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서진 시대와 호한체제의 성립 서진 시대와 호한체제의 성립 이번 장에서는 이전 포스트인 나라를 계승한 진나라의 역사를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위 나라가 몰락하다. 중국의 위,촉,오 삼국시대를 통일한 위 왕조는 너무 단명하였습니다. 그것은 후한말 이래 호족 세력들이 할거한 시대를 통일했지만, 호족 세력이 상당수 잔존하였기 때문입니다. 위는 호족세력과 개국공신들에게 많은 관직을 내려주었고, 호족세력들을 중앙 관리로 끌어들여 귀족세력으로 재편하려고 했습니다. 또 9품관인법 같은 제도를 계승함으로서 관직임명에 제도적 명분도 만들려 하였죠. 하지만, 호족이 중앙에 올라와 귀족화되면서 초기 조조, 조비의 참신한 기풍은 점점 사라지고, 지배집단이 으로 변질되기만 하였습니다. 이들 호족들은 중앙에서 서로 편을 갈라 대립하곤 하였고 그 결.. 더보기
삼국시대를 통일한 조조, 조비 부자의 <위> 나라 삼국시대를 통일한 조조, 조비 부자의 나라 이번 장에서는 삼국시대에 대한 내용을 나라 중심으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하지만, 삼국지의 이야기식이 아닌 순수한 역사적 관점에서 적어도록 하죠. 1. 위나라는 정통성이 있는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삼국시대의 나라는 조조의 위, 유비의 촉, 손권의 오를 말합니다. 영웅들의 대결이라는 관점에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를 어렸을 때 한번쯤은 읽어보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 소설인 삼국지는 훨씬 후대에 나관중이 쓴 소설입니다. 역사로서의 정사 삼국지는 진수가 편찬한 이죠. 진수의 삼국지와, 진수 이후의 삼국시대 사서들은 좀 관점이 다릅니다. 진수는 삼국시대의 정통이 에 있었다고 봅니다. 위나라는 후한의 호족연합정권에서 파생된 가장 강력한 호족 세력으로서 후한 대 이후.. 더보기
역사연구에 있어서의 사료 비판 역사연구에 있어서의 사료 비판 역사연구는 과거의 자료를 가지고 하며, 역사연구에 사용되는 과거의 모든 자료를 사료라고 부릅니다. 역사 연구 방법에서의 사료에 대하여 간단히 포스트를 올려봅니다. 1. 역사 연구 방법론 역사를 연구할 때, 사료를 수집하고 정리하고 분류하는 작업에 관련된 학문을 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사료학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필요로 하는 사료만을 이용하여 선별하여 사용합니다. 역사를 공부할 때는 단지 사료의 진위여부라던가, 사료가 나타내는 말이 무슨 말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죠. 실제, 사료의 진짜인지, 사료의 의미가 무엇인지 사료 자체를 분석하는 것을 이라고 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방법에 대한 내용만 정리합니다. 사료를 비판할 때, 사료가 진짜인지 진위를 .. 더보기
2007년 3월 22일. 한문강독 13회 - 중급한자 7회 2007년 3월 22일. 한문강독 13회 - 중급한자 7회 이번 글자는 한자검정 5급에 해당되는 한자 중 5번째입니다. 여기서부터는 쉬운 듯하면서도, 가끔 막히는 단어들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 하루 학습량은 22자로 정해보았습니다. 단어들은 다 한번씩 살펴보세요. 나중에 실제 강독을 할 때에는 여기서 다루었던 단어들은 기본단어거나, 학습한 단어라고 생각하고 단어 해설을 생략할 것입니다. 好 좋다 호 犯 범하다 범 鮮 곱다 선 드물다 선 敢 감히 감 焉 어찌 언 ~다 언(종결어조사 언) 投 던지다 투 諸 모두, 여러 제 ~에(어조사) 제 已 이미 이 ~뿐이다 이 種 씨, 근본 종 忠 충성 충 恕 용서하다 서 通 통하다 통 痛 아프다 통 甚 심하다 심 逝 가다 서 斯 이, 이것 사 哀 슬프다 애 惡 악하다 .. 더보기
2007년 3월 21일. 한문강독 12회 - 중급한자 6회 2007년 3월 21일. 한문강독 12회 - 중급한자 6회 이번 글자는 한자검정 5급에 해당되는 한자 중 5번째입니다. 여기서부터는 쉬운 듯하면서도, 가끔 막히는 단어들도 있을 것입니다. 하루 학습량은 20자로 정해보았습니다. 단어들은 다 한번씩 살펴보세요. 나중에 실제 강독을 할 때에는 여기서 다루었던 단어들은 기본단어거나, 학습한 단어라고 생각하고 단어 해설을 생략할 것입니다. 則 법칙, 모범 칙 즉 즉 予 나 여 及 (영향력이) 미치다 급 ~와 비교할 급 偕 함께 해 興 흥하다 흥 載 실어 운반하다, 선적하다 재 船 배 선 且 또 차 장차 차 浮 뜨다 부 若 만약 약 / 같다 약 너(you) 약 耕 밭갈다 경 望 소망하다 망 淡 묽다 담 담백하다 담 詩 시 시 如 같다 여 만약 ~ 한다면 여 厠 뒷.. 더보기
인도의 성인 간디 소개 동영상 인도의 성인 간디 소개 동영상 인도 동영상 - 간디 편 이 뮤직비디오는 공개 동영상을 가져온 것입니다. 해당 원저작자의 동의 없는 다운로드, 태그복사, 소스복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원 영상 사이트 링크 : http://www.historychannel.co.kr/ 이 영상은 히스토리 채널의 오픈 영상을 가져온 것입니다. 히스토리 채널은 역사전문채널로 많은 역사 정보를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더보기
(동영상) 중국의 고구려사 유적 훼손과 유적탐방 (동영상) 중국의 고구려사 유적 훼손과 유적탐방 고구려사 뉴스 동영상 - YTN 뉴스 이 뮤직비디오는 뉴스 동영상을 가져온 것입니다. 이 동영상은 다운로드, 태그복사, 소스복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영상은 YTN 뉴스의 영상을 가져온 것입니다. 날짜는 2007. 2. 17입니다. 고구려사 왜곡이 심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보기
고려사 : 흑리전 서문과 흑리전 사료 모음 고려사 : 흑리전 서문과 흑리전 사료 모음 옛날에는 백성을 다스리는 권한은 맡겼으나 법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권한은 맡기지 않았다. 중세(中世)에 이르러 비로소 법(法)을 전임(專任)케 하니 법령(法令)이 더욱 밝아져서 혹리가 나왔다. 그 해독을 논하여 이를 맹호(猛虎)에 비유(比喩)한 자가 있었으나 어찌 지나친 논평이라 하겠는가? 고려(高麗)는 관후(寬厚)하게 다스렸으므로 형(刑)에 참혹함이 없었으나 그 중엽(中葉)에 와서 변고가 많아진 때로부터 일에 밝은 관리(官吏)를 기용하므로 말미암아 잔혹(殘酷)한 풍조가 비로소 일어났다. 옛 역사[舊史]는 빠져서 갖추어지지 않으므로 이제 두 사람에 대한 자료를 얻어서 혹리전(酷吏傳)을 짓는다. 송길유(宋吉儒) 송길유(宋吉儒)는 성품(性品)이 탐혹하고 아첨을 잘.. 더보기
고려사 : 환자전 서문과 환자전 사료 모음 고려사 : 환자전 서문과 환자전 사료 모음 고려의 엄인(人 내시 )은 그 본계(本系)가 백성이 아니면 천한 종이었다. 고려에서는 궁형(宮刑 부형(腐刑) )을 쓰지 않았으므로 어렸을 때 개에게 고환을 먹힌 자가 모두 이런 자가 되었다. 그러나 다만 궁중의 영항(永巷)의 직임에만 채용할 뿐이고, 관원(官員)으로는 제배(除拜)되지 못 하였으니 그 사려(思慮)가 심원(深遠)한 바 있었다. 의종 때 정함(鄭) 백선연(白善淵)이 처음으로 권력을 마음대로 하였다. 그러나 정함이 지후(祗侯)가 되었을 때 재상(宰相)과 대간(臺諫)이 굳이 다투어 왕의 뜻을 받들지 않았으니 대개 아직도 선왕의 유풍(遺風)이 있었음이었다. 제국 공주가 일찍이 원(元) 나라 세조(世祖)에게 몇 사람을 바쳤는데 이들은 규원(閨 궁녀(宮女) ).. 더보기
고려사 : 충의전 사료 모음 고려사 : 충의전 사료 모음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생(生)도 또한 내가 하고자 하는 바요 의(義)도 또한 내가 하고자 하는 바이나 두 가지를 겸할 수 없으면 생(生)을 버리고 의(義)를 취할 것이라. 하였으니 대개 사람이 누가 죽음을 싫어하지 않으리요마는 충신과 의사(義士)는 한번 변고를 만나면 비록 정확(鼎)이 앞에 있고 도거(刀鋸)가 뒤에 있어도 피하지 않는 것은 하고자 함이 사는 것보다 심함이 있는 때문이다. 고려(高麗)는 인종(仁宗)으로부터 이후로는 왕실에 환난이 많았으므로 절의에 죽은 사람도 또한 적지 않았으므로 이제 그 일을 차례로 서술하여 충의전(忠義傳)을 짓는다. 홍관(洪灌) 홍관(洪灌)의 자(字)는 무당(無黨)이요 당성인(唐城人)이니 과거(科擧)에 급제하여 어사 중승(御史中丞)과 문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