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삼한의 제정분리 사료 - 소도와 천군 위지 동이전 - 소도 귀신을 믿기 때문에 국읍에 각각 한 사람씩을 세워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게 하는데 이를 천군이라고 부른다. 또 여러 나라에는 각기 별읍이 있으니 그것을 소도라고 한다.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긴다. 도망하여 그 안으로 들어온 사람은 누구든 돌려보내지 아니하므로 도적질하는 것을 좋아하게 되었다. 그들이 소도를 세운 뜻은 부도와 같으나, 행하는 바의 옳고 그름에는 다른 점이 있는 것이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 - 사료해석 : 소도에 대한 삼국지 동이전 사료입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천군, 소도의 사료 근거입니다. 더보기
삼한(마한)에 대한 중국측의 기록 위지 동이전 - 마한 마한은 서쪽에 자리잡고 있다. 그 민인은 토착하여 곡식을 심고 누에치기와 뽕나무 가꿀 줄을 알며 면포를 만든다. 각기 장수가 있어, 큰 세력을 지닌 이는 스스로 신지라고 하고, 그 다음은 읍차라고 한다. 산과 바다 사이에 흩어져 살며 성곽은 없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 - 사료해석 : 마한에 대한 삼국지 동이전 사료입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마한의 사료 근거입니다. 더보기
후한서에 나오는 삼한 기록 후한서 - 한 삼한 78개국 중 큰 나라는 만여호이고 작은 나라는 수천가이다. 각기 산과 바다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데, 땅을 합하면 사방 4천여리 이며, 동쪽과 서쪽이 바다와 접하니 모두 옛 진국이다. 마한이 가장 크르모 여러 나라가 함께 마한 사람을 진왕으로 삼으니 목지국에 도읍하여 전체 삼한 땅의 왕으로 군림한다. 그 여러 나라 왕의 선대는 모두 마한 사람이다. - 후한서 동이열전, 한 - 사료해석 : 3한에 대한 후한서 사료입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목지국의 사료 근거입니다. 더보기
진한의 풍속과 특징 위서 동이전 - 진한 진한은 마한의 동쪽에 있다. 노인들은 대대로 전하여 말하기를, 고 하였다. 성책이 있으며, 그 언어는 마한과 달라서 나라(國)를 방(邦)이라 하고 활(弓)을 호(弧)라 하며, 도적(盜賊)을 구(寇)라 하고, 술잔을 돌리는 것(行酒)을 행상(行商)이라고 한다. 서로 불러 모두 도(徒)라고 하여 진(秦)나라 사람들과 흡사한 점이 있으니 단지 연(燕)나라, 제(齊)나라의 명칭만은 아니다. 낙랑(樂浪) 사람을 아잔(阿殘)이라고 부르는데, 동방 사람들은 나(我)를 아(阿)라고 하니 낙랑인들은 본디 그 처져 있는 나머지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지금도 진한(辰韓)을 진한(秦韓)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다. 처음에는 여섯 나라가 있었는데 차츰 나뉘어 12국이 되었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진한 -.. 더보기
변한의 풍속과 특징 위서 동이전 - 변진 변진은 진한과 서로 섞여 있으며 역시 성곽이 있다. 입는 옷과 사는 곳은 진한과 같다. 언어와 법속은 서로 비슷하지만 제사하는 귀신에는 다른 점이 있다. 변진은 역시 12국이다. 또 여러 작은 별읍이 있어서 제각기 거수가 있다. 그 중 큰 세력을 지닌 이를 신지라고 한다. 그 다음에는 험측이 있고, 다음에는 번예가 있으며, 다음에는 살해가 있고, 다음에는 읍차가 있다. 변한과 진한을 합하면 모두 23국이다. 대국은 4-5천가이고, 소국은 6-7백가로서 모두 4-5만호이다. 그 가운데 12국은 진왕에게 복속하는데, 진왕은 항상 마한 사람을 세워 대대로 이어가면서 진왕 스스로 서서 왕이 되지는 못하였다. 변진의 나라에서는 철이 생산되며 한, 예, 왜가 모두 와서 사 간다. 시장에서의 모.. 더보기
동예인의 풍속 - 족외혼, 책화, 무천 등 동예인의 생활과 풍속 예는 남쪽으로는 진한과 북쪽으로는 고구려, 옥저와 맞닿아 있고, 동쪽으로는 큰 바다에 닿았으니, 오늘날 조선 동쪽이 모두 그 지역이다. 호수는 2만이다 대군장이 없고 한 시대 이래로 후, 읍군, 삼로라는 관직이 있어 하호를 다스렸다. 그 나라 노인들은 예로부터 스스로 일컫기를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고 하였다. 언어와 예절과 풍속은 대체로 고구려와 같지만 옷차림은 다르다. 풍속은 산과 내를 중요시하여, 산과 내에 각기 부분을 만들어 놓고, 함부로 들어가지 않았다. 동성끼리는 결혼하지 않는다. 해마다 10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밤낮으로 술 마시며 노래를 부리고 춤추니 이를 무천이라고 한다. 또 호랑이를 신으로 여겨 제사를 지낸다. 부락을 함부로 침범하면 벌로 노비와 소, 말을 부.. 더보기
옥저의 민며느리제도 옥저 - 민며느리제도 그 나라 혼인 풍속은 여자 나이 10살이 되기 전에 혼인을 약속한다. 신랑집에서는 여자를 맞이하여 다 클 때까지 길러 아내로 삼는다. 여자가 어른이 되면 친정으로 되돌려 보낸다. 친정에서는 돈을 요구하는데 신랑집에서 돈을 지불한 뒤 다시 신랑집으로 돌아온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동옥저 - 사료해석 : 민며느리제도는 고구려의 서옥제와 비교해서 생활상을 파악하시면 재미있습니다. 더보기
북옥저인의 생활상 북옥저의 생활 북옥저는 치구루라고도 하는데 남옥저와는 8백여리 떨어져 있다. 풍속은 남북이 서로 같이며 읍루와 맞닿아있다. 읍루는 배를 타고 다니며 노략질하기를 좋아하므로 북옥저는 읍루를 두려워하여 여름철에는 언제나 깊은 산골짜기 바위 굴에서 살면서 수비하고 겨울철에 얼음이 뱃길을 통하지 않아야 산에서 내려와 촌락에서 산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동옥저 - 사료해석 : 동옥저인의 생활에 대한 글입니다. 더보기
동옥저인의 생활상 동옥저의 생활 동옥저는 고구려 개마대산 동쪽에 있는데, 개마대산은 큰 바닷가에 맞닿아 산다. 지형이 동북은 좁고 서남은 길어서 천리 정도나 된다. 북쪽은 움루, 부여와 남쪽은 예맥과 맞닿아 있다. 호수는 5천호인데, 대군왕은 없으며 읍락에는 각각 대를 잇는 우두머리(장수)가 있다. 말은 고구려와 대체로 같지만 경우에 따라 다르기도 하다. 여러 옥저 읍락 거수들은 스스로 삼노라 일컬으니 삼노는 예전에 한나라 현이었을 때 제도다. 나라가 작아서 큰 나라 틈바구니에서 핍박받다가 결국 고구려에 신하가 되었다. 고구려는 그 중에서 대인을 두고 사자로 삼아 함께 통치하게 하였다. 또 대가로 하여금 조세를 한꺼번에 거둬들이게 하여 맥, 포, 어, 소금, 해초류 등을 천리나 되는 거리에서 져 나르게 하였다. 또 동옥저.. 더보기
고구려의 위치 짐작 사료 초기 고구려의 터 그 나라의 말은 모두 몸이 작아서 산에 오르기에 편하다. 사람들은 힘이 세고 전투에 익숙하여 옥저와 동예가 모두 무릎을 꿇었다. 또 소수맥이 있다. 고구려는 대수 유역에 나라를 세워 살았는데, 서안평현 북쪽에 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는 작은 강이 있어서 고구려의 별종이 이 소수 유역에 나라를 세웠으므로 그 이름을 따서 소수맥이라고 하였다. 그곳에서는 맥궁이라는 좋은 활이 나온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고구려 - 사료해석 : 보통 대수를 압록강으로, 소수를 혼강(동가강)으로 말합니다. 그러나 혼강의 흐름은 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는 소수의 위치와 맞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압록강과 합류한 다음 바다로 흘러가는 장전강을 소수로 보고 있습니다. 삼국사기에는 양맥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