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

러시아 현대사(세계 1차대전 이후~) 러시아 역사 연대표(현대사) 연대 사건 내용 1917 2월 혁명 수도 페테르부르크에서 혁명이 발생, 10월에 10월 혁명으로 소비에트 정부 구성 1918~1921 전시 공산주의 볼셰비키들의 개입으로 적군과 백군과의 내전 계속 1919 제 3 인터네셔널 설립 제 3 인터네셔널 성립 1921 해군 반란 크론슈타트 해군기지의 해군과 수비대가 노동자, 농민의 자유를 촉구하는 반란 시도 신경제 정책 레닌이 경제난 해결을 위해 NEP 정책을 실시 1922 소련 수립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수립 1924 레닌 사망 1월 21일 레닌 사망, 스탈린의 1국 공산주의와 트로츠키의 세계공산주의의 대립 1927 스탈린 집권 스탈린이 트로츠키 등을 추방함, 1929년 트로츠키의 영구 추방 1928 농업의 집단화 소프호스.. 더보기
러시아 역사 연대표(표트르 대제 이후의 역사 ~ 현대사) 러시아 역사 연대표(표트르 대제~현대사회) 재위왕 연대 사건 내용 표도르 1584~1598 모스크바 대공국 황제 : 표도르 이오아노비치가 즉위 1591 류릭 왕조 단절 황태자(드미트리)가 피살되면서 러시아 초기 류릭왕조는 단절 보리스 1598~1605 보리스 표도로비치 고두노프가 황제 즉위 1604~1613 러시아의 혼란기 왕조가 단절되면서 왕조가 혼란되고 가짜 왕들이 등장, 각지 의용군 등장 미일 1613~1645 로마노프 왕조 미일 표도로비치 로마노프가 황제로 즉위하여 로마노프 왕조가 시작됨 알렉세이 1645~1676 알력세이 미하일로비치의 즉위 1648 소금봉기 사건 농민들의 저항 시작 1654 우크라이나 연합 1월 8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재연합 1656~1658 스웨덴 전쟁 러시아가 스웨덴과의.. 더보기
러시아 역사 연대표(고대 ~ 이반 3세까지의 역사 연표) 러시아 역사 연대표(고대~이반 3세) 재위왕 연대 사건 내용 - 6세기 러시아의 등장 러시아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문서상에 나타나 있음 859 노르만의 침입 뱌라크족(바이킹)의 슬라브 영토 침략 류릭 공후 862 왕조의 시작 바랴크군 통솔자인 류릭이 1대 노브고로드 공후로 통치 시작 끼릴문자 창조 끼릴과 메포지가 그리스 문자를 모방한 끼릴 문자를 창조함 올레그 공후 (879~912) 882 루시의 통일 노브고로드 ~ 키예프의 고대 루시의 통일(키예프 루시 대공국 탄생) 907 비잔틴 원정 올레그 공의 비잔틴 원정 시작 912 비잔틴 동맹 키예프 루시 공국이 비잔틴과 동맹 관계를 맺음 이고리 대공 (912~945) 942 비잔틴 원정 실패 키예프 루시 공국의 비잔틴 원정 실패로 원정 중단(944년 강화 체.. 더보기
이집트의 상형문자와 사자의 서 신의 발명품.... 이집트의 상형문자 "그들은 문자를 신이 준 선물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들은 자신의 과거를 적는 것을 신성하게 여기게 되었다. 돌, 진흙, 파피루스 등 문자를 적을 수 있는 것들이 있는 것을 우연이라 생각하지도 않았다." 수메르인과 이집트인은 고대에 공통점이 많았습니다. 같은 문화권이라 규정하는 사람도 있고, 둘을 묶어서 동방적 전제주의체제라고 같이 부르는 사람들도 만습니다. 지금도 역사가들은 이 2 문화권에 대한 관련성 논쟁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역사적으로 이 2 문화권은 유럽문화권에 비해 공통점이 많습니다. 그런데, 아주 옛날 같은 문자체계를 가진 이 두 문화권은 서로 다른 형식으로 문자를 표현합니다. 메소포타미아의 설형문자는 전술했듯이 선을 이용한 기하학적인 문자체계에서 시작합니다.. 더보기
메소포타미아지역의 문자 - 설형문자, 길가메시, 아르메니아어, 엘람어 문학작품의 등장과 생각하는 문자인.... "역사적 사건을 보존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문자의 필요성은 제기되었다. 그것을 사건으로 기록하는 사람은 왕과 버금가는 권세를 누렸다고 한다. 초기의 설형문자가 기도를 들어주는 신에게 바치는 것이었다면, 시간이 지나 인간이 좀더 이성적일수록 좀더 이성적인 기록을 남긴다고 한다. 이것이 역사기록의 시작이다." 기원전 2천년경 아카드인들은 함무리비왕으로 유명한 바빌로리아 왕국을 건설하였습니다 . 그들은 역사에서는 셈족의 선조로서 아랍족, 히브리족 등은 모두 여기서 기원하고 있습니다. 아카드 인들이 나라를 세우고 이전 수메르 인들을 탄압하기 시작하자, 수메르어는 이제 종교문헌에나 등장하는 문어로 보존되었습니다. 마치, 라틴어가 카톨릭 교회에서나 사용되던 것과 비슷하죠. .. 더보기
수메르인들이 만든 최초의 문자 - 쐐기문자(설형문자), 레부스 체계의 등장 최초의 문자.... 수메르인의 내딛음.... "인류가 지구상에 와서 살다 간 것은 백만년이다 되지만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6천년밖에 되지 않는다." - 로네 에티앙블 - 인류가 수없이 많은 세월을 살아오면서 어떤 방식으로 서로 대화를 했을까요? 기호, 그림, 수화 등 많은 수단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문자라는 것이 쉽게 나타나지 못하였죠.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문자가 나타나려는 그 집단이 모두 긍정할 수 있는 공식적인 상징체계가 있어야 하고 또 그것이 사회적으로 합의를 보아야 합니다. 그러한 합의는 하루아참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없이 많은 시간을 거쳐가면 서 이루어진 것이지요.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가장 오래된 문자는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에 의한 것이라고 합니다. 고대 수메르 지방은.. 더보기
성덕왕 대 당과 신라와의 관계 개선 성덕왕 대 당과 신라의 관계 개선 정월에 김의충(金義忠)을 당에 보내어 신년(新年)을 하례(賀禮)하였다. 2월에 부사(副使) 김영(金榮)이 당에서 죽으니 당 황제가 그에게 광록소경(光祿少卿)의 직을 더하였다. 의충(義忠)이 돌아올 때 당 황제가 패강(浿江) 이남의 땅을 하사하였다. - 삼국사기 9, 신라본기 9, 성덕왕 34년 - 참고글 : 위 사료는 당과 신라와의 관계 개선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입니다. 당은 삼국통일 후 나당 전쟁을 통하여 신라와의 관계가 상당히 안 좋았습니다. 신라 역시 당과 우호적이지는 않았구요. 신라는 삼국통일 당시 당이 대동강 이남을 인정한다는 약속을 어기고 나당전쟁으로 신라 자체를 복속하려고 했던 것이 상당히 불만이었습니다. 그러나 성덕왕 대 당과 신라는 다시 관계 개선을 시.. 더보기
통일 후 나당전쟁 - 신라와 당과의 갈등 고조 통일 후 당과의 갈등 급찬(級瑗) 기진산(祇珍山) 등을 당에 보내어 자석 두 상자를 바치고, 또 각간(角干) 흠순(欽純)과 양도(良圖)를 당에 보내어 사죄하였다. - 삼국사기 6, 신라본기 6, 문무왕 9년 5월 - 문무왕이 고구려의 반란 무리들을 받아들이고, 또 백제의 옛 땅을 점거하여 관인을 보내 지키게 하니, 당 고종이 크게 노하여 왕의 관작을 박탈하고, 당시에 당의 경사(京師)에 있던 왕의 아우 우요위원외대장군임해군공(右饒衛員外大將軍臨海郡公) 인문(仁問)을 세워 신라왕으로 삼아 귀국하게 하고, 좌서자동중서문하삼품(左庶子同中書門下三品) 유인궤(劉仁軌)로 계림도대총관(鷄林道大摠管)을 삼고, 위위경(衛尉卿) 이필(李弼)과 우령군대장군(右領軍大將軍) 이근행(李謹行)으로 부관을 삼아 군사를 발하여 신라를 .. 더보기
나당연합군 - 소정방의 출전 소정방의 출전 3월에 당 고종(高宗)이 좌무위대장군(左武衛大將軍) 소정방(蘇定方)으로 신구도행군대총관(神丘道行軍大摠管)을 삼고 김인문(金仁問)으로 부대총관(副大摠管)을 삼아, 좌요위장군(左饒衛將軍) 유백영(劉伯英) 등 수군과 육군 30만명을 거느리고 가서 백제를 치게하고, 왕(무열왕)으로 우이도행군총관(?夷道行軍摠管)을 삼아 군사를 거느리고 이를 응원하게 하였다. 5월에 … 소정방은 내주에서 출발하니 전함이 천리에 뻗쳤는데 동쪽을 향하여 순류를 타고 내려왔다. 21일에 왕이 태자 법민(法敏)으로 병선 백척을 이끌고 덕물도(德物島)에서 정방을 맞게 했다. - 삼국사기 5, 백제본기 5, 태종무열왕 7년 - 참고글 : 삼국통일 전쟁기 김춘추의 외교가 성공리에 끝나고,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먼저 공격한다는 증.. 더보기
만파식적 만파식적 제31대 신문대왕(神文大王)의 이름은 정명(政明)이요 성은 김씨다. 개요(開耀) 원년 신사(辛巳) 7월 7일에 왕위에 올랐다. 아버지를 위하여 동햇가에 감은사(感恩寺)를 세웠다. 절의 기록에 이런 말이 있다. "문무왕(文武王)이 왜병을 진압하려 하여 이 절을 지었으나, 역사를 마치지 못하고 돌아가 바다의 용이 되었다. 그 아들 신문왕이 왕위에 올라 개요 2년(682)에 역사를 마쳤는데, 금당 계단 아래에 동쪽을 향해 구멍 하나를 뚫어 두었다. 이것은 용이 절에 들어와서 돌아다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대개 유언으로 유골을 간직한 곳은 대왕암(大王巖)이라 하고 절은 감은사(感恩寺)라 이름했으며 후에 용이 나타난 곳을 이현대(利見臺)라 한 것 같다. 이듬해 임오(壬午) 5월 초하루에 해관(海官) 파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