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임신 서기석 임신 서기석 임신년(壬申年) 6월 16일 두 사람이 함께 맹서하여 쓴다. 지금부터 3년 이후에 충도(忠道)를 유지하고 과실이 없게 할 것을 하늘 앞에 맹세한다. 만약 이 일을 잃으면 하늘로부터 큰 죄 얻을 것을 맹세한다. 만약 나라가 불안하고 세상이 크게 어지러워지면 기꺼이 행할 것을 맹서한다. 또 따로이 먼저 辛未年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시(詩), 상서(尙書), 예전(禮傳)을 윤독할것을 맹세하되 3년으로 하였다. - 임신 서기석 - 사료해석 : 임신 서기석은 2명의 화랑 낭도가 유교의 시, 서, 예, 전을 3년안에 공부하겠다고 맹세한 내용을 담은 유명한 비석입니다. 7차 교과서에 실려있습니다. 더보기
신라의 국사 편찬 - 거칠부 신라의 국사 편찬 - 거칠부 이찬(伊瑗) 이사부(異斯夫)가 아뢰기를, "국사(國史)란 군신(君臣)의 선악(善惡)을 기록하여 포폄(褒貶)을 만대(萬代)에 보이는 것이니 역사를 꾸미어 두지 아니하면 후세에 무엇을 보고 알겠습니까"라 하니, 왕이 그러이 여기어 대아찬(大阿瑗) 거칠부(居柒夫) 등에게 명하여 널리 문사(文士)를 모아 국사를 꾸미게 하였다. - 삼국사기 - 사료해석 : 삼국시대의 역사 서술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천신의 후예라는 선민사상을 바탕으로 한 역사 서술입니다. 따라서 신화를 상당히 강조하여 기술하였습니다. 2. 왕실족보를 강조함으로서 귀족계급의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역사를 활용하려고 하였습니다. 3. 자국의 전통을 이해하면서, 백성들의 충성심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이.. 더보기
환상의 커플 조안나 사진 앨범 - 50컷 환상의 커플에서 1인 2역으로 활약한 한예슬!! 나상실과 조안나는 서로 다른 것 같으면서도 결국엔 같은 인물.... 정말 짜임새 있는 드라마였어요... 더보기
환상의 커플 나상실 사진앨범 - 100컷 더보기
음악플래시 - 그 여름의 태중 중... 메모리 더보기
환상의 커플 - 꼬라지 송 1 한예슬 컬러링 3탄... 꼬라지송 ㅋㅋ 더보기
신라하대의 족적 강등 - 골품제의 모순 신라하대 족적 강등 성주산파(선종 9산의 하나)를 처음 연 낭혜(朗慧)는 속성(俗姓)이 김씨이며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이 그 8대조가 된다. 조부 주천(周川)은 품(品)이 진골이고 위(位)가 한찬(韓粲)이었으며 고조와 증조가 모두 나가서는 장군이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을 지냈음은 집마다 아는 바다. 아버지는 범청(範淸)이다. 족(族)은 진골에서 한 등급이 떨어지니 이른바 득난(得難)이다. 나라에 5품이 있는데, 첫째가 성이진골(聖而眞骨)이고 둘째가 득난(得難)이다. 귀성(貴姓)의 얻기 어려움을 말한 것이니, 《문부(文賦)》에도 "혹 구하기는 쉬워도 얻기는 어렵다[惑求易而得難]"고 한 대목이 있다. 6두품부터는 숫자가 큰 신분일수록 귀한데, 이는 마치 일명(一命)에서 구명(九命)에 이르는 것과 같다. 그 4.. 더보기
신라 진골의 분화 과정 진골의 분화 대관대감(大官大監)은 진흥왕 10년에 두었는데 …… 진골의 경우엔 관위 사지(舍知)부터 아찬(阿瑗)까지가 이 직에 임명되며, 차품(此品)의 경우에는 나마(奈麻)에서 사중아찬(四重阿瑗)까지 이 직에 보임된다. - 삼국사기 38, 잡지, 7, 직관 하 - 그 관직을 세울 때 왕의 친족을 상위로 삼는다. 그 족(族)명은 '제1골'·'제2골'이라는 이름으로 스스로 구분한다. 형제의 딸이나 고종·이종자매를 모두 취하여 처로 삼는다. 왕족이 '제1골'인데 처도 역시 그 족이고 자식을 낳으면 모두 '제1골'이 된다. '제2골' 여자는 취하지 않으며 비록 취하더라도 으레 첩(妾)으로 삼는다. 관(官)에는 재상(宰相)· 시중(侍中)· 사농경(司農卿)· 태부령(太府令) 등이 있고 무릇 열일곱의 등급이 있는데 .. 더보기
신라 흥덕왕 대의 사치 금지령 흥덕왕 대 사치 금지 흥덕왕 즉위 9년, 태화(太和) 8년에 하교하여 이르기를 "사람은 위 아래가 있고 지위는 높고 낮음이 있어 칭호와 법식이 같지 아니하며 의복 또한 다르다. 그런데 세속이 점차 경박해져서 백성들이 다투어 사치와 호화를 일삼아 오직 외래품의 진기한 것만을 좋게 여기고 토산물은 오히려 야비하다 싫어하니, 신분에 따른 대우가 무너져 거의 참람함에 가깝고 풍속이 쇠퇴하기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옛 법에 따라 하늘이 내린 도리를 펴고자 하노니, 참으로 혹시라도 일부러 범하는 자가 있을진댄 나라에 일정한 법도가 있음을 알려 국법에 따라 처벌할 것이다. 진골대등(眞骨大等)은 복두(按頭)를 임의로 쓰되 겉옷과 반소매 옷·바지에는 모두 계수금라(喬繡錦羅)를 금하며, 허리띠에는 연문백옥(硏文白玉)을 금한.. 더보기
신라 유리왕 대의 신라 관등 유리왕대 신라관등 유리왕(儒理王) 9년에 17 등급의 관위를 설치하였으니, 1은 이벌찬(伊伐瑗), 2는 이척찬(伊尺瑗), 3은 잡찬(?瑗), 4는 파진찬(波珍瑗), 5는 대아찬(大阿瑗)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이벌찬까지는 오직 진골만이 받을 수 있고 다른 신분[他宗]은 안된다. 6은 아찬(阿瑗)이라고 하는데 중아찬(重阿瑗)에서 사중아찬(四重阿瑗)까지 있다. 7은 일길찬(一吉瑗), 8은 사찬(沙瑗), 9는 급벌찬(級伐瑗)이다. 10은 대나마(大奈麻)라 하는데 중나마(重奈麻)에서 구중나마(九重奈麻)까지 있고, 11은 나마(奈麻)라 하여 중나마(重奈麻)부터 칠중나마(七重奈麻)까지 둔다. 12는 대사(大舍)라 하고, 13은 사지(舍知)라 하며, 14는 길사(吉士), 15는 대오(大烏), 16은 소오(小烏), 17..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