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신라의 중앙 제도 2 - 중앙정치가 발전하다. 신라의 중앙 제도 2 - 중앙정치가 발전하다. 1. 신라 초기의 중앙 제도 변화 신라 초기의 관제의 특징은 어떤 뚜렷한 기준에 의해 관제가 정비된 것이 아니라 씨족적 유습들이 그대로 남아서 중앙 관제로 정착되었다는 점입니다. 즉, 초기에는 대보가 있어서 씨족장 출신인 이벌찬, 아찬 등이 정치와 군사를 담당하는 정도의 초보적 기구가 있습니다. 하지만 법흥왕 기에는 상대등과 병부가 설치됩니다. 상대등의 설치는 국왕권이 강화되면서 그동안 공동으로 정치를 주도하던 귀족들을 왕권과 분리시키려는 시도였고, 병부의 설치는 국가 병권을 국왕이 장악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이후, 진흥왕대에 품주를 설치하면서 조세를 국가가 관장하였고, 관리의 규칠을 맡은 사정부가 만들어졌습니다. 진평왕 때는 위화부, 조부, 예부, 선부 등을.. 더보기
신라의 중앙, 지방 제도 1 - 신라 초기의 발전과정 신라의 중앙, 지방 제도 1 - 신라 초기의 발전과정신라는 고기와 중기, 후기로 가면서 국가체제가 많이 바뀌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라의 국가 지배체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중앙제도, 지방제도로 나눠 초기와 후기 제도를 서술해 보겠습니다. 1. 신라 초기 발전과정에 대한 2가지 내용신라의 발전과정은 활발한 정복활동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과 초기부터 연합정권으로 출발하고 있었다는 이 있습니다. 그 내용을 먼저 다루어 볼까요? 1. 전통적 견해 : 신라는 정복국가로서 지배체제가 확대되었다. 신라의 발전에 대한 , 즉 과거 한국사통론, 한국사신론의 입장은 신라가 사로 6촌에서 시작하여 를 중심으로 확장해 나갔다는 관점입니다. 신라의 역사는 사로 6촌 - 사로국 - 진한연맹 - 거서간 - 차차웅 - .. 더보기
신문왕의 전제왕권 3 - 토지제도를 정비하다 신문왕의 전제왕권 3 - 토지제도를 정비하다 이번 장에서는 신문왕의 왕권 강화책 중에서 토지제도를 다루어보겠습니다. 토지제도 역시 신문왕의 라는 맥락에서 이해하면 쉬울 듯 싶네요. 지금까지의 포스팅에서 의 정의를 권주 1인의 독재정치 확립이라는 기존의 논의를 버리고, 로 이해했습니다. 관점의 차이에 따라 다른 전개가 있을 수도 있으니, 주의하면서 읽어주세요. 1. 관료전을 지급하고, 이후 녹읍을 폐지하다 신문왕 7년 5월, 교를 내려 문무 관료전을 차등있게 지급하다. 신문왕 9년 정월, 교를 내려 내외관의 녹읍을 혁파하고, 매년 조를 차등있게 주었는데, 이것을 영구히 법으로 하다. 성덕왕 21년 8월,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다. 경덕왕 16년, 내외 관료들의 월봉을 중지하고, 녹읍을 부활하다. 위 사료.. 더보기
역사는 기성복의 틀 속으로 사상을 규정한다. 역사는 기성복의 틀 속으로 사상을 규정한다. 공자가 충성, 효도와 같은 윤리와 사상을 강조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공자의 사상은 만을 언급하였다는 후대인들의 비판과 주장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다. 공자는 라는 말을 한번도 사용한 적이 없다고... 태조왕건은 이란 말을 쓴 적이 없고, 그런 거창한 말을 만들 이유가 없었다. 한국 중세사회를 열었다는 최승로는 라는 시대구분이 서양에 있었는지도 몰랐다. 헤라클레이토스의 글들을 아무리 읽어보아도 이란 말을 그가 사용한 적이 없으며, 플라톤의 모든 책들을 다 읽어본다 해도 라는 말은 한 단어도 나오지 않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이 이라고 규정한다고 해도 실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 쇼펜하우어는 이란 말을 사용할 때, 자신의 글들에 대한 .. 더보기
신문왕의 전제왕권 2 - 중앙집권화를 위해 귀족권을 억압하다. 신문왕의 전제왕권 2 - 중앙집권화를 위해 귀족권을 억압하다. 이번 파트부터는 통일신라 전제왕권을 완성한 신문왕에 대한 포스팅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로 나누어 다양한 각도에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신문왕을 자세히 포스팅하는 이유는 신문왕 자체가 통일신라의 문물을 정비하고, 완성한 사람이므로 신문왕을 로 하여 통일신라의 전성기 체제를 바라보면 이해가 쉽기 때문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신문왕기의 정치사를 정리해 봅시다. 1. 전제왕권의 성립 배경 지난 장에서 전제왕권을 정의내릴 때, 국왕의 1인 독재권이 아닌 이라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럼 이러한 중앙집권적 전제왕권이 성립된 배경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다름 아닌 삼국통일에서 그 핵심 배경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삼국통일기 신라는 가 계속되었습니다. 고.. 더보기
신문왕의 전제왕권 1 - 집사부 체제를 완성하다 통일신라시대와 신문왕의 전제왕권 1 - 집사부 체제를 완성하다 이번 파트부터는 통일신라 전제왕권을 완성한 신문왕에 대한 포스팅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로 나누어 다양한 각도에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신문왕을 자세히 포스팅하는 이유는 신문왕 자체가 통일신라의 문물을 정비하고, 완성한 사람이므로 신문왕을 로 하여 통일신라의 전성기 체제를 바라보면 이해가 쉽기 때문입니다. 그럼 시작해보죠. 1. 통일이 되면서 가 강화되다 신라가 삼국통일이 된 것은 무열왕, 문무왕기를 거치면서입니다. 실제 나당전쟁후의 676년 삼국통일은 문무왕기에 이루어졌습니다. 문무왕이 삼국통일을 완성하면서 그 아들인 신문왕은 이라는 2가지 과제를 안고 등극하였습니다. 신문왕은 먼저 체제가 발전해오던 기존의 신라 제도를 확고히 합니다... 더보기
스콜라 철학사 4 - 보편논쟁 제 3장 : <온건한 실제론> 스콜라 철학사 4 - 보편논쟁 제 3장 : 스콜라 철학의 세 번째 시간으로 여기서는 보편논쟁 중 온건한 실제론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이 온건한 실재론은 초기 실재론을 변형하여 약간 교황중심적인 논리로 전환한 이론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학자는 토마스 아퀴나스로, 그는 실재론의 관점에서 의 입장을 첨부하여 를 끌어내였습니다. 1. 온건한 실재론의 개요 온건한 실재론이 등장한 배경은 때문입니다. 유럽사회는 6세기 이후 이슬람에 빼았겼던 이베리아 반도를 되찾기 위한 시도를 여러번 했지만, 강성한 이슬람 왕조에 막혀 번번이 실패하였습니다. 그러나, 9세기 이후 이슬람 왕조가 점차 분열되어 여러 칼리프로 분열되는 시기를 맞자, 유럽은 재정복 운동을 하여 이베리아 반도를 되찾았습니다. 그런데, 이 지역을 찾고.. 더보기
스콜라 철학사 3 - 보편논쟁 제 2장 : <실제론> 스콜라 철학사 3 - 보편논쟁 제 2장 : 스콜라 철학의 세 번째 시간으로 여기서는 보편논쟁 중 실제론에 대한 이야기를 간략히 다뤄보겠습니다. 1. 논쟁의 개요 보편논쟁이란, 중세철학의 가장 큰 핵심 논쟁입니다. 이 논쟁은 이란 것이 과연 실재로 존재하는가 - 실제론, 아니면 보다는 이 우위에 있는가 - 유명론 의 논쟁으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이 실제론, 유명론의 논쟁은 신학적 논쟁에서 출발하지만, 교황권 강화기에는 이라는 논리로 이용되기도 하고, 후기에는 , 등의 철학적 사유에 이용되면서 적 사유로 전환되기도 합니다. 그럼 여기서는 실제론을 한번 볼까요? 2. 실제론의 주장 실제론이란, 적인 것은 실제 존재한다는 입장입니다. 이것은 초기 신학자들부터 계속 내려온 철학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을 .. 더보기
스콜라 철학사 2 - 보편논쟁 제 1장 : 보에티우스(철학의 위안) 스콜라 철학사 2 - 보편논쟁 제 1장 : 보에티우스(철학의 위안) 스콜라 철학의 두 번째 시간으로 여기서는 스콜라 철학의 핵심인 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보겠습니다. 1. 스콜라 철학에는 2가지 핵심 논쟁이 있었다. 스콜라 철학은 전술했듯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원작이 이슬람에서 넘어오고, 탁발교단이 정통교리를 확립하는 시기에 등장한 중세 철학입니다. 이 철학의 핵심 과제는 위대한 교부인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을 지켜가면서도, 교황청의 정통 교리를 사수하며, 이것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접목시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스콜라 철학은 12세기 이후 중세 전 기간을 걸쳐 2가지 문제를 가지고 큰 논쟁을 벌이게 됩니다 그 첫 번째 논쟁은 바로 과연 라는 였습니다. 스콜라 철학의 두 번째 큰 논쟁은 입니다. 이 논쟁.. 더보기
스콜라 철학사 1 - 교회에 각각 다양한 교단이 성립되다 스콜라 철학 이야기 1 - 교회에 각각 다양한 교단이 성립되다 오늘부터의 유럽 중세사 포스트는 교회를 중심으로 한 를 다뤄볼까 합니다. 교회문화는 거의 대부분이 교단의 이야기와 스콜라 철학의 이야기가 될 것 같습니다. 십자군이나 서임권 문제 등은 별도의 시리즈로 다루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스콜라 철학을 중심으로 한 문화부분만 다루고, 다른 파트에서 빠진 교회 건축, 예술, 문화 부분만 간략히 포스팅 하겠습니다. 1. 로마 이래 거대한 계서제도를 완성한 중세 교회가 탄생하다. 중세 교회는 로마 교회의 행정-교구제도를 그대로 답습하면서 이루어졌습니다. 고대 로마의 계서제도는 에서 자세히 다룬 적이 있습니다. 1. 교황(교황청) - 추기경(교황선출) - 대주교관구(대주교) - 주교(실질적 교회관리) - 교구(.. 더보기