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인도의 대 서사시 - 라마야나 라마야나 1. 라마야나란? 라마야나는 라마의 여행기라는 뜻입니다. 인도에서는 이 라마야나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이를 소재로 한 문학작품, 연극, 무용, 음악 등이 성행한다고 합니다. 이것은 시로 구성되어 있는데, 약 2만 4000의 시음율로 이루어진 세계 최장편의 서사시입니다. 실제 작가는 발미키라는 기원전 3세기 사람이라고 하지만, 구전된 연대를 따지고 올라가면 거의 기원전 10세기 이상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실제 오늘날과 같은 산스크리트어로 남게 된 것은 기원전 2-1세기 경이라고 합니다. 이 작품은 코살라 국의 왕자인 이 줄거리입니다. 라마의 여행 속에서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들이 대서사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단 왕지비 시타는 을 강조하는 인물로, 동생 바라타는 이 강한 인물로, 악귀 라바.. 더보기
인도인의 셩경 - 마하바라타(위대한 바라타족의 이야기 18편) 마하바라타 1. 마하바라타의 개요 마하바라타는 기원전 4세기 경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산스크리트어로 완성된 총 18편의 대서사시입니다. 마하바라타는 우리말로 라는 뜻입니다. 이것은 바라타 족의 대전쟁에 관한 서사시로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라타 족의 왕 드리나타슈트라는 두루요다나 등 100명의 아들이 있었다. 왕의 동생 판두에게는 유티슈트라 등 5명의 아들이 있었다. 드리나타슈트라는 왕을 조카 유티슈트라에게 물려주었다. 두루요다나는 다시 왕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유티슈트라에게 도박을 걸어 유티슈트라를 12년간 추방하였다. 방랑 생활을 하던 유티슈트라는 13년이 지난 뒤 왕우를 돌려달라고 요구하였는데, 거절당하였다. 유티슈트라는 18일간의 치열한 전쟁을 겪은 뒤 승리하여 다시 왕으로 돌아왔다. 2. 6.. 더보기
2007년 3월 25일. 한문강독 15회 - 중급한자 9회 2007년 3월 25일. 한문강독 15회 - 중급한자 9회 이번 글자는 한자검정 5급에 해당되는 한자 중 6번째입니다. 여기서부터는 쉬운 듯하면서도, 가끔 막히는 단어들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 하루 학습량은 20자로 정해보았습니다. 단어들은 다 한번씩 살펴보세요. 나중에 실제 강독을 할 때에는 여기서 다루었던 단어들은 기본단어거나, 학습한 단어라고 생각하고 단어 해설을 생략할 것입니다. 奉 받들다 봉 費 쓰다, 비용 비 氷 얼음 빙 仕 벼슬하다, 섬기다 사 産 생산하다 산 相 서로 상 序 차례 서 寫 베끼다, 필사하다 사 査 조사하다 사 商 장사하다 상 賞 상주다 상 償 갚다, 보상하다 상 仙 신선 선 善 착하다 선 選 선거하다 선 說 말씀 설 / 달랠 세 設 베풀다 설 설치하다 설 歲 세, 세월 세 束.. 더보기
갑골문자에 나오는 은나라 복점 내용 : 국왕이 수년(점찰)을 하다 갑골문자에 나오는 은나라 복점 내용 乙巳 王卜 今 歲商受年 王占曰 을사 왕복 금 세상수년 왕점왈 을사년에 왕이 복점을 치다. 지금 상의 풍흉을 모두 점치고, 왕이 말하길 동,서,남,북 사토가 길하다고 말하다 중국 고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복점 사료입니다. 이 사료의 내용을 해석하면, 당해에 수년을 했다는 내용입니다. 수년이란 풍작 여부를 미리 점을 쳐서 알아내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왕이 풍년을 점치는 내용을 보면 동토, 서토, 남토, 북토의 4토를 점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은의 왕이 직접 사토의 풍흉을 점침으로서 사토가 실제 왕의 지배영역이었음을 뜻합니다. 또 세상수년이라는 말에서 왕의 4토와 국가 전체의 복점을 달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왕의 땅을 이라는 왕기로 인식하고, 나머지 4토.. 더보기
한국 사회에서의 시대구분논쟁 : 고대, 근대, 현대 구분 논쟁 총정리 한국 사회에서의 시대구분논쟁 : 고대, 근대, 현대 구분 논쟁 총정리 1. 한국사 교과서에서의 시대 구분 한국사에서 시대를 나누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교과서를 보면 왕조를 기준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고대는 통일신라까지, 중세는 고려, 근대는 조선... 이런 식으로요. 하지만 교과서의 시대 구분은 절대적이지도 못할뿐더러 많은 비판마저 받고 있습니다. 한국사 7차 교과서에서의 시대 구분 기준 정 치 제 도 사 회 문 화 고대 왕권의 강화과정 통치체제의 미숙성 3계층, 혈연, 골품제 불교수용, 왕/귀족문화 중세 호족의 대두, 유교정치이념 통치합리성의 강화 4계급, 신분이동가능, 개방성 중세적 양식 불교의 심화와 저변확대 근세 사대부, 붕당정치 왕권과 신권의 조화 행정의 효율성 개인의 능력존중과 양반중심의 성리.. 더보기
영국 중세의 발전 4 - 13세기 초 영국사 : 존왕기 대헌장 63조의 내용 분석 영국 중세의 발전 4 - 13세기 초 영국사 : 존왕기 대헌장 63조의 내용 중세 영국사를 계속 이어서 포스팅 합니다. 이번이 4번째로군요. 지난 장까지 우리는 중세 영국이 9-12세기까지 끊임없이 왕권이 성장하고 있었음을 정리했었습니다. 하지만, 13세기에 영국은 왕권이 위축되면서, 의회에 의해 제약당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원래 대륙보다 강력한 왕권을 가진 영국은 왕권과 의회권이 타협점을 찾기 시작하면서 영국 특유의 의회제도가 정착되기 시작힙니다. 13세기 영국사를 한번 정리해 볼까요? 1. 대헌장에 날인을 하다! 13세기에 들어와서도 영국사회는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봉건제후들을 국왕이 압도하며 발전해가고 있었습니다. 12세기의 재정권과 재판권을 국왕이 확보하였기 때문이었죠. 그러나, 이런 정책에.. 더보기
영국 중세의 발전 3편 - 12세기 영국의 발전 영국 중세의 발전 3편 - 12세기 영국의 발전 이번 포스트에서는 영국 중세의 발전 3편입니다. 이전 장에서 9세기 이전 켈트족, 게르만족의 이야기부터 11세기 노르만 왕조의 윌리엄기까지를 다루어보았습니다. 이번 3장에서는 12세기 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영국사를 전개하겠습니다. 관련포스트는 맨 아래 관련글 모음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12세기 초반 : 노르만 왕조의 왕권 강화는 지속되다 - 헨리 1세 11세기 정복왕 윌리엄이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면서 영국은 서유럽의 어떤 봉건 국가보다도 강력한 왕권을 가진 봉건국가가 되었습니다. 12세기에 이르면 헨리 1세가 더욱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이 헨리 1세부터 시작되는 영국의 강력한 왕권 확립 과정은 2가지 측면에서 전개된다.. 더보기
영국 중세의 발전 과정 2편 - 앵글로색슨왕국 ~ 노르만 왕조 영국 중세의 발전 과정 2편 1. 9-10c 영국사 : 앵글로-색슨 왕국이 시작되다 9c 영국사는 앵글로-색슨 왕국의 알프레드 대왕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1편에서 앵글로-색슨이라는 게르만 계통의 민족이 켈트족을 몰아내고 잉글랜드 지방의 주류 민족으로 자리잡았음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나 이들 앵글로-색슨 민족은 하나의 국가단위를 구성하지 못하고 수많은 소국체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중국으로 보면 춘추전국시대요, 그리스로 보면 후기 폴리스 난립기이고, 우리 역사로 보면 초기철기시대의 각국난립 수준의 국가들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이 분열된 앵글로-색슨족들은 스칸디나비아에서 건너온 데인족(노르만의 일파)가 침략해오면서 공동의 적을 막기 위해 뭉치기 시작합니다. 이 때 앵글로-색슨을 이끌었던 왕이 영국사에서 유.. 더보기
영국 중세의 발전 1편 - 고대 캘트족 ~ 앵글로색슨의 이동 영국 중세의 발전 과정 1 1. 영국 초기의 역사 - 캘트인의 역사와 베어울프 이야기 영국 초기의 역사는 보통 캘트인의 역사라고 합니다. 캘트인들은 잉글랜드 지역에서 수렵, 목축, 그리고 기초적인 농경을 통해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원시적이지만 강인하고 단합이 잘되는 시민회를 가진 부족이었다고 합니다. 로마 제국은 이 잉글랜드 지역을 정복하려는 계획은 세웠지만, 이 지역이 로마에게 특별히 수요가 있는 것이 아니였기 때문에, 형식적인 지배 정도를 했었습니다. 그러나 로마의 영글랜드 점령은 캘트 사회에 선진문물을 전파하는 역할을 한 듯 합니다. 초기 켈트인의 생활과 문명상을 잘 보여주는 이야기가 설화입니다. 그러나, 베어울프 설화는 초기 캘트인의 이야기를 구전으로 전하다가 훗날 앵글로-색슨족들이 이교도.. 더보기
2007년 3월 24일. 한문강독 14회 - 중급한자 8회 2007년 3월 24일. 한문강독 14회 - 중급한자 8회 이번 글자는 한자검정 5급에 해당되는 한자 중 6번째입니다. 여기서부터는 쉬운 듯하면서도, 가끔 막히는 단어들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 하루 학습량은 20자로 정해보았습니다. 단어들은 다 한번씩 살펴보세요. 나중에 실제 강독을 할 때에는 여기서 다루었던 단어들은 기본단어거나, 학습한 단어라고 생각하고 단어 해설을 생략할 것입니다. 應 응할 응 마땅히 ~ 해야하다 응 須 모름지기 수 宣 베풀다 선 임금이 하교내릴 선 宜 마땅할 의 마땅히 ~ 해야하다 의 旅 군제, 군편제 려 나그네 려 練 연습하다, 익히다 련 領 거느릴 영 우두머리 령 類 무리, 종류 류 末 끝 말 亡 망하다 망 令 명령하다 령 우두머리 령 料 되새기다 료 헤아리다, 생각하다 료 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