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남조 정권의 계승 과정 : 송, 제, 양, 진의 무신 정권과 귀족 사회 남조 정권의 계승 과정 이번 장에서는 5호 16국 시대가 진행되는 동안 한족 정권인 남조 정권에 대하여 간략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그 두 번재 국가로 을 살펴보죠. 중국 남조는 동진 - 송 - 제 - 양 - 진 - 수(통일국가)로 연결됩니다. 5호 : 후한조부터 중국내지 이주 → 중국지식인의 사융론(한(흉노) - 후조(갈) - 전진(저 : 비수전투) -북위(선비)) △ 秦의 통일(BC 221) → 한제국(BC 202) → 왕망(8년) → 후한(23년) → 삼국시대(220) → 서진(265) △ 화북 : 5호 16국(304-439) → 북위(439-539) → 동위(북제), 서위(북주) → 수의 통일(589) △ 화남 : 동진(317-420) → 송-제-양-진(420-589) 1. 송 나라 시대 실제 송,.. 더보기 중국의 동진 시대 : 북래귀족들이 강남을 개발하기 시작하다. 중국의 동진 시대 : 북래귀족들이 강남을 개발하기 시작하다. 이번 장에서는 5호 16국 시대가 진행되는 동안 한족 정권인 남조 정권에 대하여 간략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그 첫 번재 국가로 을 살펴보죠. 중국 남조는 동진 - 송 - 제 - 양 - 진 - 수(통일국가)로 연결됩니다. 1. 동진 정권의 시작 : 북래 귀족들이 정권을 잡아 버리다. 서진이 멸망한 이후 사마씨인 사마예는 남쪽으로 내려와 새로운 동진 정권을 수립하였습니다. 이 동진 정권은 북방의 5호에 비해 중국 전통 왕조라는 명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중국의 한족들은 동진 정권으로 서로 내려오려고 하였고, 동진 정권은 화북의 한족 지배층들을 적극적으로 포섭해나가며 북방 북가들과 대립할 수 있는 힘을 쌓으려 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남조.. 더보기 고중세 역사학의 발달 과정 고중세 역사학의 발달 과정 1. 삼국시대 : 역사학이 성립되다 삼국시대 이전에는 제대로 된 역사학에 대한 기록이 없습니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의거할 때, 한국에서 제대로 된 역사서를 편찬한 시기는 삼국시대로부터 비롯됩니다. 삼국시대의 역사편찬은 왕권의 이데올로기 강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는 역사서를 편찬한 시기가 대체로 강력한 를 확립하는 시기였습니다. 고구려의 유기는 5c 고구려의 강성기에, 백제의 서기는 근초고왕의 전성기에, 신라의 국사는 신라 6세기 진흥왕기에 각각 제작되었습니다. 이것은 역사학이라는 학문을 객관적으로 인식한 것이 아니라 역사학을 을 홍보하여 왕권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하는 수단으로 본 것입니다. 당시의 역사서들은 남아있는 것들이 없기 때문에 내용을 자세히 알 .. 더보기 2007년 3월 27일. 한문강독 16회 - 중급한자 10회 2007년 3월 27일. 한문강독 16회 - 중급한자 10회 이번 글자는 한자검정 5급에 해당되는 한자 중 6번째입니다. 여기서부터는 쉬운 듯하면서도, 가끔 막히는 단어들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 하루 학습량은 20자로 정해보았습니다. 단어들은 다 한번씩 살펴보세요. 나중에 실제 강독을 할 때에는 여기서 다루었던 단어들은 기본단어거나, 학습한 단어라고 생각하고 단어 해설을 생략할 것입니다. 性 성품 성 洗 씻다 세 首 머리 수 法 법, 예도 법 兵 병사 병 無 없다 무 順 순하다 순 示 보이다 시 兒 아이 아 案 책상, 밥상 안 안건 안 養 기르다, 성장하게하다 양 魚 물고기 어 識 알다 식 實 열매 실 가득차다, 익다 실 約 약속하다, 맺다 약 漁 고기잡을 어 낚다 어 億 억 억 熱 덥다 열 屋 집 옥 .. 더보기 중세프랑스사 2 - 카페왕조에도 중앙 집권의 시기가 오다 중세프랑스사 2 - 13c 중앙 집권이 이루어지다. 1. 13c 왕령은 계속 확장되다 : 알비즈와 십자군 필립 2세 존엄왕의 왕령 확장 노력으로 카페왕조는 어느 정도 왕조라고 할 만큼의 형식은 잡아갔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카페왕조는 미약하기 짝이 없습니다. 왕령의 관리를 위하여 바이이와 세네샬이 파견되었지만, 이들만으로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기에는 미약했으니까요. 13세기의 프랑스 왕권 강화는 당시 교황권의 전성기라는 점을 최대한 이용하여 왕권강화책을 실시한 시기입니다. 당시 11, 12세기에는 교황권이 이단으로 규정한 많은 종교파들이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파가 바로 알비즈와파(카다리파)와 왈도파 였습니다. 알비즈와파는 동방에서 들어온 마니교의 영향으로 철저한 금욕주의 사상을 내포한 크리스트교 교리를 확.. 더보기 중세프랑스사 1 - 카페왕조의 성립과 필립 2세 존엄왕 중세 프랑스 사회의 발전 1 1. 프랑스는 프랑크 왕국의 카롤링거 왕조를 유지하기 힘들었다. 서유럽의 역사 대부분이 중세 이전에는 로마의 역사에 포함되기 때문에 실제 중세 각국의 역사를 다룰 때에는 중세 이후부터 서술하겠습니다. 특히 프랑스, 영국, 독일 등의 주요 국가들은 그 기원이 모두 프랑크 왕국에서 출발하는 만큼 프랑크 왕국이 분열된 이후의 역사부터를 중세 각국사로 설정해서 다뤄야 할 듯 싶습니다. 프랑스의 역사는 카롤루스 대제 이후 분열된 프랑크 왕국에서부터 출발합니다. 프랑크 왕국이 베르됭 조약, 메르센 조약으로 분열된 이후 프랑크 왕국의 서부에서는 프랑크 왕국의 전통을 이은 카롤링거 왕조가 10세기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서부 프랑크 왕국은 과거 로마 제국의 일부인 갈리아 지방이자, 프랑크 왕국.. 더보기 5호 16국 시대의 개막 - 5호가 내려와 진을 몰아내다 5호 16국 시대의 개막 - 5호가 내려와 진을 몰아내다 이번 장에서는 5호 16국 시대가 시작된 배경은 5호의 중국 진출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5호란 흉노, 선비, 저, 갈, 강족을 말합니다. 1. 만리장성을 사이에 두고 끊임없이 다투다 5호는 고대 사회 이래 중국이 선진 문물을 수용하지 못한 미개민족으로 분류한 를 말합니다. 주나라 시대 의 기틀이 마련된 이후 에 소속되지 못한 비문명 지역을 로 규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춘추시대 이후 양자강 유역의 개발이 시작되면서, 양자강 유역의 오, 월, 초 등이 중화문명에 소속되었고, 서방의 진이 중국을 통일하면서 중화 문명권은 서방의 진 ~ 남방의 양자강 ~ 북부 황하유역을 경계로 삼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문명권을 벗어난 지역은 모두 의 지역이.. 더보기 블로그 전반 운영에 대한 공지 블로그 전반 운영에 대한 공지(공지수정 : 2007.3.27) 1. 블로그내 저작권 보호 자료에 대한 공지 제 블로그에 일일 방문객이 천단위 이상 접속하시는 관계로, 블로그를 더 이상 사적으로 운영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블로그의 글들 중 개인적으로 보기 위해 올린 글이나, 저작권이 있는 글들은 모두 보호 처리하겠습니다. 보호 처리되거나 비밀글로 처리될 포스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개인적으로 소장하고 읽어보기 위해 운영자가 타 사이트에서 가져온 저작권이 있는 타블로그의 글들 2. 저작권이 있는 글들을 요약하여 요약본으로 포스팅한 글들(강좌중국사 1-7권, 20세기 우리역사 요약본 등) 3. 저작권이 있는 역사 사료들 : 삼국유사 해석본 전문, 왕조실록 해석본 전문, 고려사 해석본 전문 등 4.. 더보기 2007. 3. 26 역사 검색 로그표 : <광개토대왕릉비> 2007. 3. 26 히스토리아 역사 검색 로그표 - 3월 26일(3월 4주) - 3월 26일 포탈사이트에서 유입된 가장 많이 검색한 역사단어는 였습니다. 사이트내 가장 많이 검색된 연예기사 단어는 와 네요. 광개토대왕, 삼국통일, 펠레폰네소스가 유입단어로 많은 것은 중2 세계사와 국사단원에서 이 부분의 진도를 나가는 시기라 그런 듯 합니다. 3월 26일 당일 기준입니다. 매주 임의로 1일 검색을 로그합니다. 포탈사이트, 메타블로그에서 유입된 러퍼러 수 역사단어를 가장 많이 검색한 사이트는 다움, 네이버, 블로그플러스, 구글, 오픈블로그 입니다. 더보기 마누법전 중 여성에 대한 조항 마누법전 중 여성에 대한 조항 1. 마누 법전의 조항 제 5장 148조 여자는 어려서는 그의 아버지를, 젊었을 때는 그의 남편을, 남편이 죽었을 대는 그 자식을 따라야 한다. 제 5장 150조 부인은 늘 쾌활하고 가사를 잘 하고 가구를 청결히 하고 지출할 때는 절약해야 한다. 제 5장 151조 여자는 아버지 혹은 아버지의 동의를 얻은 오빠가 선택한 사람과 결혼하고, 남편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순종하며 죽은 다음에는 결코 그 이름을 더렵혀서는 안된다. 제 5장 154조 정절을 지키는 처는 방종하고 성질이 좋지 않을지라도 남편을 늘 신처럼 받들어야 한다. 제 5장 165조 몸과 말과 뜻을 자제하고 남편에 대해 부정하지 않은 사람은 사후 하늘나라에서 남편과 함께 살고올바른 사람들에게 열녀로 불릴 것이다. ---.. 더보기 이전 1 ··· 243 244 245 246 247 248 249 ··· 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