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삼국사기 거도전 사료 삼국사기 거도전 사료 거도는 성이 전해지지 않고 어느 곳 사람인지도 알 수 없다. 탈해 이사금 때 벼슬을 하여 간이 되었는데, 이 때 우시산국과 거칠산국이 이웃 국경에 끼어 있으면서 자못 나라의 근심거리가 되었다. 거도가 변경 관장으로서 은근히 그 나라들을 병합하려는 뜻을 품고 매년 한 차례씩 장토 들에 말 떼를 모아 놓고 군사들로 하여금 말을 타고 달리면서 즐기게 하니, 당시 사람들이 그를 마숙이라고 불렀다. 두 나라 사람들은 이를 항상 보아 왔으므로 신라인들의 일반적인 행사라고 여기고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이에 거도가 병마를 출동시켜 그들을 불의에 공격하여 멸하였다. 이 글에 대한 참고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더보기 삼국사기 김생전 사료 삼국사기 김생전 사료 김 생은 부모가 미천하여 가문의 내력을 알 수 없다. 경운 2년에 태어났는데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썼다. 그는 평생동안 다른 기예는 닦지 않았으며 나이 80세가 넘어서도 붓을 놓지 않았다. 예서와 행서 초서가 모두 입신의 경지여서 지금까지도 더러 그의 진필이 남아 있는데 학자들이 보배로 여겨 전하고 있다. 숭녕 연간에 학사 홍 관이 진봉사를 따라 송에 들어가서 변경에 묵고 있었는데, 이 때 한림 대조 양 구, 이 혁 등이 황제의 칙서를 받들고 사관에 와서 그림 족자에 글씨를 썼다. 홍 관이 그들에게 김 생이 쓴 행초 한 권을 보이니 두 사람이 크게 놀라 말하기를 "오늘날 왕 우군의 친필을 보게 될 줄 몰랐다"고 하였다. 홍 관이 말하기를 "아니오. 이것은 신라인 김 생이 쓴 것이오".. 더보기 삼국사기 검군전 사료 삼국사기 검군전 사료 검군은 구문 대사의 아들로 사량궁 사인이 되었다. 건복 49년 정해 가을 8월에 서리가 내려 모든 곡식을 죽이는 바람에 이듬해 봄과 여름에 큰 기근이 들어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먹고 사는 형편이 되었다. 이 때 궁중의 여러 사인들이 공모하여 창예창의 곡식을 훔쳐서 나누어 가졌는데, 검군만은 홀로 받지 않았다. 모든 사인들이 말했다. "여러 사람이 모두 받았는데 그대만이 거절하니 무슨 일인가? 만일 적어서 그렇다면 더 주겠다." 검군이 웃으며 말했다. "나는 근랑의 문도에 이름을 두었고, 풍월도의 마당에서 수행을 하였으니, 실로 의로운 것이 아니면 천금의 이익이라도 내 마음을 움직일 수 없다." 이 때 대일 이찬의 아들이 화랑이 되어 근랑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검군.. 더보기 삼국사기 도미부인전 사료 삼국사기 도미부인전 사료 도미는 백제 사람이다. 그는 비록 미천한 백성이었으나, 자못 의리를 알았으며 그의 아내는 용모가 아름답고 또한 절개를 지켰으므로 사람들의 칭찬을 받았다. 이때 개루왕이 이 말을 듣고 도미를 불러 이야기 하기를, “무릇 부인의 덕 은 비록 정결을 위주로 한다고 하나 만약 어둡고 사람이 없는 곳에서 교묘한 말로 꾀이면 능히 그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 자가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도미는 대답하기를 “사람의 마음을 가히 헤아리지 못할 것이오나, 그러나 신의 아내만은 비록 죽더라도 두 마음을 가히 헤아리지 못할 것이오나, 그러나 신의 아내만은 비록 죽더라도 두 마음을 갖지 않는 사람입니다”하니, 왕은 이를 시험하고자 하여, 도미에게 사건을 만들어 머무르게 하고는 한 근신을 시켜 왕으로 .. 더보기 삼국사기 효녀지은전 사료 삼국사기 효녀지은전 사료 효녀 지은은 신라 한기부의 사람 연권의 딸이다. 그녀는 어려서 부친을 잃고 홀로 그 모친을 봉양하였다. 나이 32세가 되어도 시집을 가지 않고 밤낮으로 어머니의 좌우를 떠나지 않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그러나 집이 가난하여 잘 봉양할 수 없게 되자, 혹은 남의 일도 하여 주고 혹은 집집이 돌아다니며 밥을 빌어다가 어머니를 먹였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곤궁함을 이기지 못하여 드디어는 부호의 집에 청하여 몸을 팔아 종이 되고 쌀 10여석을 얻었다. 그 후 효녀 지은은 그 집에서 종일토록 일하고 저물어서야 집으로 돌아와 밥을 지어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이와 같이 하며 삼사 일이 지나자, 그 어머니가 딸에게 말하기를, “지난날에는 먹는 것이 맛나더니 오늘에는 밥은 비록 좋으나 맛은 좋은 .. 더보기 삼국사기 설총 열전 사료 삼국사기 설총 열전 사료 설총의 자는 총지로, 그 조부는 내마 담말이고, 그 부친은 원효이다. 원효는 처음에 중이 되어 불서에 해박하였으나, 다시 속인으로 돌아와서 스스로 소성거사라 이름하였다. 설총은 성질이 명예하고, 나면서부터 도리를 깨달았다. 방언으로써 구경을 풀어 읽게 하여 후생들을 훈도하였으므로, 지금에 이르기까지 학자의 조종으로 삼는다. 또한 글짓는 데 뛰어났으나 지금 세상에 전하는 것은 없다. 다만 지금 남쪽 지방에 설총이 지은비명이 있으나 문자가 결락되어 읽을 수 없으므로 그 뜻이 무엇을 말하는지 알지 못한다. 신문대왕이 한여름 높고 밝은 방에 계시면서 설총을 돌아보고 말하였다. “오늘은 오래 오던 비도 개고 훈풍이 서늘하게 불어오니, 비록 진수성찬이나 서글픈 음악을 듣는 것보다는 고상한 .. 더보기 삼국사기 온달 열전 사료 삼국사기 온달 열전 사료 온달은 고구려, 평강왕 때의 사람으로 그 용모가 기이하게 생겼으나 마음만은 착하였다. 그는 집이 몹시 가난하므로 항상 걸식을 하여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그는 다 떨어진 옷과 낡은 신발을 신고 시정에 다녔으므로 모든 사람들은 그를 보고 우온달이라고 하였다. 이 무렵 평강왕의 딸 평강공주가 어렸을 때 울기를 잘 하므로 왕은 공주를 놀리느라, “너는 늘 울기만 하여 나의 귀를 요란스럽게 하니, 커서도 반드시 사대부의 아내가 될 수는 없으리라. 꼭 우온달에게 시집보내겠다” 라고 말하곤 하였다. 공주가 자라 16세가 되었을 때 왕은 그를 상부의 고씨에게 시집보내려 하였다. 그러나 공주가 대답하기를 “대왕께서는 항상 말씀하시기를 너는 꼭 온달에게 시집보내겠닫고 하시옵더니, 지금 무슨 까닭으.. 더보기 삼국사기 흑치상지 열전 사료 삼국사기 흑치상지 열전 사료 흑치상지는 백제 서부의 사람으로 키가 7척이 넘고 성품이 날래고 굳세고 지략이 있었다. 그는 백제의 달솔로서 풍달군장이 되었으며 이는 당나라의 자사에 해당하는 벼슬이다. 소정방이 백제를 평정하자 흑치상지의 부하들은 항복하였으나 그는 굴하지 않았다. 그러나 소정방이 노왕을 가두고 침략하므로, 흑치상지는 좌우 추장 10여 명과 함께 도망하여 무리를 불러 모아 임존산성에 의지하여 스스로 굳게 지킨다. 이때 10여 일이 못되어 그에게 모여드는 무리가 3만여 명이나 되었다. 이에 소정방은 군사를 거느리고 임존산성으로 쳐들어가서 이를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흑치상지는 드디어 2백여 개의 성을 회복하였다. 이에 당 고종은 사자를 흑치상지에게 파견하여 그를 타이르게 된다. 그는 드디.. 더보기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 (원문 + 해석본) 삼국사기 궁예 열전 - 원문 + 해석본 三國史記 列傳 삼국사기 열전 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開府儀同三司檢校太師守太保門下侍中判尙書吏禮部事集賢殿太學士監修國史上柱國致仕臣金富軾奉宣撰.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개부의동삼사검교태사수태보문하시중판상서이예부사집현전태학사감수국사상주국치사신 김부식은 임금의 말씀을 받들어 찬함. 三國史記卷第四十一. 삼국사기 권 제 41 【1】列傳 第一 金庾信 (上) 열전 제1 김유신 (상)/출생(서기595년) 金庾信 王京人1)也 十二世祖2)首露3) 不知何許人4)也. 以後漢建武十八年壬寅 登龜峯5) 望駕洛九村6) 遂至其地 開國 號曰加耶7) 後改爲金官國8) 其子孫相承 至九世孫仇亥9) 或云仇次休10) 於庾信爲曾祖 羅人自謂少昊金天氏11)之後 故姓金 庾信碑12)亦云 『軒轅13)之裔 少昊之胤』 則南加耶14.. 더보기 삼국사기 궁예 열전 - 원문 + 해석본 삼국사기 궁예 열전 - 원문 + 해석본 ◈ 列傳 궁예 弓裔 新羅人 姓金氏 考第四十七憲安王誼靖 母憲安王嬪御 失其姓名 或云 “四十八景文王膺廉之子” 以五月五日 生於外家 其時屋上有素光 若長虹 上屬天 日官奏曰 “此兒以重午日生 生而有齒 且光焰異常 恐將來不利於國家 宜勿養之” 王勅中使 抵其家殺之 使者取於襁褓中 投之樓下 乳婢竊捧之 誤以手觸 其一目 抱而逃竄 勞養育 年十餘歲 遊戱不止 其婢告之曰 “子之生也 見棄於國 予不忍竊養 以至今日 而子之狂如此 必爲人所知 則予與子俱不免 爲之奈何” 弓裔泣曰 “若然則吾逝矣 無爲母憂” 便去世達寺 今之興敎寺是也 祝髮爲僧 自號善宗 及壯不拘檢僧律 軒有膽氣 嘗赴齋行次 有烏鳥銜物 落所持鉢中 視之 牙籤書王字 則而不言 頗自負 見新羅衰季 政荒民散 王畿外州縣 叛附相半 遠近盜 蜂起蟻聚 善宗謂乘亂聚衆 可以得志 以眞.. 더보기 이전 1 ··· 247 248 249 250 251 252 253 ··· 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