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통감
자치통감 294권. 《통감(通鑑)》이라고도 한다. 주(周)나라 위열왕(威烈王)이 진(晉)나라 3경(卿:韓 ·魏 ·趙氏)을 제후로 인정한 BC 403년부터 5대(五代) 후주(後周)의 세종(世宗) 때인 960년에 이르기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1년씩 묶어서 편찬한 것이다. 주기(周紀) 5권, 진기(秦紀) 3권, 한기(漢紀) 60권, 위기(魏紀) 10권, 진기(晉紀) 40권, 송기(宋紀) 16권, 제기(齊紀) 10권, 양기(梁紀) 22권, 진기(陳紀) 10권, 수기(隋紀) 8권, 당기(唐紀) 81권, 후량기(後梁紀) 6권, 후당기(後唐紀) 8권, 후진기(後晉紀) 6권, 후한기(後漢紀) 4권, 후주기(後周紀) 5권 등 모두 16기(紀) 24권으로 구성되었다.먼저 사마 광이 《통지(通志)》 8권을 찬진(撰進)하..
더보기
신당서
신당서 《신당서》는 1044~1060년까지 17년에 걸쳐 완성하였다. 구양수(歐陽修) ·송기(宋祁) 등이 고쳐 편찬하였고, 재상 증공량(曾公亮)이 총재(總裁)하였다. 는 고조 1권, 태종 1권, 고종 1권, 측천순성무황후(則天順聖武皇后) 및 중종 1권, 예종 ·현종 1권, 숙종 ·대종 1권, 덕종 ·순종 ·헌종 1권, 목종 ·경종 ·문종 ·무종 ·선종 1권, 의종 ·희종 1권, 소종 ·애종 1권을 합쳐서 10권, 는 예악지(禮樂志) 12권, 의위지(儀衛志) 1권, 거복지(車服志) 1권, 역지 6권, 천문지 3권, 오행지(五行志) 3권, 지리지(地理志) 7권, 선거지 2권, 백관지(百官志) 4권, 병지(兵志) 1권, 식화지(食貨志) 5권, 형법지 1권, 예문지(藝文志) 4권을 합쳐서 50권, 는 재상(宰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