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

제왕운기의 3조선설 제왕운기의 3조선설 본기에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상제 환인은 서자가 있었으니 이름이 웅이였다고 한다. 이 웅에게 일러 말하기를 “내려가 삼위태백에 이르러 크게 인간을 이롭게 할 수 있을까”라고 하였다. 이리하여 웅이 천부인 3개를 받고 귀신 3천명을 거느려 태백산 마루에 있는 신단수 아래에 내려왔다. 이분을 단웅천왕이라 이론다고 한다. 손녀로 하여금 약을 먹여 사람이 되게 하여 단수신과 결혼시켜 아들을 낳게 하였다. 이름을 단군이라 하니 조선 땅을 차지하여 왕이 되었다. 이런 까닭에 시라, 고례, 남북옥저, 동북부여, 예와 맥은 모두 단군의 자손이다. 1038년을 다스리다가 이사달에 들어가니 신이 되어 죽지 않은 연고이다. - 제왕운기 전조선기 - 사료해석 : 제왕운기는 3조선설을 제시합니다. 단군은 .. 더보기
치우설화와 단군신화는 깊은 연관이 있다... 치우설화와 단군신화의 관계 1. 헌원전의 기록을 옮기다 헌원이 살던 때는 신농씨가 다스리는 세상이 쇠퇴하여 제후들이 서로 침략하고 베어 죽이며 백성에게 포학질을 일삼았으나 신농씨가 능히 이를정벌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헌원이 방패와 창 등 병장기 쓰는 법을 익혀서 조공을 하지 않는 제후를 정벌하니 제후들이 모두 와서 복종하였다. 그러나 치우는 가장 난폭하여 정벌할 수가 없었다. 염제가 제후들을 불의에 습격하여 능멸하고자 하였으나 제후들은 모두 헌원에게 복속하였다. 헌원은 이에 덕을 닦고 병력을 정돈하여 5기를 다시르고 5종을 심어 만민에게 어루만지며, 4방을 제도하고 곰, 말곰, 비휴, 추호를 길들여서는 명제와 판천이라는 들에게 결전하였는데, 세 번을 싸운 후에야 소원을 이룰 수 있었다. 치우가 난을 .. 더보기
조선상 역계경 조선상 역계경 일찍이 우거가 격파되기 전에, 조선상 역계경이 우거에게 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않자 동쪽 진국으로 갔다. 그 때 백성으로서 역계경을 따라가 그곳에 산 사람이 2천호나 되었으며 이들은 조선 공번과 서로 왕래하지 않았다. - 삼국지 위서 위략 - 사료해석 : 조선상 역계경이라는 이 칭호로 고조선 시대의 이라는 용어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즉, 왕이 있었지만 독자적인 세력을 가진 등이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계층은 곧 고조선이 연맹왕국 단계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경,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이 있었으나, 그들이 왕에게 완전히 귀속되지 않았다는 것이지요. 이것은 이들 지배계급이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었고, 읍락 내부는 이들에 의한 였다는 것을 반증합니다. 예로, 동예에서는 산천을 경계로 침입.. 더보기
신문왕 대 일통삼한의식의 형성 일통삼한의식의 형성 왕은 군신과 더불어 의논한 후에 당의 조칙에 답하였다. 생각건대 선왕 춘추는 자못 어진 덧이 있었고, 더욱이 생전에 어진 신하 김유신을 얻어 한마음으로 정치를 하여 일통삼한을 하였으니, 그 공적을 이룩한 것이 많지 않다고 할 수 없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신문왕 12년조- 사료해석 : 통일신라시기부터 진정한 민족의 형성이라고 보는 이유는 통일신라시대에 의식이 싹뜨기 때문입니다. 일통삼한이란, 이전 3국이 각각 분립된 역사의식과 민족의식을 가진 것과 대비되어지며 드디어 우리 민족이 역사적인 관점에서 하나라는 의식을 스스로 자각하게 되는 증거로 볼 수 있습니다. 더보기
골품제의 규약 골품제의 생활 규약 진골의 방은 길이와 폭이 24척을 넘을 수 없으며……6두품의 방은 길이와 폭이 21척을 넘을 수 없고……5두품의 방은 길이와 폭이 18척을 넘어서는 안 되며 4두품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는 방의 길이와 너비가 15척을 넘지 못한다. 느릅나무를 쓰지 못하고, 우물 천장을 만들지 못하며 당기와를 덮지 못하고, 담장은 6척을 넘지 못하고, 또 보를 가설하지 않으며, 석회를 칠하지 못한다. 대문과 사방문을 만들지 못하고, 마구간에는 말 2마리를 둘 수 있다. 외진촌주(外眞村主)는 5품(品)과 같으며, 차촌주(次村主)는 4품과 같다. - 삼국사기 33권, 잡지 2, 옥사- 4두품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는 금·은·놋쇠와 주리평문물(朱裏平文物)을 금하고, 또한 털을 댄 담요 모피나 호랑이 가죽, 중국.. 더보기
백제의 중국 정복 사료 백제의 중국 정복 백제국은 본래 고구려와 함께 요동의 동쪽 천여리에 있었다. 그 후 고구려가 요동을 차지하니 백제는 요서, 진평 2군을 차지하고 통치하였다. - 송서 권 97, 이만열전, 백제국 - 그 나라는 본래 고구려와 함께 요동의 동쪽에 있었다. 진대에 고구려가 이미 요동을 차지하니 백제 역시 요서, 진평 두 군의 땅을 차지하여 스스로 백제군을 두었다. - 양서 권54, 동이열전, 백제 ; 남사 권79, 이맥열전(하) 백제 - 올해에(백제 동성왕 12년에) 위나라(북위 : 효문제 태화 14년) 오랑캐가 또 기병 수십만을 동원하여 복재를 공격하였다. 국경(요서의 백제영토)을 넘어서 침략하니, 모대(동성왕)는 사법명, 찬수류, 해례곤, 목간나 등 장군을 (요동으로) 보내어 무리를 이끌고 오랑캐의 군대를.. 더보기
부여인의 생활 부여인의 생활 부여는 장성의 북쪽에 있다. 남쪽으로는 고구려와 접해있고, 서쪽으로는 선비족과 접해 있다. 북쪽은 약수가 있으며, 그 영토는 2천리에 이른다. 가옥은 8만이고, 그 백성은 토지를 가지고 있다. 궁실, 창고, 뇌옥이 있으며, 넓은 평야와 구릉이 많아 동이의 영토 중에서는 최고로 비옥하다. 토지는 오곡이 많이 나나 오과는 나지 않는다. 그 백성은 몸이 크고, 성품이 강인하고 용맹하고 근면하며 후덕하고, 노략질은 하지 않는다. 국가에는 군왕이 있으며, 모두 가축의 이름으로 관직을 지어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대사, 대사자, 사자 등이 있다. 읍락에는 호민이 있으며, 이른바 하호들은 모두 노복이다. 제가는 별도로 사출도가 있는데, 큰 것의 주인은 수천호와 작은 것의 주인은 수백호에 이른다. .. 더보기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설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 옛날 기자의 후손인 조선제후가 있었다. 은나라가 쇠퇴하는 것을 보고 연나라가 스스로 왕이 되어 동쪽을 공격하고자 하니, 조선제후 역시 스스로 왕이라 칭하고 오히려 연을 물리치고 주왕실을 보호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부인 예가 중지할 것을 간청하니 이에 중지하였다. 또 서쪽 연나라에 사신을 파견하니 연도 역시 중지하여 공격하지 않았다. 후에 조선의 자손들은 점점 교만해져갔다. 연나라는 장군 진개를 파견하여 조선의 서쪽을 공격하여, 2천여리의 땅을 차지하였다. 만번한을 경계로 이르게 되었으며, 조선은 점차 쇠약해져갔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사료해석 : 이 사료는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고조선의 중심지가 어디인가를 놓고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민족주의 학자들.. 더보기
조선책략 반대상소 - 홍재학 조선책략 반대상소_홍재학 대개 서양의 학문은 천리를 어지럽히고 기강을 소멸시킴이 심하다는 것을 다시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서양의 물건은 대부분 음탕하고 욕심을 유도하며, 유교 윤리를 깨뜨리고 사람의 정신을 어지럽히며, 천지를 거역하는 것들입니다. 서양의 학문과 물건은 귀로 들으면 창자가 뒤틀리고 수컷이 다른 것으로 바뀌며 눈으로 보면 창자가 꼬이고 위가 뒤집히며, 코로 냄새를 맡고 입술로 그것에 닿게 하면 마음이 변하여 실성하게 되니 이는 곧 그림자가 서로 부딪치고 전염성이 서로 감영되는 것과 같으며, 그 사람의 좋고 싫음이 향배를 물을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십자가의 상을 받들지 않는다 해도 예수교의 책을 읽게되면 성인에게 죄를 얻는 시작입니다. 전하의 백성들의 과연 귀와 눈과 코와 입이 있습니까 없.. 더보기
최치원, 설계두의 골품제 모순 비판 최치원과 설계두 : 골품제의 모순 비판 최치원이 서쪽으로 당에 가서 벼슬을 하다가 고국에 돌아왔는데 전후에 난세를 만나서 처지가 곤란하였으며 걸핏하면 모함을 받아 죄에 걸리겠으므로 스스로 때를 만나지 못한 것을 한탄하고 다시 벼슬할 뜻을 두지 않았다. 그는 세속과 관계를 끊고 자유로운 몸이 되어 숲 속의 강이나 바닷가에 정자를 만들고 소나무와 대나무를 심으며 책을 벗하여 자연을 노래하였다. 신계두는 신라의 귀족 자손이다. 일찍이 친구 네 사람과 술을 마시며 각기 그 뜻을 말할 때 라고 하였다. 그는 621년 몰래 배를 타고 당으로 갔다. - 삼국사기 - 사료해석 : 골품제는 능력과는 관계없이 골품에 따라 정치, 사회적 진출에서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특권과 제약이 부여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