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신라 공격 시 왜의 지원
백제의 신라습격과 왜의 지원 신공 49년 3월 황전별과 녹아별을 장군으로 삼아 구저 등과 함께 군대를 거느리고 건너가 탁순국(대구, 창원쪽의 가야국가)에 이르러 신라를 습격하려 하였다. 그러나 군사가 적어 신라를 깨뜨릴 수 없다는 의견이 있어, 사백과 개로를 보내 군사를 늘려달라고 요청하니, 즉시 목라근자와 사사노궤에게 명하여 정예군을 거느리고 사백, 개로와 함께 가도록 하였다. 모두 탁순에 모여 신라를 쳐서 깨뜨렸으니, 비자발, 남가라, 탁국, 안라, 다라, 탁순, 가라 등 7국을 평정하였다. 그리하여 군대를 옮겨 서쪽으로 고해진(전남 강진)을 돌아 남쪽 오랑캐 침미다례(전남 해남)를마구 죽이고 이를 백제에게 주었다. - 니혼쇼키 권9, 신공황후기 49년 3월 - 사료해석 : 이 내용은 4세기의 상황을..
더보기
백제의 관등 제도
백제의 관등 제도 27년(260) 봄 정월에 내신좌평을 두었는데, 왕명 출납 일을 맡았다. 내두좌평은 창고와 재정 일을 맡았고, 내법좌평은 예법과 의례 일을 맡았고, 위사좌평은 왕궁을 지키는 군사 일을 맡았고, 조정좌평은 형벌과 감옥 일을 맡았고, 병관좌평은 지방 군사 일을 맡았다. 또 달솔, 은솔, 덕솔, 한솔, 나솔과 장덕, 시덕, 고덕, 계덕, 대덕, 문독, 무독, 좌군, 진무, 극우를 두었다. 6좌평은 모두 1품이요, 달솔 2품, 은솔 3품, 덕솔 4품, 한솔 5품, 나솔 6품, 장덕 7품, 시덕 8품, 고덕 9품, 계덕 10품, 대덕 11품, 문독 12품, 무독 13품, 좌군 14품, 진무 15품, 극우 16품이었다. 2월에 명령을 내려 6품 이상은 자주색 옷을 입고 은꽃으로 관을 장식하게 하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