황에게 파문당한 것도 회복되었으니까요. 황제를 견제하던 영주들도 교황이 황제를 (비록 치욕적인 굴욕이었지만) 용서함으로서 더 이상 황제를 몰아붙일 구실을 잃었습니다. 훗날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는 황제 하인리히 4세를 용서했다는 사실을 뼈져리게 후회하게 됩니다. 독일 제후들은 하인리히 4세를 폐위하려고 했지만, 교황이 황제를 용서함으로서 우왕좌왕하게 되었고, 독일은 서로 죽이고 죽이는 내전상태에 빠졌습니다. 교황은 후회합니다. 이럴 줄 알았으면 하인리.. 더보기
서임권 투쟁 1 - 카노사의 굴욕, 그 전말과 토스카나 가문 중세 서임권 투쟁과 카노사의 굴욕, 그리고 토스카나 가문 1. 로마의 몰락과 중세의 시작 로마가 몰락하면서 고대는 끝나고 중세가 시작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이제 점차 옛 로마의 영광을 잊어가기 시작합니다. 2백만이 넘는 고대 초호화 도시 로마는 게르만과 노르만의 침입 이후 인구 2만에 불과한 추억의 도시로 전락하기 시작했습니다. 현대의 역사가인 프로카치는 로마의 역사를 이렇게 말합니다. 그 동안의 경위를 설명하자면 복잡하다. 한 마디로 말하자면, 드높이 쌓아올렸던 것들이 끝도 없이 무너져서 소멸해갔다. 로마 제정 말기의 엄청난 경제, 사회적 위기와 이민족의 침입, 그리고 6세기 고트족과 동로마 제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이탈리아를 망가뜨렸다. 그리고 롬바르드족이 이탈리아 반도에 남하하여 정착하였다. 이러한.. 더보기
고대 사회에서의 <부체체론> 고대 사회에서의 1. 부체제론과 귀족연합론 부체제론과 귀족연합론은 초기 삼국시대의 독자적 족장세력을 국가가 흡수하는 것에 대한 관점의 차이 논쟁입니다. 부체제론에서는 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는데 비해, 귀족연합론은 이라는 것에 키워드를 맞추어 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귀족연합론부터 볼까요? 귀족 연합론이란, 초기 국가의 형태가 에 주목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국왕과 귀족은 서로 권력에 있어서 주도권을 놓고 다투는 존재입니다. 삼국이 각 독자 세력들을 관등제도에 의해 편제하였지만, 과연 이 관등제도가 왕권과 귀족권 중에 어떤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 졌는가를 논의합니다. 일반적으로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등제도의 성립으로 지방 족장들이 왕권에 복속되어 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귀족들이 관등.. 더보기
삼국의 통치제도 정리 삼국의 통치제도 정리 1. 통치체제의 개요 삼국은 모두 부체제 형태의 국가로 시작합니다. 부 체제란, 삼국이전부터 각기 영역을 가지고 독립적인 세력을 유지하던 각 부가 중앙왕실에 귀속되었지만, 각 부 귀족들은 각자 관리를 거느리고 독자적으로 영역을 지배하는 체제를 말합니다. 고구려와 백제, 신라 등은 모두 부가 있었습니다. 고구려와 백제는 5부, 신라는 중앙 6부가 있었죠. 이들 독자적인 부 중에서 힘이 있는 부에서 왕을 배출하였습니다. 이러한 초기 부체제를 보통 역사에서는 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각 부는 중요한 일들을 각 부의 연합회의(귀족회의)에서 결정하였습니다. 고구려의 제가, 백제의 정사암, 신라의 화백 등은 삼국 초기의 부체제를 상징하는 회의들입니다. 국왕은 어떤 명령(교, 칙)을 내릴 때에도.. 더보기
신라의 성장과정은 정복과정인가, 연합과정인가? 신라의 성장과정은 정복과정인가, 연합과정인가? 신라의 건국은 박혁거세 설화에서 시작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서로 상반되는 두 사료를 통하여 신라의 성장과정이 어떠한 과정을 겪는 것으로 이해하는지를 파악해보려고 합니다. 전통적인 견해는 을 통한 신라의 발전입니다. 최근의 새로운 견해는 로서의 초기 신라를 바라보는 관점입니다. 1. 전통적 견해 : 신라는 정복국가로서 지배체제가 확대되었다. 신라의 발전에 대한 , 즉 과거 한국사통론, 한국사신론의 입장은 신라가 사로 6촌에서 시작하여 를 중심으로 확장해 나갔다는 관점입니다. 신라의 역사는 사로 6촌 - 사로국 - 진한연맹 - 거서간 - 차차웅 - 이사금 - 마림간 - 성골왕 시대 - 왕명 사용시대 - 불교왕명시대 - 진골왕 시대 - 중국식 연호 사용시대 등.. 더보기
히스토리아 공지사항 더보기
티스토리 초대장을 발부합니다. 티스토리 초대장을 발부합니다. 티스토리 초대장 5장을 발부합니다. 티스토리 메인 사이트에서 5장의 초대장을 발부해주셨습니다. 이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사용하실 분에게 해당 사이트에 해당할 경우 선착순으로 초대장을 발부하겠습니다. 초대장 발부일 : 3월 25일 ~ 무기한... 형식 : 이 글 아래에 선착순으로 댓글을 달아주시고, 성명과 이메일을 남겨주시고 바랍니다. 어떤 내용의 블로그를 운영하실 것인지 약식으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발부기준 : 역사, 종교, 과학, 문학, 예술 등 교양 학술 목적의 사이트인 경우 발부합니다. 역사내용이 포함된 블로그를 운영하실 경우 우선 발부합니다. ----------------------------------------------------------------------.. 더보기
의천도룡기에 대한 작품 분석 의천도룡기에 대한 작품 분석 원문 출처 : http://cafe.naver.com/noblood.cafe 의천도룡기에 대하여 가장 잘 분석한 작품분석인 것 같습니다. 가히 지존의 글이네요. 이 글을 쓰신분과 한번 얘기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드네요. ---------------------------------------------------------------------------- , , 를 합쳐 사조삼부곡(射雕三部曲)>이라 한다. 적지 않은 독자들은 다음과 같은 의문을 품을 것이다. 사조삼부곡의 최후 작품인 는 앞의 두 작품과 거의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고, 완전히 독립된 하나의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데 어째서 사조삼부곡 중의 하나가 되어야만 하는 것일까? 첫째로, 이 책의 이야기는 앞의 두 책의 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